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ivity-oriented Intervention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5초

유비쿼터스 의료환경에서 순환식 과제 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ask-Oriented Circuit Training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Chronic Stroke Patients)

  • 이규동;김영훈;문종훈;박경영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651-660
    • /
    • 2018
  • 본 연구는 순환식 과제 지향적 집단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경기도 부천 소재의 H 병원에 입원한 20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중재 전과 후 상지 기능과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뇌졸중 기능회복 평가, 운동 활동 지표, 뇌졸중 영향 척도, 캐나다 작업 수행 평가, EQ-5D를 사용하였다. 대상자들을 무작위 할당하여 순환식 과제 지향적 집단훈련을 시행한 실험군 10명과 보존적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 10명으로 할당하였다. 중재 후, 두 그룹 모두 상지 기능의 향상을 보였으며, 중재 전과 후 운동 활동 지표, EQ-5D 평균 변화량 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캐나다 작업 수행 평가 결과 다림질하기, 빨래 널기, 수건 접기 활동이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이 수행도, 만족도의 향상을 보였다. 순환식 과제 지향적 집단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순환식 과제 지향적 집단훈련을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임상적 중재로 활용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과제지향적순환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 일상생활동작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사례연구 (Effects of Group Task-Oriented Circuit Training on Motor Function, ADLs and Quality of Life in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 Case Study)

  • 고명숙;전혜선;황수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894-190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뇌졸중 환자에게 운동학습이론을 기초한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를 병행한 집단 과제지향적 순환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운동기능,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적인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6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31주간 실시하였다. Chedoke-McMaster 뇌졸중평가, 균형검사, 일상생활활동 운동 처리기술 평가(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AMPS)와 뇌졸중 영향척도 측정을 치료 전과 후에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운동기능 손상영역, 균형과 뇌졸중 영향척도의 기분과 정서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일상생활활동 운동 처리기술 평가는 운동(motor)영역에서 6명 중 3명에게 처리(process)영역은 4명에서 훈련 후 향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집단 과제지향적 순환훈련은 지역사회 만성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기능 향상에 이점이 있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참여형 개선기법(PAOT)의 원리를 적용한 대사증후군 관리 프로그램 효과분석 (The Effect of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Program Applying Participatory Action-Oriented Training Principle)

  • 윤성용;우극현;김화성;김용배;김진석;조성용;이성수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81-95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participatory action-oriented training (PAOT) principle for the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 and to assess its effectiveness in the workplace. Methods: The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program applying participatory action-oriented training (PAOT) principle is constructed action checklist, Group discussion, self-creation of an action plan, after 3 months, 6 months, 1 year, the practice carried out check up and encourage practice activity. Results: The seventy-seven workers who participated in the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program made a total of 246 action plans, 3.8 action plans per person and 234 action plans were achieved after one year, so that 81.0% of action plans have been achieved. After 1 year, in the intervention group, systolic blood pressure (SBP)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body mass index (BMI), the risk factors score de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decreased 54.8%. whereas the control group also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d in the mean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the risk factors score. but, low-density lipoprotein (LD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nclusion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program applying participatory action-oriented training (PAOT) principle, the need to continues implementing programs and analysis of the long-term effects are required. Participatory action-oriented training (PAOT) principle can applying without cost and time, the human burden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such as metabolic syndrome.

입원 환아 가족의 대처 (Family coping of family who has a hospitalized child)

  • 탁영란;여지영;박영의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6권2호
    • /
    • pp.240-248
    • /
    • 2000
  • Nurses working with families who has a hospitalized child are aware of the complexity of the tasks and stresses they deal with new setting of environment. The challenge is to assess the family coping activity that require the most immediate intervention for the effective nursing care for child and family. This study describe the family coping inventory for the clinical guidance to identify a family coping with stress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at the factors related to the family's coping activity when the child was hospitalized.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a questionnaire between July and August, 1999, in a sample of 106 families who have hospitalized child. Family coping was assessed using Family Crisis Oriented Personal Evaluation Scale(F-COPES). Data was analyzed using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nalysis of variance.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ocial support, reframe with mobilizing the family to acquire and accept help in sub-domain of family coping. Strongest correlation existed between the family's spiritual support and total family coping. The type of diagnosis, the level of family income, religion, and child's ag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family coping. The result show that the family coping is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and family, as well as the factors of coping activity. Therefore, early assessment of family coping skill and activity is important to the prevention of problem with function toward wholeness as a unit and child's well being. It can be used with a broad range of child's hospitalization process. It also serve as a nursing record and planning tool for documenting issues that may become priorities for future interventions.

