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ive Coping Strategy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1초

When in danger, who will help you? Two types of trust in technical coping on online platforms

  • 이새롬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2권4호
    • /
    • pp.69-94
    • /
    • 2023
  • Purpose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platforms employ distinct networking strategies to meet the varying needs of their users, resulting in divergent sets of technological functionalities offered by each platform. Consequently, unique features on various SNSs give rise to distinct social issues. Moreover, the available technical coping mechanisms for users vary significantly across platforms. Design/methodology/approach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affecting technical coping intention based on technical functions of SNSs for users exposed to cybercrime, such as sexual harassment. We divide coping intention into active and passive coping intention. Furthermore, this research focuses on trust as an antecedent of coping intention and verifies how human and system-like trust affects two coping intentions in different directions. Findings Findings reveal that system-like trust significantly affects both active and passive coping intention as a belief in whether the technology will work properly. However, in the case of human-like trust, trust in the platform provider was found to negatively affect passive coping, which is considered unsocialized behavior on SNS platforms. Therefore, both human-like and system-like trust for the platform must be appropriately applied to cope with the problem while activating the platform.

인지행동적 학업스트레스 대처훈련이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Academic Stress Coping Training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Academic Stress and Coping Strategy)

  • 김소라;홍상황
    • 초등상담연구
    • /
    • 제10권1호
    • /
    • pp.19-38
    • /
    • 2011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학업스트레스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한 인지행동적 학업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상남도 소재 Y초등학교 24명의 아동을 각각 훈련집단과 통제집단에 12명씩 임의 배정하여, 매회 40분씩 주 2회, 6주간에 걸쳐 총 12회기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전후와 종료 4주 후에 학업스트레스 질문지와 학업스트레스 대처방식 질문지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프로그램은 먼저 학업스트레스 유발상황 조사지를 제작하여 초등학생들이 흔히 경험하는 학업과 관련된 스트레스상황을 조사하고, 그러한 상황에서 아동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인식하도록 도와주어 학업스트레스 유발상황에서 나타나는 인지적 왜곡을 수정하여 학업스트레스에 적절하게 대처하는 방법에 초점을 두고 구성하였다. 또한 국가 청소년 위원회에서 위기청소년을 위해 개발한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학업스트레스를 조절하는데 사용된 기존의 프로그램들을 초등학생에게 적용 가능한 형태로 수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인지행동적 학업스트레스 대처훈련은 첫째, 아동들이 학업스트레스 유발상황에서 경험하는 성적, 수업과 공부 및 과제관련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그 효과를 지속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을 유의미하게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처방식 중 소극적-회피적 대처와 도움추구적 대처는 유의미하게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적극적 대처에 미치는 효과는 다소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스마트폰중독 위험군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 스트레스 대처방식, 정신건강의 구조모형분석 (A study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Interpersonal problem, Stress coping strategy,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at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 이유리;박정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93-29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스마트폰중독 위험군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 스트레스대처방식, 정신건강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대인관계문제는 정신건강의 심각성을 악화시키는 직접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대처전략은 대인관계문제와 정신건강 사이의 영향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극적 대처는 위험요인, 적극적 대처는 보호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중독 위험군 대학생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다양한 실천적 정책적 개입전략을 제시하였다.

통증으로 유발한 능동 및 수동 대처상황에서 체질에 따른 Heart Rate Variability 분석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in Constitution Types During Active and Passive Coping Caused dy Electroacupuncture)

  • 김진근;장경선;이상관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5-12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iological base of coping strategy and the different constitutions. First of all, subjects were divided in to 3 groups dy Questionnaire for the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II and Yin-Yang Property Analysis. Then each group was assigned into two experimental coping conditions, active and passive condition, in turn. The SDNN(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NN Intervals) of HRV(Heart rate variability) index was estimated from two conditions after giving a aversive pain stimulu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nteraction between constitution and coping condition is significant(p<0.05). 2. The SDNNs of Shaoyangren are higher than those of Taiyinren under passive condition but it was opposite under active condition(p<0.05). 3. The main effect of constitution is also significant but that of coping condition is not significant. 4. Thee Shaoyangren is higher than Shaoyinren in multiple comparisons(p<0.05). 5. The interaction between Yin-Yang constitution and coping condition is significant and the main effect of only constitution is significant(p<0.05). According to these results, different constitution can respond differently to coping condition and It is highly related to biological mechanism associated with two basic coping strategies.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따른 음악활동과 음악선호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Musical Activities and Musical Preference according to Coping Strategy of University Students)

  • 황은영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9권1호
    • /
    • pp.1-19
    • /
    • 2012
  • 이 연구는 대학생들을 위한 스트레스 감소 음악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 전략에 따라 음악활동과 음악선호가 어떠한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대학생 168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스트레스 대처 전략, 음악활동과 음악선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보통 이상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스트레스 대처 전략은 문제중심적 대처, 사회적지지 추구 대처, 소망적 사고 대처, 정서완화적 대처순이었다. 성별에 따라 대처전략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대학생들은 음악감상을 가장 많이 하고 가장 선호하였다. 선호하는 활동은 성별, 대처전략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많이 하는 활동은 음악전공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활동의 목적에 있어서도 악기연주의 경우 성별,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작곡의 경우는 음악전공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대학생들은 대중음악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선호하는 장르도 성별, 음악전공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선호하는 음악요인에 있어서도 멜로디, 소리크기, 가사주제에 대해서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화성과 친숙도는 음악전공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한편, 리듬, 음색, 감상방법에 대해서는 대처 전략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일개 제조업 근로자의 자기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 증상과 대처기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efficacy on Job Stress Symptoms and Coping Strategies among Workers in a Manufacturing Company)

