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 Yellow 14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7초

굴비의 지방산 조성과 지방산화에 마늘과 양파즙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rlic and Onion Juice on Fatty Acid Compositions and Lipid Oxidation in Gulbi (salted and semi-dried Yellow croaker))

  • 신미진;김정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337-1342
    • /
    • 2004
  • 현재 대부분의 굴비는 마른간법을 이용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마른간법은 제조 과정인 섞기에 있어서 조기의 상처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품질이 균일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물간법을 이용하여 굴비를 가공할 때 상승효과를 위해서 10% 양파즙, 10% 마늘즙, 또는 양파즙과 마늘즙을 동량혼합한 것을 10% 첨가하고 12일간 상온에서 저장하면서 TVB-N, TBARS, TMA, 총균수변화를 관찰하였다. 분석 결과 마늘과 양파 혼합즙액으로 처리한 제품에서의 TVB-N 값은 88.2 mg/100 g, TMA와 TBARS는 각각 14.13 mg/100 g과 3.1$\mu$mol/kg으로 여러 처리구 중 가장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굴비의 지방산 조성은 30일간 저 장하면서 생조기, 염장조기, 마늘과 양파 혼합즙액을 처리한 염장조기에 대하여 지방산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생조기와 굴비 모두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32∼35%로 나타났으며, 포화지방산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palmitic acid로 21∼23%였다. 불포화지방산 중 이중결합이 1개인 monoenes의 비율은 39∼45%범위로 oleic acid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다가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생조기는 14%였으나 5일 건조한 것은 15∼19%로 나타났다. 저장 30일째 $\omega$-3계 지방산인 docosahexaenoic acid, eicosapentaenoic acid에 있어서 염장 않은 굴비는 7.37%와 3.71%를 보여 주었으나, 물간법에 의한 굴비는 9.46%와4.08%, 마늘 양파 혼합즙액이 함유된 물간법으로 제조된 굴비에서는 9.91%와 4.25%로 높게 나타났다.

자일로올리고당의 섭취가 변 내 비피더스 균수, Lactic Acid 농도와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Xylooligosaccharide Intake on Fecal Bifidobacteria, Lactic acid and Lipid Metabolism in Korean Young Women)

  • 나미희;김우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2호
    • /
    • pp.154-161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xylooligosaccharide on feces bifidobacteria proliferation, lactic acid concentration and lipid metabolism in healthy woman. Fourteen volunte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2 groups : 1.4 g/day xylooligosaccharide intake group, 2.8 g/day xylooligosaccharide intake group. The duration of the study was 28 days. The amount of feces and excretion time were not affected by xylooligosaccharide intake. The color of feces changed to yellow brown, and hardness of stool and effort to evacuation were reduced by xylooligosaccharide intake. Xylooligosaccharide intake reduced the fecal pH significantly after 14 days in 2.8 g/day intake group (p < 0.05). The number of fecal bifidobacteri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28 days in 1.4 g/day intake group (p < 0.05), and in 2.8 g/day intake group, the number of fecal bifidobacteria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4 days (p < 0.05). Water contents of feces were not affected by xyloolgosacchride intake. The fecal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in 2.8 g/day intake group (p < 0.05), and in 1.4 g/day intake group, fecal cholesterol concentration only was increased (p < 0.05). The fecal lactic acid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2.8 g/day intake group (p < 0.05). Serum trigly-ceride, cholesterol and glucose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2.8 g/day intake group (p < 0.05). In conclusion, xylooligosaccharide dietary supplementation may be beneficial to gastrointestinal health and lipid metabolism, and 2.8 g/day intake was more effective than 1.4 g/day intake.

