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 Value

검색결과 5,400건 처리시간 0.032초

밀 배아의 생리 활성 물질 및 항균 활성 분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nalysis of Physiological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Wheat Germ)

  • 최봉순;강근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85-592
    • /
    • 2009
  • 밀 제분 과정에서 부산물로 나오는 밀 배아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밀 배아의 생리 활성 물질 및 항균 활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밀 배아의 지방산 조성은 linole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nic acid 등이었으며, 산가 8.5, 과산화물가 7.1, 요오드가 126.8, 비누화값은 159.7이었고, 굴절율은 1.547로 측정되었다. 생리 활성 작용을 갖는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 함량은 2.02% 및 0.45%이었다. 불검화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6.89% 및 6.90%로 밀 배아에서는 총 페놀보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밀 배아 에탄올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80.21, 80.32 및 83.89%이었는데, 이는 ascorbic acid 보다는 작지만 BHT 및 tocopherol보다는 아질산염 소거능이 큰 것이다. 밀 배아의 항산화성은 리놀레산의 5일 동안 변화 정도를 보면 0.67, 22.70, 44.25, 65.81 및 91.17 meq/kg으로 증가하였고 에탄올 추출물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불검화물도 시간 경과에 따라 항산화성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밀 배아의 항균 활성을 알아본 결과는 농도 및 추출 방법 모두에서 항균성을 탐지해 낼 수가 없었다. 이상에서 볼 때 밀배아에는 인지질, 지방산 등 영양 성분이 풍부하고 특히 플라보노이드 등의 생리 활성 물질 및 항산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밀 배아를 첨가한 기능적인 제품 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식이섬유 수준이 유색육용계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iber Level on Meat Quality in Colored Broiler)

  • 김미숙;문윤희;임사비나;김대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29-335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fiber(DF) levels on the meat quality in colored broiler. Colored broiler were fed on containing corn-soy basal diet(DF 5%) and high level(DF 6,7 and 8%) of dietary fiber diets for 7 weeks. Dietary fiber level of diet was make up by adding some alffalfa meal. Colored broiler meats were stored at 3$\circ$ for 24hr after skaughter, and used to analyze physico-chemical properties. Proximate component, pH, shear force value, myofibril fragmentation index, water holding capacity, cooking loss, protein extractability, fatty acid composition, Hunter's L, a value and palatability of cooked meat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dietary fiber levels, whereas the Hunter's value of meat was significantly affected bty dietary fiber levels for the final period of feeding. Crude protein content, myofibril fragmentation index, water holding capacity, protein extractability and Hunter's b value of breast meat's were higher than thigh meat's, but crude fat content, pH, shear force value, cooking loss, palmitoleic acid, linolenic acid, and Hunter's a value were lower, regardless of dietary fiber level.

  • PDF

반건조 장어 과산화에 대한 식물 주정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Plants on Peroxide Content in Semi-Dried Eels)

  • 송희순;김영모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47-652
    • /
    • 2018
  • Extracts from bay leaves, Chongbaek (Allium fistulosum L.), Hutgae (Hovenia dulcis Thunb.) fruit, and green tea, using Soju (Korean alcohol, $30^{\circ}$) as a solvent were analyzed for their antioxidative properties. The eels were evenly coated with the extract concentration equivalent to 2% of their total weight and dried for 15 hours at $35^{\circ}C$ using an air blower. The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of semi-dried eel, and linoleic acid peroxidation of eel oil were investigated. The highest level of DPPH radical scavenging was found in green tea extracts, followed by Hutgae fruit extract and bay leaves extract (p<0.05). The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of Hutgae fruit extracts coated eels refrigerated for 21 days were the lowest followed by the green tea extract coated eels. During the 20 days reaction period, all four kinds of extracts analyzed were found to effectively decrease linoleic acid peroxidation. Among them, Hutgae fruit and green tea extracts decreased the peroxide content of eel oil steadily and for a longer period when compared to other extracts. In conclusion, pre-application of Hutgae fruit and green tea extracts on eels before drying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delaying peroxidation in eels during the drying process and refrigeration.

Influence of Breed, Slaughter Weight and Gender on Chemical Composition of Beef. Part 1. Amino Acid Profile and Biological Value of Proteins

  • Hollo, G.;Csapo, J.;Szucs, E.;Tozser, J.;Repa, I.;Hollo, 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11호
    • /
    • pp.1555-1559
    • /
    • 2001
  • In the first study of a series of experiment samples were taken from 11-13th rib of Hungarian Simmental (HS, n=22) and Holstein-Friesian (HF, n=18) cull cows. In the second one, that of females (n=15) and males (n=12) of HF breed was analysed for amino acid composition, and biological value (BV) of proteins. No significant influence of either breed or slaughter weight was established in this study. Thus, the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and biological value of the proteins in Hungarian Simmental breed are practically the same as in the Holstein-Friesian. On the other hand, gender proved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 amino acid profile of beef proteins, as the quantity of essential amino acid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larger in females than in males. No statistical difference could be established for the non-essential amino acids and BV between the two gen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BUFFER INDEX CURVE AND FERMENTATION QUALITY OF SILAGE