  • PDF

척수장애인 신체활동 증가를 위한 피트니스 아바타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Fitness Avatar Model for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in Individual with Spinal Cord Injury)

  • 강선영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4권3_1호
    • /
    • pp.65-7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척수장애인의 신체활동 증가를 위한 피트니스 아바타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해마다 장애인구의 비율은 증가하고 있으며, 이 중 지체장애인에 포함되는 척수장애인의 비율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 마비로 인해 체육시설로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척수장애인들의 신체활동 필요성이 더욱 절실한 상황에서 이들이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신체활동 방법으로 가상현실에 기반을 둔 신체활동량 증가 방법은 가장 혁신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방식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척수장애인의 다양한 신체활동을 활성화하고 보급하기 위하여 신체활동 전후로 용이한 방법을 통한 건강 및 체력 검사를 진단받을 수 있는 시스템 구축과 지속적인 신체활동 수행을 위한 지원체제의 확립이 필수적이며, 둘째, 지속적 신체활동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동기부여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므로 이를 위하여 신체활동 변화단계를 고려하고 단계별 수준에 적합한 피드백(feedback)을 제공하며 중재 효과를 검증하는 과정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과제지향적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기민성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 Training on Dexterity of Affected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and ADL in Stroke Patients)

  • 엄숙;김수경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5-66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과제지향적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기민성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15명의 뇌졸중 편마비 환자를 선정하여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사용하였다. 대상자는 동영상을 통하여 과제지향적 동작수행을 관찰한 후 동작을 반복적으로 모방 연습하였다. 훈련은 주 3회, 회당 20~30분, 3주간 실시하였다. 환측 상지기민성에 대해 MFT, 10초 검사, 박스와 나무상자 검사를 시행하였고, 일상생활활동은 MBI, MAL을 수행하였다. 전, 후 비교는 윌콕슨 부호순위검정를 사용하였다. 결과 : 훈련 후, 대상자의 환측 상지기민성은 훈련 전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일상생활활동 또한 훈련 전과 훈련 후에 유의미한 증진을 보였다. 결론 : 과제지향적 과제를 적용한 동작관찰훈련은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기민성과 일상생활활동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동작관찰훈련을 작업치료 중재 유형의 한 전략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우울증상 해결자원의 유용성 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건강예방에 대한 함의 (Factors Affecting Beliefs on Usefulness of Resources to Alleviate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Adults: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Prevention)

  • 이선혜;서진환;정슬기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3
    • /
    • 2011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beliefs of Koreans on the usefulness of various resources they use to alleviate depressive symptom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beliefs on different approaches to depressive symptoms. Methods: A household survey was conducted on a stratified sample of adults of age 18~74 (N=1,607) in 2009.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ad a case vignette of depression and to provide their opinion about usefulness of 39 types of resources as ways of addressing the symptoms. Factors affecting opinions on usefulness of various resources were examined with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three approaches identified via factor analysis were believed to be useful in the order of 'psychological/relational/activity-oriented', 'lifestyle/cultural', and 'physical/medical' approaches.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correct recognition of symptoms increased the likelihood of positive opinion about psychological and physical approaches, and so did having current symptoms about physical and popular approaches. Past help-seeking experience increased the likelihood of negative opinion about physical approach, however. Conclusions: Strategies to adopt various types of resources need to be developed, including rigorous use of psychosocial methods, mechanisms to control service quality, and the integration of diverse resources into the current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뇌졸중 환자의 상지 경직 감소와 기능 향상을 위한 국소 진동자극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Effectiveness of Focal Muscle Vibration on Upper Extremity Spasticity and Function for Stroke Patients : A Systematic Review)