우리나라 토마토에 발생한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Tomato yellow leaf curl geminivirus)의 초간편 Virion Capture(VC)/PCR 진단법 (Convenient Virion Capture (VC)/PCR for Tomato yellow leaf curl geminivirus Occurring on Tomato in Korea)

  • 조점덕;김태성;김주희;최국선;정봉남;최홍수;김정수
    • 식물병연구
    • /
    • 제14권3호
    • /
    • pp.233-237
    • /
    • 2008
  • 국내에서 최근 발견된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TYLCV)가 토마토에 발생하여 큰 피해가 발생하였다. TYLCV의 피해 발생 예방을 위하여 농업현장의 연구지도연구기관에서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조기 정밀 유전자 진단기술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TYLCV에 대해 특이적 프라이머를 제작하고 특별한 핵산분리 기술이나 도구가 필요 없는 빠르고 정확하며 경제적인 VC/PCR 진단법을 이용한 유전자 진단법을 개발하였다. TYLCV 진단용 프라이머를 22개 제작하여 감염주 및 건전 토마토의 전체 핵산을 이용해 특이성 검정으로 PCR용으로 9점을 선발하였고, VC/PCR 진단법 용으로 9종을 선발하였다. 이러한 두 가지 진단법에 모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6종을 선발한 후 TLCV로 알려진 다른 Geminivirus와의 특이성 검정결과로 총 4종이 최종 선발하였다. 이들 중 Deng(540,541) 프라이머는 Ceminivirus를 진단할 수 있는 degenerate 프라이머로 VC/PCR진단법이 개발 되었다.

Antioxidant Effects of Gamma-oryzanol on Human Prostate Cancer Cells

  • Klongpityapong, Papavadee;Supabphol, Roongtawan;Supabphol, Athiko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9호
    • /
    • pp.5421-5425
    • /
    • 2013
  • Background: To assess the antioxidant effects of gamma-oryzanol on human prostate cancer cells. Materials and Methods: Cytotoxic activity of gamma-oryzanol on human DU145 and PC3 prostate cancer cells was determined by proliferation assay using 3-(4, 5-dimethylthiazol, 2-yl)-2, 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TT) reagent. mRNA levels of genes involved in the intracellular antioxidant system,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glutathione peroxidase (GPX) and glutathione reductase (GSR) were determin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Cancer cell lysates were used to measure lipid peroxidation using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Glutathione contents of the cell lysates were estimated by the reaction between sulfhydryl group of 5, 5'-dithio (bis) nitrobenzoic acid (DTNB) to produce a yellow-color of 5-thio-2-nitrobenzoic acid using colorimetric assay. Catalase activity was also analysed by examining peroxidative function. Protein concentration was estimated by Bradford's assay. Results: All concentrations of gamma-oryzanol, 0.1-2.0mg/ml, significantly inhibited cell growth in a dose- and time-dependent fashion in both prostate cancer cell lines, DU145 and PC3. Gene expression of catalase in DU145 and PC3 exposed to gamma-orizanol at 0.5mg/ml for 14 days was down regulated, while mRNA of GPX was also down regulated in PC3. The MDA and glutathione levels including catalase activity in the cell lysates of DU145 and PC3 treated with gamma-oryzanol 0.1 and 0.5mg/ml were generally decreased.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ed effects of gamma-oryzanol via the down-regulation of antioxidant genes, catalase and GPX, not cytotoxic roles. This might be interesting for adjuvant chemotherapy to make prostate cancer cells more sensitive to free radicals. It might be useful for the reduction of cytotoxic agents and cancer chemoprevention.

젓갈등속(等屬)의 정미성분(呈味成分)에 관(關)한 미생물학적(微生物學的) 및 효소학적(酵素學的) 연구(硏究) (Microbiological and Enzymological Studies on the Flavor Components of Sea Food Pickles)

