• 제목/요약/키워드: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ARDS)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9초

A Child of Severe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with Multiple Organ Failure Treated with ECMO and CRRT

  • Hwang, Woojin;Lee, Yoonjin;Lee, Eunjee;Lee, Jiwon M.;Kil, Hong Ryang;Yu, Jae Hyeon;Chung, Eun Hee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6권1호
    • /
    • pp.71-79
    • /
    • 2019
  • 8세 남아가 호흡곤란과 기면증을 보이며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극도의 호흡부전을 보이고 있었고 고유량의 산소 공급을 함에도 불구하고 88-90%로 밖에 유지되지 않았고 단순 흉부 방사선 검사에서 전 폐야에 불투과도가 증가하였고 중등도의 흉수를 보였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진단 하에 정맥 macrolide 를 포함한 항생제 치료를 시작하였으나 2병일 째 간, 신장에 다기관 부전 및 급성 호흡부전 증상을 보였다. 정맥-정맥 체외순환막성산소화기를 삽입하였고 지속적 신대체요법도 병행하였다. 18병일 째 성공적으로 체외순환막성산소화기에서 이탈하였고 저산소성 뇌 손상 없이 성공적으로 치료되었기에 본 사례를 보고한다.

급성 폐손상에서 호중구 활성화의 분자학적 기전 (Molecular Mechanisms of Neutrophil Activation in Acute Lung Injury)

  • 염호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6호
    • /
    • pp.595-611
    • /
    • 2002
  • Akt/PKB protein kinase B, ALI acute lung injury, ARDS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CREB C-AMP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ERK extracelluar signal-related kinase, fMLP fMet-Leu-Phe, G-CSF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IL interleukin, ILK integrin-linked kinase, JNK Jun N-terminal kinase, LPS lipopolysaccharide, MAP mitogen-activated protein, MEK MAP/ERK kinase, MIP-2 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2, MMP matrix metalloproteinase, MPO myeloperoxidase, NADPH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 NE neutrophil elastase, NF-kB nuclear factor-kappa B, NOS nitric oxide synthase, p38 MAPK p38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PAF platelet activating factor, PAKs P21-activated kinases, PMN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PI3-K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PyK proline-rich tyrosine kinase, ROS reactive oxygen species, TNF-${\alpha}$ tumor necrosis factor-a.

Cryo-EM as a powerful tool for drug discovery: recent structural based studies of SARS-CoV-2

  • Han‑ul Kim;Hyun Suk Jung
    • Applied Microscopy
    • /
    • 제51권
    • /
    • pp.13.1-13.7
    • /
    • 2021
  • The novel coronaviru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has arisen as a global pandemic affecting the respiratory system showing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However, there is no targeted therapeutic agent yet and due to the growing cases of infections and the rising death tolls, discovery of the possible drug is the need of the hour. In general, the study for discovering therapeutic agent for SARS-CoV-2 is largely focused on large-scale screening with fragment-based drug discovery (FBDD). With the recent advancement in cryo-electron microscopy (Cryo-EM), it has become one of the widely used tools in structural biology. It is effective in investigating the structure of numerous proteins in high-resolution and also had an intense influence on drug discovery, determining the binding reaction and regulation of known drugs as well as leading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new drug candidates. Here, we review the application of cryo-EM in a structure-based drug design (SBDD) and in silico screening of the recently acquired FBDD in SARS-CoV-2. Such insights will help deliver better understanding in the procurement of the effective remedial solution for this pandemic.

단순 피부병변으로 간과되어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으로 진행된 쯔쯔가무시병 1예 (A case of ARDS Overlooked Tsutstugamushi Disease that Presented as Simple Cutaneous Lesions)

  • 유기현;김기홍;김종대;손지웅;나문준;최유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4호
    • /
    • pp.389-393
    • /
    • 2006
  • 저자들은 홍반성 구진양 발진으로 발현된 쯔쯔가무시병환자에서 단순 피부질환으로 간과하여 치료의 시기가 지연되고 스테로이드 등의 약물 사용으로 급성 신부전 및 급성 호흡부전으로 진행된 1례를 경험 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패혈증 증후군환자에서 성인성 호흡곤란 증후군 발생의 예측 지표서의 혈중 Tumor Necrosis Factor-$\alpha$와 Interleukin-$1{\beta}$에 관한 연구 (The Role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Interleukin-$1{\beta}$ as Predictable Markers for Development of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Septic Syndrome)

