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ual evapotranspiration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6초

Extension Test of Midday Apparent Evapotranspiration toward Daily Value Using a Complete Remotely-Sensed Input

  • Han, Kyung-Soo;Kim, Young-Seup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41-349
    • /
    • 2003
  • The so-called B-method, a simplified surface energy budget, permits calculation of daily actual evapotranspiration (ET) using remotely sensed data, such as NOAA-AVHRR. Even if the use of satellite data allows estimation of the albedo and surface temperature, this model requires meteorological data measured at ground-level to obtain the other inputs. In addition, a difficulty may be occurred by the difference of temporal scales between the net radiation in daily scale and instantaneous measurement at midday of the surface and air temperatures because the data covered whole day are necessary to obtain accumulated daily net radiatio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attempted a modification of B-method through an extension of hourly ET value calculated using a complete instantaneous inputs. The estimation of the daily apparent ET from newly proposed system showed a root mean square error of 0.26 mm/day as compared the output obtained from the classical model. It is evident that this may offer more rapid estimation and reduced data volume.

Simulation of Soil Hydrological Components in Chuncheon over 30 years Using E-DiGOR Model

  • Aydin, Mehmet;Jung, Yeong-Sang;Yang, Jae-E.;Lee, Hyun-Il;Kim, Kyung-Dae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84-491
    • /
    • 2012
  • The hydrological components of a sandy loam soil of nearly level in Chuncheon over 30 years were computed using the E-DiGOR model. Daily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for each year during the period of 1980 to 2009 using standard climate data.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and potential soil evaporation based on Penman-Montheith model were higher during May to August because of the higher atmospheric evaporative demand. Actual soil evaporation was mainly found to be a function of the amount and timing of rainfall, and presumably soil wetness in addition to atmospheric demand. Drainage was affected by rainfall and increased with a higher amount of precipitation and soil water content. Excess drainage occurred throughout rainy months (from July to September), with a peak in July. Therefore, leaching may be a serious problem in the soils all through these months. The 30-year average annual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and potential soil evaporation were 951.5 mm and 714.2 mm, respectively. The actual evaporation from bare soil varied between 396.9-528.4 mm and showed comparatively lesser inter-annual variations than drainage. Annual drainage rates below 120 cm soil depth ranged from 477.8 to 1565.9 mm. The long-term mean annual drainage-loss was approximately two times higher than actual soil evaporation.

人工衛星 資料에 근거한 한반도 물수지 분포의 推定 (Estimation of Water Balance based on Satellite Data in the Korean Peninsula)

  • 신사철
    • 물과 미래
    • /
    • 제29권5호
    • /
    • pp.203-214
    • /
    • 1996
  • 물수지향의 정량적 평가는 수문학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개념이다. 물수지는 수자원의 실태 파악과 기후 변화를 포함한 환경 변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그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인공위성 자료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식생자료를 근거로 하여 물수지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NOAA/AVHRR 자료로부터 얻어지는 식생지표 NDVI를 이용하여 직접 실제증발산량을 구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그 결과로서 한반도 전역에 대한 물수지해석을 수행한다. 증발산량, 유출률, 과잉수분량과 부족수분량의 공간적 분포를 NDVI와 간략한 물수지모형으로 이용하여 얻고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함으로서 충분한 지상자료를 얻을 수 없는 북한지역을 포함한 한반도 전역에 대한 수문학적 문제의 논의가 가능하게 된다.

  • PDF

실제증발산 측정 시 연직 풍속 이상치 탐색 및 대체 (Outlier Detection and Replacement for Vertical Wind Speed in the Measurement of Actual Evapotranspiration)

  • 박천건;임창수;임광섭;채효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1455-146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2011년 5월, 6월, 7월에 덕유산 덕곡제에서 관측된 플럭스자료를 이용하여 에디공분산방법으로부터 증발산량을 측정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연직방향 풍속의 이상치 판별 및 대체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직방향 풍속의 이상치를 파악하기 위해 적용된 통계분석방법은 사분위수를 바탕으로 상자그림(boxplot)의 분석결과 중에 이상치를 판별하기 위한 interquartile range (IQR)을 적용하여 이상치를 탐색하였다. 또한 삭제하거나 평균값으로 대체하는 방법을 통하여 보완된 연직방향 풍속자료를 이용하여 증발산량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보완전의 증발산량과 비교분석하였다. 비교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이상치를 대체하기 전의 증발산량과 이상치를 대체한 후의 증발산량 사이에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강우 시에 보다 큰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증발산량 측정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상치를 보완하기 위해 이상치를 삭제하거나 대체하여 증발산량을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SLURP모형의 증발산 모형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the Evapotranspiration Models in the SLURP Hydrological Model)