  • 이계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1권
    • /
    • pp.1-27
    • /
    • 1969
  • 우리나라에서 알려진 젓갈 30여종(餘種)에서 그중(中) 대표적(代表的)인 것으로 알려진 조기젓. 조개젓(고식(高食) 염성(鹽性)인 20%내외(內外))과 굴젓, 오징어젓(저식염성(低食鹽性)인 10%내외(內外))의 4종(種)을 시료(試料)로하여 일반성분(一般成分) 분석(分析), microflora, 주요발효미생물(主要醱酵微生物)의 동정(同定) 및 효소(酵素)의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는 동시(同時)에 숙성(熟成)에 관여(關與)하는 미생물(微生物)의 효소작용(酵素作用)이 정미성(呈味性) 5’-mononucleotide 및 amino 산(酸)의 생성(生成)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4종(種) 젓갈에 대(對)한 microflara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a) 젓갈담금 $1{\sim}2$개월(個月)의것은 생균수(生菌數) total counts가 $10^7$이었으며 담금후(後) 6개월(個月)의것은 $10^4$이였다. b) 젓 갈 담금 $1{\sim}2$개월(個月)의것은 Micrococcus 속(屬)이 $10{\sim}20%$, Brevibacterium 속(屬)이 $10{\sim}20%$, Sarcina 속(屬)이 $0{\sim}30%$, Leuconostoc 속(屬) $20{\sim}30%$, Bacillus 속(屬)이 30%내외(內外) Pseudomonas 속(屬)이 $0{\sim}10%$ Flavobacterium 속(屬)이 $0{\sim}10%$ Yeast가 $0{\sim}20%$인 분포상(分布相)을 나타냈다. c) 젓갈숙성(熟成)에 관여(關與)하는 미생물(微生物)로서 초기이후(初期以後)에는 주(主)로 내염성(耐鹽性) Bacillus subtilis, Leuconostoc mesenteroides, Pediococcus halophilus, Sarcina litoralis 등(等)임을 동정(同定)하였고 이들의 효소활성(酵素活性)이 젓갈숙성(熟成)을 지배(支配)하는 요소(要素)임을 알 수 있었다. d) 숙성(熟成)에 관여(關與)하는 세균중(細菌中)에 Sarcina litoralis 8­14 및 8-16. 양균주(兩菌株)는 영양요구성(榮養要求性)이 현저(顯著)하여 전자(前者)는 purine, pyrimidine base 및 cystine 후자(後者)는 purine, pyrimidine base 및 glutamic acid가 공존(共存)하여야 생육(生育)이 가능(可能)하였다. (2) 젓갈원료(原料) 및 젓갈에서 분리(分離)한 관여미생물(關與微生物)에 대(對)하여 효소특성(酵素特性)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a) 젓갈원료중(原料中)에 protease는 소량(少量) 존재(存在)하나 식염농도(食鹽濃度) 7%에서 protease 활성(活性)이 현저(顯著)하게 조해(阻害)를 받아 그 효소활성(酵素活性)의 $30{\sim}60%$나 감소(減少)하였다. b) 내염성세균(耐鹽性細菌)인 Bacillus subtilis 7-6, 11-1, 3-6 9-4 등(等) 4 균주(菌株)는 complete media에서 생성(生成)한 protease 활성(活性)은 식염농도(食鹽濃度) 7%에서 약간 조해(阻害)를 받아 활성(活性)이 $10{\sim}30%$가 감소(減少)하였고 Sarcina litoralis 8-14 및 8­16 양균주(兩菌株)는 동배지(同培地)에서 생성(生成)한 protease 활성(活性)은 식염농도(食鹽濃度) 7%에서 그 발효활성(醱酵活性)의 $10{\sim}20%$가 감소(減少)하였다. c) 젓갈 원료중(原料中)의 단백질(蛋白質)은 자가효소(自家酵素)에 의한것보다 주(主)로 젓갈숙성중(熟成中) 관여미생물(關與微生物)의 protease에 의(依)한 가수분해(加水分解)로 유리(遊離) amino 산(酸)이 생성(生成)됨을 알 수 있었다. d) 젓갈원료(原料) 및 젓갈의 RNA-depolymerase는 젓갈중(中) RNA를 nucleoside 및 유리인산(遊離燐酸)까지 분해(分解)하므로 정미성(呈味性) 5'-mononucleotide로서 축적(蓄積)되기 어렵다 e) 조개젓에서 분리(分離)한 Bacillus subtilis 3-6 균주(菌株)가 생성(生成)한 효소(酵素)는 RNA를 분해(分解)하여 5’-mononucleotide로 축적(蓄積)하므로 이 균주(菌株)가 생성(生成)한 RNA 분해효소(分解酵素)는 