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 value

검색결과 5,382건 처리시간 0.032초

닭의 지방조직(脂肪組織) 및 천흉근(淺胸筋)에서의 지질(脂質)의 대사(代謝) (The Metabolism of Lipids in Adipose Pads and Superficial Pectoral Muscle of Chicks)

  • 고태송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64-270
    • /
    • 1977
  • 무지방사료(無脂肪飼料) 및 여기에 17 : 0, 18 : 0 혹은 18 : 2를 첨가(添加)한 사료(飼料)를 닭병아리숫놈에 급여(給與)해서 그 경부지방조직(頸部脂肪組織) 및 천흉근(淺胸筋)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에 미치는 급여지방산(給與脂肪酸)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했다. 경부지방조직(頸部脂肪組織)은 $34{\sim}62%$의 지질(脂質)을 함유(含有)해서 그 중 트리그리세라이드가 $97{\sim}98%$를 이루고 있었다. 급여(給與)한 지방산(脂肪酸)은 지방조직(脂肪組織)중에 비교적(比較的) 다량(多量) 분포(分布)하고 또는 17 : 0 급여(給與)는 16 : 1의 분포치(分布値)를 저하(低下)시키고 18 : 2 급여(給與)는 18 : 0의 분포치(分布値)를 증가(增加)시켰다. 천흉근(淺胸筋)은 $1.3{\sim}1.7%$의 지질(脂質)을 함유(含有)해서 그중 인지질(燐脂質)이 $77{\sim}79%$, 유리(遊離)콜레스테롤이 $11{\sim}13%$를 점(占)하고 있었다. 각지질분획(各脂質分劃)에서 17 : 0의 급여(給與)는 17 : 0와 17 : 1을 출현(出現)시키고 18 : 2의 급여(給與)는 18 : 2의 분포치(分布値)를 높였으나 18 : 0의 급여(給與)는 18 : 0의 분포치(分布値)에 영향(影響)을 주지 않았다. 천흉근지질(淺胸筋脂質)의 대부분(大部分)을 이루는 인지질(燐脂質)에서 18 : 0의 급여(給與)로 18 : 1이 많아졌고, 18 : 2의 급여(給與)는 18 : 1과 16 : 0의 분포치(分布値)를 저하(低下) 시키고 다시 18 : 0의 분포치(分布値)를 높였다. 또한 18 : 2의 급여(給與)는 20 : 3의 분포치(分布値)를 저하(低下) 시키고 20 : 4의 분포치(分布値)를 높였다.

  • PDF

초음파 처리가 튀김 닭고기의 품질,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ltrasound Treatment on the Quality, Amino Ac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Fried Chicken)

  • 정인철;양종범;현재석;이종호;문윤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2-167
    • /
    • 2005
  • 본 연구는 초음파가 튀김 닭고기의 품질,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수분함량은 생육이 튀김 닭고기보다 높았으며,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튀김 닭고기가 높았다. 초음파 튀김 닭고기의 수분 및 조지방 함량은 대조구보다 높았다. 그리고 가슴육의 조단백질 함량이 다리육보다 높았으나, 수분 및 조지방 함량은 더 낮았다. 칼로리는 다리육이 가슴육보다 높았으나 초음파에 의한 영향은 없었다. 그리고 pH는 다리육이 높았고, 튀김감량은 가슴육이 다리육보다 높았다. 가슴육은 초음파에 의한 튀김 감량의 영향은 없었지만 다리육은 초음파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낮게 나타났다. 색도의 결과에서 가슴육의 $L^{\ast}$값은 초음파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높았으나 다리육은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a^{\ast}$값은 다리육이 높고, $b^{\ast}$값은 가슴육이 높았으며, 초음파 처리구의 $b^{\ast}$값이 대조구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아미노산 조성은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지방산 조성은 튀김에 의하여 palmitic acid$(C_{16:0})$ 및 oleic acid$(C_{18:1})$는 감소하고, linoleic acid$(C_{18:1})$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초음파 처리에 의한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 발효에 의한 현미식초와 시판현미식초의 품질 비교 (The quality Comparison of Uncleaned Rice Vinegar by Two Stages Fermentation with Commercial Uncleaned Rice Vinegar)

  • 정용진;서지형;정소형;신승렬;김광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74-379
    • /
    • 1998
  • 알콜발효 및 초산발효의 2단계 발효에 의해 현미식초를 제조하였을 때 1단계 알콜발효의 알콜 함량은 10.8%이었고, 2단계 초산발효의 총산함량은 5.78%이었다. 2단계 발효 현미식초의 산도와 pH는 시판 현미식초에 비해 높았고, 색도 중 명도는 4개사의 제품보다 낮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반대현상이다. 유기산의 함량은 acetic acid 이외에 malic, citric acid, tartaric acid의 함량이 높았으며, 각 유기산의 함량은 제품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2단계 발효식초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199.7${\mu}\ell$/ml이었으며, 시판 4개사의 제품보다 뚜렷하게 높았다.