  • 고윤석;장윤혜;김우성;이재담;오순환;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5호
    • /
    • pp.452-461
    • /
    • 1994
  • 연구배경: ARDS발생 기전에 있어 TNF-$\alpha$나 IL-$1{\beta}$의 역할은 이들이 폐혈관 내피세포에 작용하여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되나 ARDS환자 발생 예측 지표로서의 TNF-$\alpha$ 및 IL-$1{\beta}$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는 부정적이다. 이는 기존연구들이 다양한 질환들을 대상으로 함으로써 ARDS 발생기전의 다양성이 ARDS환자 발생 예측지표로서의 TNF-$\alpha$의 유용성을 부정적으로 나타나게하였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저자들은 ARDS 발생이 내독소와 cytokines등에 의한 작용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패혈증 증후군 환자들을 대상으로 TNF-$\alpha$와 IL-$1{\beta}$의 ARDS 발생의 예측 표지자로서 임상적 효용성을 검토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패혈증 증후군환자들을 대상으로 ARDS발생군(이하 ARDS군, 16명)과 호흡부전 상태에서 ARDS로는 진행하지않은 급성호흡 부전군(Acute hypoxemic respiratory failure group, 이하 AHRF군, 20명)으로 분류하여 등록시, 24시간 및 72시간후에 채혈하여 ARDS군은 ARDS 발생시에, AHRF군은 동맥혈 산소분압에 대한 폐포 산소분압의 비가 가장 낮은 시점의 TNF-$\alpha$와 IL-$1{\beta}$의 농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ARDS 및 AHRF군에서 쇽 발생군과 비발생군으로 분류하고 쇽 발생시에 측정된 TNF-$\alpha$와 IL-$1{\beta}$를 비발생군의 TNF-$\alpha$ 및 IL-$1{\beta}$의 값과 비교하였다. 대조군은 건강 대조군으로서 1회만 채혈하였다. 결과: 1) 혈중 TNF-$\alpha$의 농도: 본 연구에 사용한 Predicta kit의 TNF-$\alpha$ 농도 측정의 민감도는 평균${\pm}2$표준편차의 하한값이 10pg/mL이며, 특이도는 100%로, ARDS군 16명중 8명이, AHRF군 20명중 12명이 10pg/mL 이상으로 측정되어 두 군사이에서 혈중 TNF-$\alpha$가 10pg/mL 이상 발현된 비율의 차이는 없었다. ARDS 및 AHRF군의 혈중 TNF-$\alpha$의 중앙값 농도는 각각 10.26pg/mL(<10-16.99pg/mL, 사분위수범위, interquartile range), 10.82pg/mL(<10-20.38pg/mL)로서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Fig. 1), ARDS 발생 전후의 혈중 TNF-$\alpha$의 농도도 중앙값이 10pg/mL미만(<10-15.32)pg/mL 및 10pg/mL미만(<10-10.22)pg/mL로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6명중 2명만이 ARDS 발생 전에 비하여 TNF-$\alpha$의 값이 증가되었다. ARDS 및 AHRF군에서 패혈성 쇽이 발생한 환자들(26명)의 TNF-$\alpha$의 농도는 12.53(<10-20.82)pg/mL로서 비발생군(10명) <10pg/mL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p<0.01)(Fig. 2), 전체 생존군(<10, <10-12.92pg/mL)과 사망군(11.80, <10-20.8pg/mL)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28). 2) 혈중 IL-$1{\beta}$의 농도: 본 연구에 사용한 Quantikine kit의 최저 측정치는 0.3ng/mL로서 건강 대조군 10명중 1명을 제외한 모두에서 IL-$1{\beta}$측정치가 0.3pg/mL이하였다. ARDS 및 AHRF군의 검체 중 0.3ng/mL 이하로 측정된 경우는 ARDS, AHRF군에서 각각 1예가 있었다 ARDS 및 AHRF군의 혈중 IL-$1{\beta}$의 농도는 각각 2.22(1.37-8.01)ng/mL, 2.13(0.83-5.29)ng/mL으로서 두 군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Fig. 3), ARDS 발생전(2.53, 0.3-8.38ng/mL)과 발생후(5.35, 0.66-11.51ng/mL)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패혈성 쇽 발생군(2.51, 1.28-8.34ng/mL)과 비발생군(1.46, 0.15-2.13ng/mL)사이에서는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비발생군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각각 P=0.44, P=0.054)(Fig. 4). 생존군과 사망군의 비교에 있어서는 각각 1.37(0.4-2.36), 2.84(1.46-8.34)ng/mL로서 생존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론: 혈중내 TNF-$\alpha$의 농도는 패혈증증후군 환자들에서 패혈성 쇽의 발생과는 연관성이 있으나 혈중내 TNF-$\alpha$ 및 IL-$1{\beta}$의 농도 측정이 ARDS 발생의 예측 지표로서는 임상적 효용성이 적은 것으로 사료 되었다.