  • 김병식;김형수;서병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9호
    • /
    • pp.745-758
    • /
    • 2004
  • 수문 모형들은 물 순환에 있어서의 지표 성분을 모의하고 기후 변동이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데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이러한 모형들에 있어서 증발산량(Evapoanspiration, ET)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SLURP 모형에서 증발산량 산정을 위하여 제시하고 있는 FAO Penman-Monteith, Morton CRAE(Complementary Relationship Area Evapotranspiration), Spittlehouse-Black, Granger, the Linacre 등, 5 가지의 방법론이 일 하천유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각 증발산 방법과 SLURP 모형의 매개변수와의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본 논문에서는 SLURP 모형을 이용하여 용담댐 유역의 일 유출량을 모의할 경우 여러 증발산 모형 중 Morton CRAE 모형 이 가장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증발산 상호보완이론을 이용한 가뭄해석 (A drought assessment using the generalized complementary principle of evapotranspiration)

  • 전종안;김대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5호
    • /
    • pp.325-33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상호보완이론(Generalized Complementary Relationship, GCR)을 활용하여 실제증발산량을 추정하고, 추정한 실제증발산량기반 가뭄지수로부터 공통경계미국(Conterminous U.S., CONUS)에 대한 1895~2016년 기간 동안의 가뭄을 해석하는 것이다. GCR 이론으로부터 추정한 $ET_a$는 North American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NLDAS-2) Noah 지면모형(Land surface models)으로 산정한 $ET_a$와 비교 검증하였다. 또한, GCR로부터 증발산 부족량(ET Deficit)을 산정하고 이를 표준정규화하여 공통경계미국에 대해 Standardized Evapotranspiration Deficit Index (SEDI)를 산정하였다. 이렇게 산정한 SEDI는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SPI)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GCR 기반 $ET_a$는 NLDAS-2 Noah모형의 $ET_a$보다 다소 크게 추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SEDI와 SPI의 상관성은 지속시간이 클수록 더 크게 나타났다. 강수와 토양수분의 자료를 사용하지 않는 GCR이론으로부터 비교적 정확한 $ET_a$을 추정할 수 있으며, 증발산 기반인 SEDI가 적절한 가뭄해석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을 위한 관개수량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Irrigation Water for Sewage Treated Water Reuse for Agriculture)

  • 조현경;김상민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1권2호
    • /
    • pp.97-10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estimation method of irrigation water amount for sewage treated water reuse for agricultural purpose. To calculate the irrigation water amount, we adopted Penman-Monteith for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and applied crop coefficient and irrigation efficiency factor. We developed the irrigation water amount calculation program using C language in Xcode environment. The target district for calculation is having 259 ha of agricultural land located near the Jinyeong Clear Water Circulation Center in Hanrim-myeon, Gimhae city. The meteorological data of the study area were obtained from Changwon weather station from 1986 to 2017. Calculated average and maximum of annual mean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were 2.72 mm/day and 6.22 mm/day, respectively. We used K-S (Kolmogorov-Smirnov) for goodness-of-fit test to find optimal probability distribution of annual mean and maximum evapotranspiration. As a result, the normal distribution was selected for the appropriate distribution. The annual mean and maximum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for 10-year return period by applying normal distribution were 2.88 mm/day and 6.76 mm/day, respectively. Assuming that the irrigation efficiency is 80%, the irrigation water requirement was calculated as $36.05m^3/day/ha$ and $84.45m^3/day/ha$, respectively, when annual mean and maximum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were applied. The actual irrigation water amount can be calculated by applying the crop coefficient and cropping days for the study area based on the developed irrigation water amount estimation program in this study.

물 수지 분석에 의한 MODIS 위성 기반의 증발산량 평가 (Evaluation of MODIS-derived Evapotranspiration According to the Water Budget Analysis)

  • 이연길;이정훈;최민하;정성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10호
    • /
    • pp.831-84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MODIS 위성 기반 증발산량의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Revised RS-PM 알고리즘으로 일증발산량 지도를 작성하여 에디 공분산 기반의 증발산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작성된 MODIS 기반의 일증발산량 지도의 공간적인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전적비교 지점을 기준으로 물 수지 성분을 산정하여 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에디 공분산 기반의 증발산량은 플럭스 타워에서 관측된 잠열 플럭스를 KoFlux 프로그램으로 좌표변환, 밀도보정을 수행하여 이상치를 제거한 후 정량화하였다. 이상치 특성으로 발생된 빈 구간(no value)의 자료는 FAO-PM, MDV, Kalman Filter의 3가지 방법으로 보충(Gap-filling)하였다. 면적강우량과 유출량은 KICT(2013)로부터 자료를 제공받아 정량화하였으며, 유역 평균증발산량은 Revised RS-PM 알고리즘으로 작성된 일증발산량 지도로부터 산정하였다. 유역의 저류변화량은 토양수분 변화량이 유역을 대표한다는 가정 하에 관측된 토심별 자료에 유효토심을 고려하여 산정하였다. MODIS 위성과 에디 공분산 기반의 증발산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MODIS 위성 기반에서 330.6mm 정도 증발산량이 크게 산정되었으며, Bias와 RMSE는 평균 -0.91, 2.90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전적비교 지점을 기준으로 물 수지를 분석한 결과, 177.43mm 정도의 편차로 인해 물 수지가 폐합되지 못하였다. 에디 공분산 기반의 증발산량과 물 수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적정성을 평가해 볼 때, MODIS 위성 기반의 증발산량은 설마천 유역의 실제 증발산량을 대표하지 못하였다.