  • PDF

품종 및 건조방법에 따른 고추씨 기름의 이화학적 특성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Red Pepper Seed Oil by Species and Dried methods)

  • 김복자;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75-379
    • /
    • 1998
  •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red pepper seed oil were evaluated to find available method to utilize red pepper seeds used as useful cooking oil resources. Samples of red pepper seeds used as oil meterials were native, improved species and they were named such as NS (native spicies dried under sunlight), IS (improved spicies dried under sunlight), NF (native spicies dried by heating), and IF(improved spicies dried by heating), respectively. Moisture, ash, crude protein and crude fat contents of all red pepper seeds were 6.6%∼7.7%, 3.3∼3.5%, 18.25∼19.4% and 26.8∼27.5% in all samples, showing the specially high crude fat and crude protein content in NS. Capsaicin contents in crude red pepper seed oils were shown from 0.06 to 0.08% but after refining process, capsaicin contents were mostly tossed as 0∼0.006%. The types of tocopherol found in crude and refined red pepper seed oils were ${\gamma}$-, ${\alpha}$-, $\delta$-analogues, the amount of total tocopherol in IF was 2.10 mg/g oil which were the highest value of all red pepper seeds. In all red pepper seeds oils main fatty acids were linoleic acid (68∼70%), palmitic acid (14∼16%), oleic acid (10∼11%), and linolenic acid were extemely small amounts. The specific gravity (SG) 0.916∼0.919, refractive index (RI) 1.4724, acid value (AV) 0.26∼0.36, peroxide value (POV) 0.73∼1.19 and Iodine value (IV) 134.35∼134.92 were measured in all red pepper seed oils.

  • PDF

Margarine에 대한 고추과피 추출물의 항산화성에 관한 연구 (Antioxidant properties of red-pepper peel extracts on margarine.)

  • 유주현;조재민;오두환;변유량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1-27
    • /
    • 1981
  • The effects of anti-oxidant of ether extract of red pepper peel were studied to compare with butylated hydroxyl toluene (BHT), citric acid and ascorbic acid. Peroxide and acid values of magarine irradiated with the sunlight were dete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xtract of red pepper peel influenced as antioxidant of magarine. But the extract was lower anti-oxidative effect than that of BHT at the same concentrations. The anti-oxidative effect increased with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applied. 2. There was no synergistic and anti-oxidative effects, when the extract was used together citric and ascorbic acids. 3. The peroxide value of fermented magarine was controlled by the addition of the extract and BHT. However acid value of it was not controlled as much as peroxide value.

  • PDF

패스트푸드점 튀김식품의 안전성 평가 (Evaluation of the Safety of Fried-Food in Fast Food Store)

  • 박건용;정보경;김애경;박경애;조성자;곽재은;장민수;배청호;조남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55-59
    • /
    • 200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172 samples of fried food in fast food store. The free fatty acid value of 22 samples exceeded standard of fried-food. These samples were 10 fried chickens, 6 fried potatoes and 5 fried onions. Fatty acid composition differed from each company. The correlation between free fatty acid value and double bond index was very low. New standard of fried food in fast food store is needed for thorough hygiene management, because of being not existed standard. The fried potato containing many carbohydrate and fat appeared higher calory than fried chicken containing many protein. The fried food had high fat comparatively, so that attention in regard to excess intake is demanded. The trace materials were included Mg, Ca, Mn, Fe, Zn, Cu and Cr in order of quantity, and the harmful heavy metals-Pb, Hg and Cd- were included small quantity.

시판 지방성 가공식품의 지질함량과 지방산조성(1)-쵸코렛을 중심으로-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Commercial Fatty Processed Food(I) -Chocolate-)

  • 김정헌;박건용;김복순;오수경;한상운;박성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03-307
    • /
    • 199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lipid content, melting point, refractive index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commercial chocolate and imitation chocolate. Fifty-eight samples for test were 45 of domestics and 13 of foreign in Seou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Mean value of lipid content was 35.1% in chocolate and 31.9% in imitation chocolate, and foreigns were lower than domestics. In melting point of lipid, chocolates and imitation chocolate were 26.4$^{\circ}C$ and 27.4$^{\circ}C$ as mean value, respectively. Mean value of refractive index of lipid was 1.4560, imitation chocolate of domestic were lower than another. The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chiefly consisted of {{{{C_18:1 , C_18 , C_16, C_16:1 and C_18:2. }} The ratio of SFA : MUFA : PUFA in chocolate and limitation chocolate were 8.2 :6.9 :1.0 and 3.1 : 4.3: 1.0 , respectively.