5’-phosphodiesterase임을 밝혔다. f) Bacillus subtilis 3-6 strain의 효소생성배지중(酵素生成培地中)에 corn steep liquor 0.5% 농도(濃度)로 첨가(添加)한 구(區)와 조개젓 0.5% 농도(濃度)로 첨가(添加)한 구(區)에서 5’-phosphodiesterase 생성증가(生成增加)를 보았으므로 corn steep liquor 및 조개젓 성분(成分)이 각각(各各) 5’-phosphodiesterase 생성증가제(生成增加劑)가 됨을 밝혔으며 또한 이 효소(酵素)는 10%의 식염농도(食鹽濃度)에서 활성조해(活性阻害)를 받아 $10{\sim}30%$에 해당(該當)되는 활성(活性)이 감소(減少)되었고 식염농도(食鹽濃度) 20%에서 이 효소활성(酵素活性)의 $40{\sim}60%$가 감소(減少)함을 나타냈다. 그리고 이 균주(菌株)의 5’­phosphodiesterase에 의(依)하여 젓갈중(中) 5’-mononucleotides가 생성(生成)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3) 젓갈의 유리(遊離) amino 산(酸)을 Autoanalyzer로 정량(定量)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a) 조개젓은 산성(酸性) amino 산(酸)인 glutamic acid, asp artic acid 함량(含量)이 다른 젓갈보다 $2{\sim}10$배(倍) 정도(程度)로 현저하게 많아서 조개젓의 구수한 맛이 발현(發現)되는 것이라고 생각(生覺)된다. b) 조기젓에는 basic amino acid인 arginine, histidine함량(含量)이 다른 젓갈보다 특이(特異)하게 많았다. c) 오징어젓은 함류황(含硫黃) amino산(酸)인 cystine함량(含量)이 다른 젓갈의 $17{\sim}130$배(倍), methionine함량(含量)이 $7{\sim}17$배정도(倍程度)로 현저하게 많았다. d) 굴젓에는 필수(必須) amino 산(酸)인 lysine, threonine iso leucine, leucine 함량(含量)이 다른 젓갈보다 현저하게 많을 뿐아니라 또한 감미성(甘味性) amino 산(酸)인 alanine 함량(含量)이 다른 젓갈들보다 4배(倍), glycine 함량(含量)이 $3{\sim}14$배정도(倍程度)로 함유(含有)하고 있어 이것이 굴젓 특유(特有)의 단맛을 발현(發現)하는 것이라 생각(生覺)된다. (4) 4종(種) 젓갈에 대(對)한 5'-mononucleotide를 ion 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로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a) 조개젓에는 5'-adenylic acid, 3’-adenylic acid 가 많이 들어있고 5'-inosinic acid가 미량(微量)들어 있다. b) 굴젓에는 5'-adenylic acid와 3’-adenylic acid가 다른 mononucleotides보다 현저하게 많았다. c) 오징어젓에는 5'-adenylic 및 3'-adenylic acid만이 함유(含有)되어 있는데 이것은 패류(貝類)의 젓갈들과 같 이 무척추연체동물(無脊椎軟體動物)이며 이것들은 adenylic deaminase가 결여(缺如)되어 있어 mononucleotide중(中) adenylic acid의 함량(含量)이 높아 adenylic acid-type 임을 알았다. d) 조기젓 중(中)에는 5'-inosinic acid 함량(含量)이 다른젓갈보다 현저하게 많았으므로 이것은 다른 척추동물(脊椎動物)의 어육(魚肉)이나 수육(獸肉)과 같이 adenylic deaminase가 있어 5'-inosinic acid가 많은 inosinic acid-type임을 알았다. (5) 정미성(呈味性) amino 산(酸) 및 5'-mononucleotide의 조성(組成)과 함량(含量)으로 맛의 조화성(調和性)을 비교(比較)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a) 조기젓은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가 풍부(豊富)하고 소량(小量)의 5'-inosinic acid가 공존(共存)된 상태(狀態)이므로 정미성분조성(呈味成分組成)과 함량(含量)이 잘 조화(調和)되어 구수한 맛의 상승작용(相乘作用)이 적당(適當)하게 발현(發現)됨을 구명(究明)하였다. b) 조개젓의 맛은 정미성(呈味性) 5’-mononucleotides에서 유래(由來)되는것 보다는 현저하게 많이 들어있는 glutamic acid 및 aspartic acid에 기인됨을 알았다.