  • PDF

급성호흡곤란증후군 환자에 있어서 B-type Natriuretic Peptide의 유용성 (Utility of B-type Natriuretic Peptide in Patients with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이진국;주영빈;김석찬;박성학;이숙영;고윤석;김영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2권5호
    • /
    • pp.389-397
    • /
    • 2007
  • 연구배경: B-type natriuretic peptide(BNP)는 심인성 및 다른 쇼크 상태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에서 사망을 예측하는 좋은 인자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급성호흡곤란증후군환자에서 이런 관계가 잘 알려져 있지 않는 바, 저자들은 BNP가 급성호흡곤란증후군 환자에서 사망을 예측할 수 있는 지를 연구하였다. 방 법: 본 연구는 전향적 관찰로 시행되었다. 급성호흡곤란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자들에게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후, 좌심실 구획률이 50% 미만이거나 확장성 심부전 양상을 보인 환자들을 제외하였다. 2003년 12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총 47명의 환자가 채택되었다. 등록된 환자들은 24시간 내로 BNP를 포함한 여러 검사실 수치를 얻었으며, APACHE(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II 점수를 구하였다. 결 과: BNP와 APACHE II 점수 평균값은 생존자군과 사망자군에서 유의한 차의를 보였다(BNP: $219.5{\pm}57.7pg/mL$ vs $492.3{\pm}88.8pg/mL$; p=0.013, APACHE II 점수: $17.4{\pm}1.6$ vs $23.1{\pm}1.3$, p=0.009). BNP 는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r=0.374, p=0.01), 좌심실 구획률과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곡선상, BNP 수치를 585 pg/mL로 잡았을 때 사망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94%의 특이도를 보였으며, APACHE II 점수의 경우에는 15.5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87%의 민감도를 보였다. 이 두 요소를 결합하여 '아파치II 점수+$11{\times}logBNP$' 수치를 계산하여 기준점을 46.14로 했을 경우, 사망 예측에 있어서 민감도 63%, 특이도 82%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 론: 좌심실 기능 부전을 보이지 않는 급성호흡곤란증후군 환자에서 BNP 수치는 생존자군과 사망자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망을 예측할 수 있었다. 향후 급성호흡곤란증후군 환자에 있어서 BNP와 관련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소아에서의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에 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f th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Children)