보완관계법에 의한 증발산량 산정 모형의 평가 - 복하천 중상류 유역을 중심으로 - (Assessment of Complementary Relationship Evapotranspiration Models for the Bokahcheon Upper-middle Watershed)

  • 김남원;이정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6호
    • /
    • pp.547-55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잠재증발산량과 실제증발산량 간의 보완관계식을 이용한 대표적인 증발산량 산정모형인 Brutsaert and Stricker (1979)의 AA 모형과 Morton (1983)의 CRAE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서 두 모형을 복하천 중상류 유역에 적용하여 유역평균 실제증발산량을 산정하고, 유역 물수지 결과와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유역은 양질의 하천유량 자료 확보 기간이 짧고, 하천유량 자료 또한 인위적 물이용, 배출로 인해 교란되었기에 강수량, 유출량 등의 관측치 기반의 유역 물수지 결과 보다는 검보정이 잘된 유역수문모형 SWAT-K로 모의한 실제증발산량과의 비교를 통하여 AA 모형과 CRAE 모형으로 산정한 실제증발산량의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AA 모형과 CRAE 모형의 의한 실제증발산량 모두 식생성장기에 과다하게 산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특히 AA 모형은 건조기간동안 실제증발산량이 과소하게 산정되었다. AA 모형과 CRAE 모형의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 매개변수 보정을 수행한 결과, AA 모형의 경우는 건조기간 동안의 적합성을 높이기 위해서 이류항을 추가로 고려하고 Brutsaert and Stricker (1979)의 제안 값 ${\alpha}=1.26$ 보다는 작은 ${\alpha}=1.08$을 사용하였을 때, 그리고 CRAE 모형의 경우에는 Morton(1983)이 제안한 값 $b_1=14Wm^{-2}$, $b_2=1.12$ 보다는 각각 다소 크고 작은 값인$b_1=16Wm^{-2}$, $b_2=1.04$를 사용하였을 때에 연단위, 월단위, 그리고 월별 모두 가장 양호한 실제증발산량 값이 산정되었다.

춘천지역의 장려수도품종의 용수량 측정시험 (The Measuring Experiment of Irrigation Water for Spreading Varieties of Rice Plant in Chuncheon Area)

  • 고희완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93-105
    • /
    • 198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at the experimental Plot of Kang-Weon Province, Institute of Agriculture experiment, to find out Irrigation Water requirement and suitable calculating formula of evapotranspiration on Spreading Varieties of rice plant such as Seul Oak, Bokkwang and Teaback in Chuncheon Area. The evapotranspiration, infiltration, and consumptive use of water were measured by Micro Lysimeter for four years from '86yr. Also, yield of rice was investigated during same period. With the Kc Value taken from experimental value, evapotranspiration was calculated by methods of Blaney & criddle, Penman, Hargreaves and Thornthwaite by Computer using meteorological data in Chuncheon Area for twenty one yrs from '66yr to '86yr. All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average value of experiment for four years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yield by varieties through this experiment showed 1.06 times in Seul Oak, 1.94 times in Bokkwang and 1.89 times in Teaback more than Standard Yield. 2) The consumptive use of water including infiltration were 1.068.4mm in Seul Oak, 1,102. 6mm in Bokkwang and 1,195.6mm in Teaback 3) The evapotranspiration by Actual measurement presented 520.lmm in Seul Oak, 540.lmm in Bokkwang and 598.4mm in Teaback 4)The ratio of evapotranspiration and infiltration over Panevaporation showed 1.2 to 1.4. 5) The irrigation water reguirement by water balance were shown to be irrigated more than 584 mm / yr in average during 21 years from '66yr to '86yr for all Varieties and those for loyr frequency 693 mm in Seul Oak, 712 mm in Bokkwang and 728 mm in Teaback respectively. 6) Crop Coefficient (Ke Value) of the tested rice plant during the period were shown as Table 10. 7) Penman Method was the formula the most close to experiment Value among four different methods of Blaney & Griddle Penman, Hargreaves, and Thornthwai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