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orn powder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18초

도토리 조전분 및 겔 파우더에 대한 수입 원산지별 전자코 분석 (Analysis of Gel Powders Created from Different Acorn Crude Starches to Determine Country of Origin)

  • 양기현;이근종;김미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816-822
    • /
    • 2012
  • GC-IMS를 이용한 도토리 조전분의 향기성분에서 주성분 PC 1, PC 2, PC 3 값을 얻었으며 2차원 그래프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 국내산의 경우 PC 1에서 모두 (+)값을 보였고 최소범위 0.81 이상의 양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PC 1의 기여율은 60.5%였고, PC 2의 기여율은 22.8%, PC 3의 기여율은 6.0%이었으며 누적기여율은 89.6%로 국내산, 북한산, 중국산 모두 PC 1의 값만으로도 향기패턴 구분에 필요한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PC 1과 PC 2에 대한 10개의 데이터를 평균값으로 표현했을 때 PC 1에서 국내산의 경우 441.8, 북한산 184.4, 중국산 222.0으로 나타났으며 국내산과 북한산, 국내산과 중국산은 각각 유의적 차이를 보였고 (p<0.05), 북한산과 중국산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PC 2에서는 국내산은 1247.4, 북한산은 681.7로, 중국산은 575.9로 나타나 국내산과 북한산, 국내산과 중국산은 각각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나(p<0.05), 북한산과 중국산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도토리묵을 제조하여 동결 건조시킨 후 분쇄한 시료를 가지고 분석한 겔 파우더에서도 주성분 PC 1, PC 2, PC 3 값을 얻었으며 2차원 그래프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 국내산의 경우 PC 1에서 모두 (-)값을 가졌고 최소범위 -0.10 이상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PC 1의 기여율은 40.7%, PC 2의 기여율은 27.9%, PC 3의 기여율은 15.2%였으며 누적기여율은 83.8%였다. PC 1과 PC 2에 대한 10개의 데이터를 평균값으로 표현했을 때 PC 1에서 국내산의 경우 231.7, 북한산 246.5, 중국산 294.3으로 나타났으며 국내산과 중국산, 북한산과 중국산은 유의적 차이를 보였고(p<0.05), 국내산과 북한산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PC 2에서는 국내산은 278.0, 북한산은 217.6, 중국산은 239.5로 나타나 국내산과 북한산, 국내산과 중국산에서 각각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북한산과 중국산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GC-IMS를 이용한 도토리 조전분 및 도토리묵에 대한 겔 파우더의 원산지 판별에서 주성분 PC 1과 PC 2의 값만으로도 국내산과 수입산(중국산과 북한산)의 구별이 가능하였다.

상수리 상실(橡實) 성분의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제II보 상수리 성분의 항산화 효과 (Study on Antioxidant Effects of Acorn(Quercus acutissima CARRUTHERS) Components;II. Antioxidant Effect of Acornic Compound)

  • 신두호;조정순;정승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3-109
    • /
    • 1993
  • Acornic powder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nd ethylacetate to obtain a crude acornic compounds. And they were examined concerning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for linoleic aci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Hydrogen donating activity for DPPH was higher in 100ppm acornic compound than 100ppm BHT and 100ppm ${\alpha}$-tocopherol. 2. When the 100ppm acornic compound was added to linoleic acid, which was heated at $50^{\circ}C$ for 48 hours, antioxidant activities by POV and TBA was higher than that of 100ppm ${\alpha}$-tocopherol, but the effect was almost the same as the 100ppm BHT. 3. Antioxiodant activity of acornic compound showed synergistic effect along with mal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alanine, arginine, histidine, lysine-HCl, galactose, maltose, glucose and sucrose. 4. Acornic compound inhibited peroxidation of linoleic acid induced by heavy metals.

Component Analysis of Acorns of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Variabilis

  • Lee, Hyunseok;An, Chanhoon;Han, Sangurk;Lee, Wiyoung;Jang, Kyunghwa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2호
    • /
    • pp.103-112
    • /
    • 2016
  • To compare seed components of plus trees, seed powder ground after seedcoat removal was analyzed for two oak species, i. e., Quercus monglica (white oak) and Quercus variabilis (red oak), which are typical oak trees in Korea but have different fruiting characteristics. Thus we aimed at analyzing and comparing many ingredients including minerals, sugars, etc. Two species were similar to each other in the content of water, crude ash, crude protein and carbohydrates, but crude lipid content in Q. variabilis was 2.5 times higher than that in Q. mongolica. Crude proteins of Clone 124 was 1.5 times higher than that of Clone 75 in Q. mongolica. Crude lipid content showed the highest value in Clone 0511 of Q. variabilis, and more phosphate and iron was found in Q. monglica than in Q. variabilis. Glucose showed 85.4% and 88.3% on average of the total monosacchrides in two species, and galactose and arabinose were also found. In the content of phosphate, iron, and crude lipid,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wo species and among clones of two species.

표고버섯 톱밥 인공재배(人工栽培)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rtificial Cultivation of Lentinus edodes on sawdust media)

  • 김한경;박용환;차동열;정환채
    • 한국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2-47
    • /
    • 1987
  • 표고버섯의 배양적 특성과 톱밥수종 및 첨가재료를 이용(利用)한 인공재배(人工栽培) 가능성(可能性)을 검토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표고버섯의 톱밥인공재배(人工栽培)에 적합한 균주(菌株)는 ASI3046 균주(菌株)이며 균계생육(菌系生育) 최저온도(最低溫度)는 $22{\sim}26^{\circ}C$, pH는 $5.5{\sim}6.5$ 이였다. 2. ASI3046 균주(菌株)에 대한 균계생육(菌系生育)이 양호(良好)한 탄소원(炭素源)은 glucose이며 질소원(窒素源)은 peptone과 ammonium tartrate 였다. 3. 표고버섯 통밥인공재배시(人工栽培時) 배지(培地)의 수종 및 첨가재료(添加材料)는 혼합(混合)통밥(참나무톱밥+포플라톱밥)에 상수리 분말 5% (v/v)에 미강 10% (v/v)를 첨가(添加)한 구에서 군계생장(菌系生長) 및 균계밀도(菌系密度)가 양호(良好)하고 자실본수량도 높았다. 4. 표고버섯 통밥인공재배(人工栽培)에 적합한 균주(菌株)는 ASI3046 균주(菌株) 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