  • 원경아;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3호
    • /
    • pp.23-33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국외 학술지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를 통해 경직을 가지고 있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진동자극의 효과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전자 데이터베이스인 NDSL과 RISS를 사용하여 2009년 4월부터 2017년 10월까지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 용어로 'Vibration therapy', 'Focal vibration ', 'Somatosensory', 'Upper limb'와 'Spasticity after stroke를 사용하였다.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을 통해 최종적으로 6개의 논문이 선정하였다. 결과 : 국소 진동자극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중재방법으로는 진동자극만을 적용한 중재부터 과제기반 진동자극 중재부터 다양하였다. 중재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경직, 상지기능, 일상생활동작 평가도구가 사용되었다. 국소 진동자극은 뇌졸중 환자의 경직 감소와 상지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뇌피질의 활성화에도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치료사들은 국소 진동자극 적용에 필요한 정보 및 근거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다양한 국소 진동자극의 적용 방법으로 인해 효율적인 진동수, 진폭의 크기 및 진동을 적용할 위치를 확인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향후 국내연구에서는 국소 진동자극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체계적인 중재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일본의 민경협력치안제도에 대한 고찰 및 시사점 (Review on the Cooperative Policing System in Japan)

  • 김규식;최응렬
    • 시큐리티연구
    • /
    • 제36호
    • /
    • pp.29-55
    • /
    • 2013
  • 현대 사회에서 치안서비스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수준은 시간이 흐를수록 상승하고 있고, 경찰의 한정된 자원만으로는 감당하기에 부족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지금까지 국가가 독점했던 경찰활동은 다양한 치안활동의 주체들과 협력하는 시스템으로 변해가고 있으며, 지역사회는 경찰이 감시하고 법을 집행해야 할 대상 또는 공간이 아니라 효율적인 경찰활동을 위한 협력자로 인식하고 있다. 일본경찰은 오래 전부터 협력치안을 중심으로 한 경찰활동을 강화하기 위하여 지역주민과 함께 주민들의 신변을 위한 범죄예방과 검거활동, 주민의 불안과 고뇌 등의 다양한 문제 해결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의 문제를 파악하고 지역주민들과 함께 해결해 나가고 있다. 협력 치안활동을 위한 가장 대표적인 법적 근거에 해당하는 1979년 나가오카쿄시(長岡京市) 방범추진에 관한 조례를 시작으로 최근에는 도쿄도의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안전 안심 마을 만들기 조례(東京都安全 安心まちづくり條例)와 함께 지역사회 내의 주택, 도로, 공원, 주차장, 번화가, 학교, 상업시설 등 공간에서 발생하는 범죄취약지역과 각종 시설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시행규칙과 시행령이 제정 시행되고 있다. 일본의 민경협력치안활동은 단순히 범죄예방을 위해 경찰이 개입하는 것이 아니라 범죄의 도시를 재생하기 위해 오래전부터 실시해온 국가정책의 일환이며, 이에 경찰뿐만 아니라 국토교통성, 총무성, 법무성, 문부과학성, 수상관저실 등 모든 정부부처가 범죄예방과 퇴치 및 안전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협력하고 있는 민경협력치안활동 시스템은 가장 주목받는 시스템이며 그 시사점이 크다 하겠다.

  • PDF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 우울 정도와 우울 대응행동 간의 관계 (Relationship of Psychological Separation, Depression and Antidepressive Coping Behaviors in University Students)

  • 전해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655-266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 우울 및 우울 대응행동에 대해 파악하고, 심리적 독립과 우울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충청도 소재의 4개교의 대학생 13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우울 수준은 우울하지 않음 54.2%, 경증 우울 22.9%, 중증 우울 16.8%, 심한 우울 6.1%로 나타났으며, 우울 대응행동은 인지활동지향행동 30.76%, 혼자하는 행동 28.32%, 대물지향행동 25.50%, 대인관계지향행동 15.06% 순으로 나타났다. 우울 수준에 따라 아버지의 심리적 독립은 기능적, 정서적, 갈등적 독립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어머니의 심리적 독립은 우울 수준에 따라 갈등적 독립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아버지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은 기능적, 태도적, 정서적, 갈등적 독립의 모든 영역에서 우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은 갈등적 독립만 우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심리적 건강향상을 위한 간호중재는 아버지로부터의 심리적 독립 수준을 강화하고 어머니와의 갈등적 독립을 해결하기 위한 전략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며, 보다 바람직한 우울 대응행동을 할 수 있도록, 사회적, 정서적 지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