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onitum sibiricum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한국산(韓國産) 부자류(附子類) 생약(生藥)에 대한 연구(硏究)(I) -노랑투구꽃의 성분(成分) 연구(硏究) 및 관련된 부자류(附子類)의 독성(毒性) 비교(比較)- (Studies on Korean Aconitum Species(I) -An Alkaloid of Aconitum sibiricum and the Comparison of Toxicities among Related Aconitum Species-)

  • 정보섭;김신근;이형규;김승한
    • 생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8-113
    • /
    • 1984
  • The structure of tuguaconitine, MP $196{\sim}198^{\circ}C$, a new diterpene alkaloid isolated from the roots of Aconitum sibiricum P., was studied. Its empirical formula is $C_{23}H_{35}NO_7$ and spectroscopic evidence shows that the base contains three methoxyl, three hydroxyl and one N-ethyl groups. The acute toxicities of most of Aconitum species were strong and the acute toxicity of the alkaloid fraction of A. sibiricum was decreased by Glycyrrhizae, black bean or Zingiberis extract.

  • PDF

수종 생약이 일차배양한 계배의 뇌세포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Effect of Several Crude Drugs on Cultured Chicken Brain Cells)

  • 박미정;송진호;김영중
    • 생약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2-36
    • /
    • 1989
  • Effects of Lycium chinensis, Epimedium koreanum and tuguaconitine which is isolated from Aconitum sibiricum on primary culture chicken embryonic brain cells were studied by microscopic observation and determined of the activity of pyruvate dehydrogenase complex(PDHC). Brain cells were prepared from the brain of 10-day-old chicken embryo and cultured with a medicine consisted of 90%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DMEM) and 10% horse serum. It was observed that all substances studied seemed to show the tendency to stimulate the neurite outgrowth of brain cells which were cultured with a deficient medium under microscopic observation. The activity of PDHC in brain cells cultured with a deficient medium was increased by Lysium chinensis and Epimedium koreanum. However, tuguaconitine had not influence on the activity of PDHC.

  • PDF

한국산 줄바꽃 종집단의 분류학적 연구 (Systematic Study on the Aconitum alboviolaceum Complex (Ranunculaceae) in Korea)

  • 이수랑;박종욱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77-50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Aconitum alboviolaceum Kom. complex에 속하는 6종 중 한국산 4종(A. alboviolaceum, A. longecassidatum, A. pseudolaeve, A. quelpaertense)을 대상으로 형 태 및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s Analysis)과 엽록체 DNA psbA-trnH IGS, trnL intron 및 tmL-trnF IGS 구간의 분석을 통해 각 분류군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그 한계 및 분류학적 위치를 명확히 설정하고자 하였다. 형태분석 결과, 기존에 보고되었던 주요 식별형질에서 형태변이가 종 및 개체군 수준에서 복잡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주성분분석 결과 각 분류군들은 종 및 개체군 수준에서 유집 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혼합된 양상을 보였다. 염기서열 분석 결과, l0개의 염기치환과 3개의 indel이 관찰되었고, 이를 통해 얻어진 neighbor-joining tree에서 나타난 4개의 그룹은 종 및 개체군을 반영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omplex 내 분류군들에 관한 기존의 형태형질에 근거한 분류체계를 지지하지 않으며, 이들 분류군 간의 분류체계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고 본다.

장수상황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한약재의 고체발효 및 메탄올 추출물의 트롬빈 저해 활성과 항산화 활성 (Solid Fermentation of Medicinal Herb Using Phellinus baumii Mycelium and Anti-thrombin and Anti-oxidation Activity of its Methanol Extract)

  • 신용규;장한수;김종식;류희영;김종국;권인숙;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01-208
    • /
    • 2008
  •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 균사체를 이용한 한약재의 고체발효를 통한 기능성 강화 한약재 생산을 목적으로, 항산화 활성 또는 혈류 개선활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36종의 한약재를 멸균 후, 장수상황버섯 균사체를 접종하여 고체발효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2^{\circ}C$, 상대습도 90% 배양기에서 20일간 발효시킨 결과, 감국, 대추, 백부자, 신이 및 황정을 제외한 31종에서 양호한 발효가 진행되었으며, 발효 가능여부는 한약재 식물체의 사용부위의 구조적 견고성, 영양조건 및 항진균 활성 등과 연관되리라 판단된다. 한약재의 고체발효 이후, 발효전과 비교하였을 때 평균 수분함량은 $30.84{\pm}15.67%$에서 $67.21{\pm}11.43%$로 2.2배 증대되었으며, 평균 메탄올 추출효율과 평균 pH는 $13.91{\pm}12.22%$$5.06{\pm}0.87$에서 각각 $11.16{\pm}7.06%$$4.83{\pm}0.73$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한 항혈전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골쇄보, 천련자, 도엽, 와송의 경우에는 트롬빈 저해 활성이 각각 발효전에 비하여 31.38, 23.63, 22.57, 13.85% 증가되었으며, 원지, 현삼, 백지, 향부자, 골쇄보 및 육종용에서는 DPPH 소거능이 발효전에 비해 각각 58.9, 49.8, 48.1, 32.8, 24.1, 20.7% 증가되어 장수상황버섯 균사체 발효 한약재의 긍정적 생리활성 증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상황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한약재의 고체발효를 통해, 특정 기능성의 강화 원재료를 생산할 수 있으며, 골쇄보의 경우와 같이 항혈전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이 동시에 증대된 한약재 생산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