  • PDF

산처리 공정에 따라 추출한 돈피 젤라틴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Effect of Acid Treatment Proces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elatin Extracted from Pork Skin)

  • 염건웅;;민상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66-272
    • /
    • 2004
  • 본 연구는 gelatin의 생산공정에서 각종 산 처리가 최종 gelatin의 품질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평가함으로써 양질의 gelatin을 생산하는데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Gelatin gel의 물성은 lactic acid로 처리한 gelatin이 높은 hardness, cohesiveness, brittleness를 나타내었고 다음으로는 citric acid, acet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Gelatin의 색도는 citric acid, 처리한 gelatin이 acetic acid나 lactic acid로 산침한 젤라틴 보다 높은 명도를 나타냈다. a-value는 acetic acid로 산침한 gelatin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황색도를 나타내는 b-value는 lactic > acetic acid > citric acid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Gelatin의 점도를 측정한 결과 전단속도(shear rate)에 대한 전단응력(shear stress)의 관계는 모두 전단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단응력이 증가하는Newton성 유체로 판단되었다. 그 기울기는 acetic acid로 산침한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actic acid, citric acid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Gelatin내의 hydroxyproline 함량을 살펴보면 acetic acid(0.186 g/100 g sample)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나며 다음으로 lactic acid, citr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sample중 crude protein 함량을 비교하면 acetic acid(68.74%), lactic acid(80.08%), citric acid(85.47%)로 나타났다. 이것은 gelatin의 열수 추출시 가장 작게 용출된 acetic acid가 가장 높은 collagenous connective tissue 함량(1.35 g/100g)을 나타내었다.

딸기 첨가 수준을 달리한 딸기잼의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Jam Containing Strawberry Puree)

  • 김진숙;강은정;장영은;이지현;김기창;김경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25-731
    • /
    • 2013
  • 딸기 과실과 설탕 이외에 젤리화 형성에 영향을 주는 산, 펙틴 등을 따로 첨가하지 않고 딸기와 설탕의 배합비를 달리한 잼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딸기를 70~30% 수준으로 감소한 처리구의 당도는 $59.00{\sim}77.33^{\circ}Brix$, pH는 4.17~4.28으로 증가한 반면, 총산도는 1.55~0.31%로 감소하였다. 딸기 함량이 줄어드는 S1~S5 처리구의 L값은 5.36~30.83, a값은 27.83~37.19, 그리고 b값은 9.08~40.52로 모두 증가하였다. 딸기 함량이 줄어들수록 딸기잼의 안토시아닌 함량과 펙틴 함량은 각각 9.91~5.15 mg/g, 4.86~1.46 mg/g으로 감소하였다. 딸기 첨가량에 따른 딸기잼의 물성 측정 결과에서도 hardenss, gumminess 및 chewiness은 딸기 함량이 줄어들수록 감소하였다. 딸기 첨가 수준이 낮아지는 S1~S5 처리구의 glucose, fructose 함량이 감소된 반면 sucrose 함량은 증가하였다. 유기산 구성은 oxalic aicd,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및 formic acid으로 조성되었고, 이들 함량 변화는 딸기 첨가 수준이 낮아질수록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산과 펙틴 등의 첨가물 없이 딸기와 설탕으로만 잼 제조가 가능하지만 색, 맛 등의 품질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통상적인 과실잼은 과실과 설탕을 동량인 50%(w/w) 수준으로 제조하고 있으나 과실을 60~70%(w/w) 수준으로 높인 고품질 딸기잼은 당도, 유리당, 유기산 및 안토시아닌 함량 등의 품질이 좋았다. 하지만 당도 $65^{\circ}Brix$ 이하인 점을 고려하여 저장안정성 연구, 안토시아닌 색소 안정성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원산지가 다른 쇠고기 육포의 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Made with Beef Meat of Various Origin Places during Storage)

  • 박지형;곽은정;이영순;이경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1-8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evaluate the quality of beef jerky made with Korean beef meat, Korean beef cattle and imported beef meat from Austria and New Zealand. The beef jerky qualities were evaluated by sensory evaluation, measurement of crude lipid, fatty acid composition of lipid, and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and of surface observation with a microscope. According to the preference test, whereas beef jerky made with Korean beef meat showed the highest score in color, glaze, palatability, and softness, while that of made with New Zealand beef meat did received the lowest score. The crude lipid content of jerky made with Korean and Austrian beef meat was higher than that of made with Korean cattle and New Zealand beef meat. Surface of jerky made with Korean and Austrian beef meat was gappier than that of made with Korean cattle and New Zealand beef meat, and the. The acid value of jerky made with Korean and Austrian beef meat was lower than that of made with Korean cattle and New Zealand beef meat. The peroxide value of jerky made with Korean cattle meat showed higher peroxide values from the initial storage time. However, the peroxide value whereas that of jerky made with Austrian beef meat was the lowest at initial storage time, it increased remarkably with storage time and showed the highest value after the 15th day of storage. We found that the change in quality of jerky made with Korean and Austrian beef meat was less than that those made of Korean cattle and New zealand beef meat. And it could be suggested that Korean cattle and New Zealand beef meat are not suitable in making jerk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