  • PDF

천연 강황 추출물의 약리, 화학적 특성 및 분석 (A Study on the Pharmaceutical &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Natural Curcumin Extract)

  • 성기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93-401
    • /
    • 2011
  • Natural Curcumin belongs to Zingiber Officinale Roscoe was known to possess natural odor, natural taste, natural color, and other pharmaceutical & chemical characteristics. Natural Curcumin extract was made to use ethanol as a solvent was to show a yellow color having state of solid powder and an active component. Natural Curcumin extract tested pharmaceutical & chemical experiment to dilute in curcumin 1%-water solution. Curcumin extract tested antimicrobial experiment using microbe, and tested dye experiment using fiber. Some conclusions in the result of characteristics experiment was obtained as follow. The result of antimicrobial experiment showed that the growth of staphylococcus aureus (ATCC-001) and aspergillus niger (ATCC-002) as microbes decreased according to passage of time. This phenomenon could know that Curcumin compoment showed influence to antimicrobial effect. Also, the result of dye experiment showed that cotton and sick with fiber dyeing dyed in direction of dark yellow color. This phenomenon could know that Curcumin extract showed influence to dyeing effect in observation of optical electron microscope(OEM.) The result of instrument analysis ascertained inorganic components of K(53.300ppm), Na(1.150ppm), Ca(0.711ppm), Ti(0.351ppm), Li(0.256ppm), Cu(0.233ppm) etcs from Curcumin component with ICP/OES, and ascertained organic components of propanoic acid(1.859), benzene(10.814), phenol(14.194) etcs from Curcumin component with GC/MSD.

감자 및 닭튀김 중의 튀김유의 물리화학적 특성의 변화 (The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Frying Oils during Potato and Chicken Frying)

  • 손종연;정문숙;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7-181
    • /
    • 1998
  • 감자 및 닭튀김의 튀김회수에 따른 튀김유의 물리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측정하였다. 튀김유의 온도변화는 닭튀김의 경우보다 감자튀김의 경우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튀김과정 중에 튀김재료인 냉동감자의 중량감소는 21.9% 정도이었으며 닭튀김의 경우 닭튀김물의 중량감소는 12.8% 정도인 것으로 나타내었다. 튀김횟수인 15회까지의 감자 튀김유와 닭튀김유의 산가는 튀김횟수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들의 산가는 모두 0.6이하로 나타났다. 튀김횟수인 15회까지의 감자와 닭튀김유의 과산화물가는 일률적으로 증가하지 않았다. 튀김횟수에 따른 감자와 닭튀김유의 요오드가의 변화는 거의 보이지 않았다. 감자 및 닭튀김시 튀김유의 색상은 튀김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R(red)및 Y(yellow)가 뚜렷이 증가되었으며, 닭튀김유는 감자튀김유보다 훨씬 높았다. 튀김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linoleic acid의 감소와 oleic acid의 상대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Linoleic acid의 감소와 oleic acid의 증가는 감자튀김유보다는 닭튀김유에서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콩의 재배종과 야생종의 콩나물관련 특성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Soybean Sprouts between Glycine max and G. soja)

  • 이정동;황영현;조호영;김달웅;정명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89-195
    • /
    • 2002
  • 야생종의 콩나물 관련형질의 특성 및 주요성분을 재배종과 비교하여 야생종을 소립 나물콩 육성을 위한 교배친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야생종과 재배종의 콩나물 특성을 비교한 결과 하배축의 길이와 수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콩나물의 전체길이, 하배축 두께, 개체당 무게, 상품률에서는 재배종이 우수하였고, 잔뿌리의 수와 뿌리의 길이에서는 야생종이 작고 짧아 야정종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2. 조지방 및 sucrose함량은 재배종이, 조단백질 함량은 야생종이 높았으며, 지방산중 oleic acid는 재배종이 linoleic acid는 야생종이 높았고, isoflavone함량에서는 두 종간 차이가 없었다. 17개의 아미노산 중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된 aspartic acid, lysine, arginine등 10개 아미노산은 모두 야생종에서 높았다. 3. 콩나물 하배축의 색차는 야생종에서 백색도가 높고 적색도가 낮아 재배종보다는 야생종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Lipoxygenase 결핍된 Non-GM콩의 특성 (Properties of Non-GM Soybeans with Lipoxygenase Free Genotypes)