  • 이택진;김동수;신동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호
    • /
    • pp.42-50
    • /
    • 2003
  • 목 적 : 소아의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은 직접적 혹은 간접적 폐 손상 후 급성적으로 폐포-모세혈관의 손상이 심하게 진행하는 질환군으로 이에 대한 임상 및 연구 자료들이 아직은 부족한 실정이다. 연자들은 단일 기관에서 경험한 소아의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에 대한 발생 양상, 임상 경과, 예후 및 사망 원인들을 분석하여 향후 이 질환에 대한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2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10년간 신촌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으로 진단되었거나 의심되었던 환아 45명 중 1994년 American-European Consensus Conference에서 제안한 진단 기준에 부합하는 33례를 대상으로 임상 양상과 치료에 대한 후향적 자료 분석을 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33명의 연령별 발병 빈도는 1세 미만에서 가장 많았으며(7례, 21.2%) 4세 미만의 환아의 수는 20례로 전체의 60.6%를 차지하였다. 반면 연령별 사망률은 1세 미만에서 57.1%로 가장 낮아 전체 사망률 78.8%(26례)에 비해 상대적으로 치료성적이 좋았으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 남아가 20명이고 여아가 13명으로 남녀비는 약 6 : 4였고 각각의 사망률의 차이는 없었다. 계절별 발병 빈도는 봄철(3-5월)에 12례(36.4%)로 비교적 높았으며 특히 5월에 7례로(21.2%) 가장 높았다. 유발요인으로는 폐렴, 패혈증, 흡인성 사고 등의 순이었으며, 골수 이식 수혜자 1례를 포함하여 면역 결핍 상태의 환아들이 전체의 18.2%(6례)를 차지하였는데 이들 모두가 사망하였다. 내원 당시 흉부 방사선 검사에서 grade 4 이상의 소견을 보인 환아들 중 88.9%(8/9)가 사망하였으나 흉부 방사선 소견에 따른 사망률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진단 시 호흡 부전만 보인 군의 사망률 33.3%(1/3)에 비해 타 장기의 기능 부전이 동반된 군의 사망률이 83.3%(25/30)로 증가되었지만 두 군 사이의 사망률의 통계학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생존군과 사망군의 비교에서는 진단후 7일째 헤마토크리트, 동맥혈 산소 분압, 동맥혈 이산화탄소 분압, $PaO_2/FiO_2$, 그리고 호기말 양압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 론 :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의 사망률에는 호흡 부전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생존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연구되고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냉글로불린혈증 환자에서 발생한 급성호흡곤란증후군 1예 (A Case of Cryoglobulinemia-induced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김병규;심재정;정기환;신정호;이승헌;공희상;김제형;박상면;신철;인광호;강경호;유세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2호
    • /
    • pp.155-160
    • /
    • 2001
  • 한냉글로불린혈증에 의한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은 극히 드문 것으로 보고되었다. 저자 등은 B형 간염을 가진 환자에서, 한냉글로불린혈증과 그에 인한 급성호흡곤란 증후군이 발생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급성폐손상과 급성호흡곤란증후군 환자에서 압력조절환기법을 이용한 폐포모집술의 효과와 안정성 (The Effect and Safety of Alveolar Recruitment Maneuver using Pressure-Controlled Ventilation in Acute Lung Injury and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정경수;박병훈;신상윤;전한호;박선철;강신명;박무석;한창훈;김정주;이선민;김세규;장준;김성규;김영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5호
    • /
    • pp.423-429
    • /
    • 2007
  • 연구배경: 급성폐손상과 급성호흡곤란증후군 대상자에서 폐포모집술의 적절한 방법에 대해서는 정해진 것이 없다. 이 연구를 통해 폐포모집술들 중 압력조절환기법을 이용한 폐포모집술의 효과와 안정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급성폐손상 및 급성호흡곤란증후군에 해당하는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압력조절환기 방식에서 $30cmH_2O$의 흡입압력과 $20cmH_2O$의 호기말양압으로 2분 동안 폐포모집술을 시행하였다. 동맥혈 산소분압, 정맥혈 산소포화도, 혈압과 맥박, 중심정맥압, 폐탄성, 호기말양압, 흉부 X-ray를 시술 전 후로 확인하였다. 결 과: 16명의 대상자들 중에서, 3명은 폐외 급성폐손상 및 급성호흡곤란증후군 대상자였고 나머지 13명은 폐내 급성폐손상 및 급성호흡곤란증후군 대상자였다. 평균 나이는 $61.0{\pm}11.8$세였고, 평균 APACHE II score는 $21.6{\pm}11.9$이었으며, SAPS score는 $44.6{\pm}14$이었다. 폐포모집술 시행 전, 평균 호기말양압은 $11.3{\pm}1.5mmHg$이었으며 평균 동맥혈산소분압/흡입산소분율은 $130.3{\pm}60.2$이었다. 폐포모집술 시행 20분 후, 동맥혈산소분압/흡입산소분율의 비를 측정하여 50% 이상 상승한 경우를 반응군으로 50% 이하로 상승하거나 감소한 경우를 비반응군으로 분류하였다. 8명의 대상자들은 반응군이었고 8명의 대상자들은 비반응군이었다. 두 군간의 인구학적인 특성과 기계호흡의 패턴, APACHE II score, SAPS score, 동맥혈산소분압/흡입산소분율과 혈역동학적 특성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폐포모집술 이후, 동맥혈산소분압/흡입산소분율의 비는 상승하였다(p<0.001). 그 최대치는 폐포모집술 이후 60분에서 관찰되었다. 동맥혈 이산화탄소분압은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폐포모집술 전 후의 평균동맥압의 차이는 없었다(p=0.08). 기흉 등의 압력 손상에 의한 합병증은 없었으며, 단 한 예에서만 혈압 저하로 인해 폐포모집술을 중단하였으나 수액 공급 후 바로 회복되었다. 결 론: 본 연구를 통해서, 압력조절환기를 이용한 폐포모집술은 급성폐손상 및 급성호흡곤란증후군 대상자에서 산소화의 개선을 보였다. 또한 혈역학적 부작용은 거의 없었으며 고압력에 의한 합병증은 없었다. 따라서 압력조절환기를 이용한 폐포모집술은 폐보호전략과 더불어 임상적인 유용성과 안전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증 열대열 말라리아에 동반된 급성호흡곤란증후군 2예 (Two Cases of Falciparum Malaria with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박주헌;신은석;우준희;김은옥;배인규;장재정;지현숙;고윤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4호
    • /
    • pp.888-895
    • /
    • 1998
  • Malaria is one of the most common infectious diseases in the world. Plasmodium falciparum, accounting for nearly all malaria mortality, kills an estimated 1 to 2 million persons yearly and has several features that make it deadlist of malarias. While cerebral malaria is the most common presentation of severe disease, acute lung injury associated with malaria is uncommon but serious and fatal complication. We report two cases of severe malaria with ARDS and multi-organ failure. All two patients traveled to foreign countries, Kenya, Papua New Guinea where choroquine-resistant malaria is distributed. The first case, which developed cerebral malaria, hypoglycemia, multi-organ failure, and ARDS, treated with quinine and mechanical ventilator, but expired due to oxygenation failure. Autopsy showed acute necrotizing infiltration, diffuse eosinophilic fibrinoid deposits along the alveolar space, and alveolar macrophage with malaria pigment The second case also developed multi-organ failure, followed by ARDS, and was treated with quinine, exchange transfusion, plasmapheresis, and mechanical ventilator. He recovered with residual restrictive lung change after treat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