  • 권수영;정혜선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4-44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job stress symptoms and coping strategies depending on perceived job stress. Method: The subjects were 447 workers employed in a manufacturing compan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job stress, job stress symptoms and coping strategies were assess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Each envelope to keep the secret sealed completed questionnaires. Result: Job stress and job stress symptoms in workers with a high level of self-efficacy were lower than those of a low level of self-efficacy. Active coping strategies in workers with a high level of self-efficacy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a low level of self-efficacy.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job stress symptom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increasing job stress, increasing self-efficacy, office workers, manager group and increasing age. Active coping strateg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increasing self-efficacy, increasing career, males and decreasing job stress. Whereas passive coping strateg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s, increasing job stress and increasing self-efficacy.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elf-efficacy is a significant factor on job stress, job stress symptoms and coping strategies. Therefore, developing a job stress management program to increase self-efficacy and verifying its effects are needed.

  • PDF

중고령자의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Middle-aged and Older People on Strategy of Coping Stress)

  • 임안나;박영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19-328
    • /
    • 2017
  • 본 연구는 국민연금연구원의 노후보장패널조사 5차 부가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사 대상자는 전국의 50세 이상의 중고령자 7763명이다. 먼저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경제수준이 높은 경우,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 주된 생활비를 본인과 부부가 마련하는 경우에 다양한 유형의 대처전략을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사회적 지지의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적극적 대처, 소극적 대처, 사회적 지지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회피적 대처방식을 사용하였다. 위의 결과에 따라 중고령자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 사회적 지지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고령자의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 가족과 지역사회의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정서조절 능력 및 행동문제: 저소득층 아동과 일반아동 비교 (Relationships Among Stress Coping Strategies,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Behavior Problems in Children from Low-income and Middle-income Families)

  • 김병옥;이진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051-1063
    • /
    • 2008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coping strategies,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behavior problems with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and middle-income families. Subjects were 171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and 228 children from middle-income families, 4th -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The major findings are followings: (1) The level of emotion regulation ability in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was lower and ac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were less than children from middle-income families. In the behavior problem,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were higher than children from middle-income families. (2) The stress coping strategies(active/ social support) in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were related with internal behavior problem(anxiety /withdrawal). And the emotion regulation ability was related to the children's behavior problem. (3) Regression analysis model showed that emotion-regulation ability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the children's behavior problem, and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with aggressive coping strategy showed hyperactive behavior problem. So, the education/therapy programs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have to be developed and practiced in schools, local children centers and so on.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의 대처유형 (The Types of Coping Strageties in Family Caregivers of Demented Elderly)

  • 김춘미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51-361
    • /
    • 2003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types of coping strategies that family caregivers experience during the process of caring demented elderly: to grasp the coping strategies used for resolving this problem: and to develop a substantive theory by analyzing the coping types of the family caregivers of demented elderly. Method: The methodology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as grounded theory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 (1990).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using open-ended and descriptive questions about their coping experiences. All data were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2000 to February, 2001.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7 women. Results: Caregiver's coping types varied according to 'family's support', 'the condition of caregiver's health', 'the relationship with dementia elderly', 'family perception of dementia', 'fixed idea of traditional female role' and 'economic state'. In this study, five types of coping strategies were emerged: active role allotment tyle, meaning grant tyle, devotion tyle, duty defense type, and pessimism type. Among these, those who belong to the types of active role allotment, meaning grant, and devotion, including caregiver's good health were found to adapt themselves to caregiver rol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helpful for developing effective and individualized nursing strategies suitable for individual caregivers coping types. It is suggested to practice nursing mediation and to analyze the changes in nursing effect and family members' adaptation based on coping types of the well-adapted caregivers as we as on their affirmative coping strategy.

  • PDF

간호학생의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 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 박미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614-625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적응유연성 수준을 파악하고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간호학생의 적응유연성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D광역시 일개 대학의 간호학과 학생 중 자발적 참여에 서면 동의한 155명을 대상으로 2018년 4월 15일부터 5월 30일까지 자가보고형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변수의 측정을 위해 적응유연성, 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긍정정서, 스트레스 대처전략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분석을 통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그에 따른 적응유연성 차이, 각 변수의 수준 및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적응유연성은 평균 3.54점으로 측정되었으며 학업성적과 전공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적응유연성은 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긍정정서,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전략,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자기효능감(${\beta}=.39$, p<.001),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전략(${\beta}=.26$, p<.001), 사회적 지지(${\beta}=.16$, p<.001)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들의 적응유연성에 대한 전체 설명력은 51.0%였다. 간호학생이 학업 및 취업과 관련된 스트레스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회복하여 적응할 수 있도록 적응유연성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기효능감,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전략, 사회적 지지와 같이 간호학생의 적응유연성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들을 촉진하여 간호학생의 적응유연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