  • 이수정;김인성;이혜진;정종일;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0호
    • /
    • pp.1629-1637
    • /
    • 2013
  • Lipoxygenase(LOX)가 결핍된 non-GM콩인 개척#1(검정콩, LOX2,3-free), 개척#2(황색콩, LOX2,3-free) 및 진양콩(황색콩, LOX1,2,3-free)의 이화학적 특성과 두부 수율을 LOX가 존재하는 태광콩(황색콩, LOX1,2,3-present)과 비교하였다. 콩의 길이 및 백립중은 태광콩에 비해 개척#1이 유의적인 차이로 컸으며, 황색콩에서는 LOX가 결핍된 품종이 태광콩보다 크기 및 중량이 다소 작았다. 콩을 12시간 동안 수침한 후 콩의 중량 증가율은 217.07~226.55%로 개척#2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전체적인 색차(${\Delta}E$)는 개척#1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3종의 황색콩은 시료 간에 비슷한 경향이었다. 조지방 함량은 태광콩이 17.30%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LOX가 결핍된 콩은 13.71~14.66%로 시료 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개척#1(34.79%)이 타시료(32.93~33.47%)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모든 시료에서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총량은 개척#1이 32.42 g/100 g으로 가장 많았고 개척#2와 태광콩은 비슷한 함량이었다. 이소플라본 함량은 LOX가 결핍된 콩이 태광콩에 비해 더 많았으며, 특히 개척#1(1672.54 ${\mu}g/g$)에서 가장 높았다. 콩의 총 페놀 함량은 개척#1이 276.91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개척#1(26.93 mg/100 g)이 타 시료에 비해 2.6~2.8배 정도 높았다.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환원력은 개척#1이 타 시료에 비해 높았다. Non-GM콩으로 제조한 두부의 수율은 개척#2에서 가장 높았다. 황색콩인 개척#2는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측면에서 태광콩과 유사하였고 두부 수율이 높아 두부 제조에 적합한 품종인 것으로 사료된다.

Changes of Air Permeability and Moisture Absorption Capability of the Wood by Organosolv Pretreatment

  • Kang, Chun-Won;Jang, Eun-Suk;Jang, Sangsik;Kang, Ho-Yang;Li, Chengyuan;Choi, In-Gyu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6호
    • /
    • pp.637-644
    • /
    • 2018
  • The air permeability of yellow poplar log cross section before and after organosolv pretreatment was investigated, and the moisture absorption of control and organosolv pretreated rectangular parallelepiped specimens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 diameters of through pores were enlarged and the number of bigger pore was increased by the organosolv pretreatment. The air permeabilities of the cross sections of yellow poplar log were changed from 1.61 darcy to 23.30 darcy, but their weights were reduced by 5 percent. Th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of control wood specimen at the exposed relative humidity were 5.9 % at 32 %, 9.7 % at 58 %, 14.8 % at 80.5 %, 19.7 % at 90 %, 25.7 % at 95 % and 29.9 % at 100%. Th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of the specimens pretreated with the parameter of sulfuric acid catalyst of 0.5 % (w/w) were 19.5 % at 32 %, 29.3 % at 58 %, 39.6 % at 80.5 %, 59 % at 90 %, 111.3 % at 95 % and 111.3 % at 100 %, while those pretreated with the parameter of sulfuric acid catalyst of 1.0 % (w/w) were 17.4 % at 32 %, 23.9 % at 58 %, 27.7 % at 80.5 %, 40.6 % at 90 %, 68.8 % at 95 % and 110.0 % at 100 %. The moisture absorption of organosolv pretreated rectangular parallelepiped specimens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speci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