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ute patellar dislocatio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5초

급성 슬개골 탈구증의 관절경적 내측 지지대 봉합술 (Arthroscopic Medial Retinacular Repair in Acute patellar Dislocation)

  • 빈성일;차유철;문호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8-101
    • /
    • 1997
  • Acute patellar dislocation is a painful, terrifying experience that always occurs suddenly. The recurrence is unfortunately common and each experience is just as painful to the patient. With each acute dislocation, additional intraarticular derangement occurs. Therefore the goals of treatments are not only to relieve acute pain by prompt reduction of the dislocation but also to remove any chondral or osteochondral fragments that may be present within the knee joint and to restore normal patellofemoral anatomy, thereby preventing recurrent dislocation and avoiding future patellar subluxation. To present the details of arthroscopic medial retinacular repair in acute patellar dislocation. we report 2 patients with treatment of acute patellar dislocation with osteochondral loose body.

  • PDF

Patellofemoral Instability in Children: Imaging Findings and Therapeutic Approaches

  • Hee Kyung Kim;Shital Parikh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6호
    • /
    • pp.674-687
    • /
    • 2022
  • Patellofemoral instability (PFI) is common in pediatric knee injuries. PFI results from loss of balance in the dynamic relationship of the patella in the femoral trochlear groove. Patellar lateral dislocation, which is at the extreme of the PFI, results from medial stabilizer injury and leads to the patella hitting the lateral femoral condyle. Multiple contributing factors to PFI have been described, including anatomical variants and altered biomechanics. Femoral condyle dysplasia is a major risk factor for PFI. Medial stabilizer injury contributes to PFI by creating an imbalance in dynamic vectors of the patella. Increased Q angle, femoral anteversion, and lateral insertion of the patellar tendon are additional contributing factors that affect dynamic vectors on the patella. An imbalance in the dynamics results in patellofemoral malalignment, which can be recognized by the presence of patella alta, patellar lateral tilt, and lateral subluxation. Dynamic cross-sectional images are useful for in vivo tracking of the patella in patients with PFI. Therapeutic approaches aim to restore normal patellofemoral dynamics and prevent persistent PFI. In this article, the imaging findings of PFI, including risk factors and characteristic findings of acute lateral patellar dislocation, are reviewed. Non-surgical and surgical approaches to PFI in pediatric patients are discussed.

해부학적 변이에 의한 정복 되지 않는 급성 슬개골 탈구: 슬개골의 내측 절흔 (Irreducible Acute Patellar Dislocation with Anatomical Variant: Notched Patella)

  • 나화엽;송우석;이주영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72-276
    • /
    • 2021
  • 대부분의 급성 슬개골 탈구는 자발적 정복 혹은 간단한 술기에 의하여 도수정복이 가능하나 슬개골의 회전, 대퇴골 외과의 골극 능선 돌출, 혹은 해부학적 변이 등의 이상 동반 시 도수정복이 불가능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슬개골의 내측 절흔에 의한 정복되지 않는 급성 슬개골 탈구에 대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슬개골 탈구 환자에서 정복 실패 시, 해부학적 변이 가능성을 염두에 둔 추가적인 영상의학적 검사 및 전신 마취하 정복이 요구된다.

급성 또는 재발성 슬개골 탈구의 치료에 있어서 견인 봉합술을 이용한 관절경적 내측 관절막 중첩술 - 수술 술기 - (Arthroscopic Medial Plication using Pull-out Suture for the Treatment of Acute or Recurrent Patellar Dislocation - Technical Note -)

  • 안진환;김재훈;하해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14-218
    • /
    • 2006
  • 목적: 급성 또는 재발성 슬개골 탈구의 치료에 있어서 내측 슬개-대퇴 인대의 해부학적 위치를 고려하여 견인 봉합술을 이용한 관절경적 내측 관절막 중첩술을 새롭게 고안하였기에 소개하고자 한다. 수술 술기: 관절경하에서 내측 슬개-대퇴 인대가 위치하는 부위의 내측 관절막에 봉합사를 관절 밖에서 안으로 통과시킨다. 슬개골에 유도강선으로 3개의 터널을 뚫는데, 그 관절내 입구가 슬개골의 내측 변연 상부 1/2에 위치하도록 한다. 관절 내로 들어와 있는 봉합사를 슬개골의 터널을 통해 관절 밖으로 빼내고, 봉합사에 긴장을 준 상태에서 적절한 정도로 외측 지대 유리술을 시행한 후 봉합사를 결찰한다. 결론: 본 술기는 최근 중요시되고 있는 내측 슬개-대퇴 인대를 봉합함으로써 내측 관절막 중첩술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슬개골의 아탈구 및 경사를 교정할 수 있으며, 최소 침습적이고 비교적 쉽고 간단하여 급성 또는 재발성 슬개골 탈구의 치료에 있어서 효과적인 술식으로 생각된다.

  • PDF

슬개골 탈구의 수술적 치료 결과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of Patella Dislocation)

  • 김휘택;조윤재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34-141
    • /
    • 2021
  • 목적: 슬개골 탈구는 다양한 원인을 가지고 있다. 슬개골 주위 연부조직 균형을 일차 목표로 한 치료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8명의 환자(여자 21명, 남자 7명)에서 발생한 32예의 슬개골 탈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군의 평균 연령은 11.5세였으며 수술 후 평균 4.6년을 추시하였다. 탈구의 종류는 만성 19예, 습관성 6예, 선천성 6예, 급성이 1예였다. 연부조직 균형 수술은 관절 외측 유리술, 내측 주름술, 내측 대퇴광근의 외측하부 이전술을 기본으로 하였고, 슬개건 전체 혹은 슬개건과 대퇴직건의 내측 일부의 내측 이동술, 원위 대퇴 교정 절골술 등을 선별적으로 시행하였다. 수술 전 Q각과, 대퇴 전염각, 경골 외회전각, TT-TG 거리(tibial tubercle-trochlear groove distance), 기계적 대퇴-경골각, Dejour 분류에 따른 대퇴 과간 절흔 이형성 등을 측정하였고 수술 전후 Lysholm-Tegner 점수를 이용하여 임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전 평균 Q각은 9.3°±5.8°, TT-TG 거리는 15.5±6.2 mm, 대퇴 전염각은 25.6°±12.3°, 경골 외회전각은 30.4°±9.6°, 기계적 대퇴-경골각은 3.0°±6.4°, Lysholm-Tegner 점수는 75.8±9.6점이었다. Beighton score 5점 이상의 전신인대 이완성을 보인 환아는 11명이었다. 대퇴 과간 절흔의 이형성을 가진 환자는 22명이었고, Dejour 등의 분류에 따라 A형이 3명(4예), B형이 15명(16예), C형이 1명(1예), D형이 3명(4예)였다. 32예 중 28예에서 1차 수술로 정복을 얻었고, 아탈구를 보인 4예 중 3예에서 2차 수술, 그 중 1예에서 3차 수술 이후 정복을 얻었고, 1예는 경과 관찰 중이다. Lysholm-Tegner 점수는 수술 후 최종 85.6±11.6점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슬개골 탈구의 다양한 원인을 동시에 모두 교정하기는 어렵다. 연부조직 균형 수술과 함께 대퇴골-경골 기계적 축과 염전 이상 교정 절골술 등 적절한 술식을 조합해야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