  • Kim, K.H;Uchida,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4권1호
    • /
    • pp.67-71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buffer index curve as a criterion of silage quality evaluation. The buffer index (or buffer capacity, $\beta$) value is the amount of 0.1N NaOH consumed in titrating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chosen pH step. This value equals the slope of the titration curve at the chosen pH range (${\beta}={\Delta}NaOH/{\Delta}pH$). There were two patterns of buffer index curve. Poorly preserved silages had a peak at pH 5.0, whereas with well preserved silages the peaks tended to rise to the pH 3.75 or 4.00. Well preserved, wilted silages with high pH also appeared to have peak values at pH 3.75 or 4.00.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lactic acid and peak value of good quality silage (r = 0.994, p < 0.01). Also a high positive correlationship (r = 0.899, p < 0.001) was found between the sums of concentration of acetic and butyric acids and the peak values of poor quality silages.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verified the value of the buffer index method as a criterion of silage quality evaluation.

굴 스파게티 소스의 개발 (Development of Spaghetti Sauce with Oyster)

  • 강경태;허민수;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93-99
    • /
    • 2007
  • 굴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신세대 기호에 맞는 굴 스파게티 소스의 제조를 시도하였다. 유기산, 색조, 점도 및 관능검사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스파게티 소스의 굴 최적첨가량은 11%로 판단되었고, 저장성 부여를 위한 최적 $F_0$ value는 4분이라고 판단되었다. 최적조건에서 제조한 굴 스파게티 소스의 수분, 단백질, 지방 및 회분은 각각 71.2%, 2.8%, 6.9% 및 3.2%이었다. 굴 스파게티 소스의 관능검사 결과 향과 조직감의 경우 시판 스파게티 소스보다 좋았으며, 색의 경우 차이가 없었다 굴 스파게티 소스의 총 아미노산 함량은 2,532.2 mg/100 g이었고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및 phenylalanine 등이었다. 굴 스파게티 소스는 칼슘/인의 비율이 1.88로 칼슘이 흡수되기 좋은 비율로 구성되었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시판 스파게티소스(1,165.5 mg/100 g)가 굴 스파게티 소스(1,040.2 mg/100 g)에 비하여 높았고, taste value 또한 시판 스파게티 소스 (189.35)가 굴 스파게티 소스(151.26)보다 높았다. Taste value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맛에 관여하는 주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로 판단되었다.

이형유 종류에 따른 Cake 제품의 이탈성, 이형유의 과산화물가 및 산가의 변화 (Effect of the Pan Oil Type on the Releasing Power, Changes of Peroxide and Acid alue of the Oil)

  • 이정훈;조남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7-142
    • /
    • 1998
  • 요오드가 다른 4종류의 기본유(soybean oil, palmolein, coconut oil, corn oil)에 lecithin과 wax를 일정량 첨가하여 16종류의 시료 이형유를 만든 후 polyether sulphone로 피복한 철판에 케익을 구워 이탈율의 정도 그리고 이형유 제조 직후와 구운후의 이형유 시료들의 산가와 과산화물과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이탈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첨가물보다 기본유 자체의 성질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오드가가 낮을수록 즉 포화 지방산이 많을수록 이탈률이 좋았다. 가장 좋은 이탈률을 보인 것은 coconut oil에 wax 2%와 Lecithin 2%를 첨가하여 제조한 것으로 도포량에 관계없이 좋은 이탈률을 보였다. 2. 산가는 이형유 조제 직후에나 구운 후에도 큰 변화가 없었다. Soybean oil, palmolein, corn oil, coconut oil은 각각 구운 후의 산가가 0.045, 0.048, 0.085, 0.044를 나타냈다. 3. 철판유 제조 직후 과산화물가는 soybean oil, palmolein, corn oil, coconut oil이 각각 1.19, 0.81, 1.00 그리고 1.10이었으나 구운 후에는 7.9, 7.0, 10.9, 9.9로 고온에서 과산화물가가 급격하게 상승하였다.

  • PDF

칡뿌리의 항산화 성분 (Anitoxidative components of pueraria root)

  • 오만진;이가순;손화영;김성렬
    • 농업과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52-64
    • /
    • 1990
  • 식물체로부터 유용한 천연항산화제를 검색코저 갈근 중의 항산화성분을 추출하여 silica gel column chromagography, TLC, HPLC로 분리동정한 후 가장 항산화능이 강한 성분을 IR 및 GC-MS로 확인하고 항산화성분을 수종의 유지에 첨가하여 그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였다. 갈근 분말로부터 4단계의 용매 추출에 의하여 얻어진 추출물의 수율은 2.54%이였고 linoleic acid기질에 대하여 0.1% 첨가하였을 때 ${\delta}$-tocopherol 100 ppm 첨가구와 비슷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갈근 중에 가장 강한 항산화성분은 puerarin으로 확인 동정되었다. 돈지에 대하여 puerarin의 항산화효과는 ${\delta}$-tocopherol 보다 강하였고 ${\delta}$-tocopherol 보다 약하였다. 또한 식용유지에 puerarin을 100 ppm 농도로 첨가하여 $145^{\circ}C$에서 가열처리 하였을 때 산가의 측정에 의한 항산화효과는 대두유에서 가장 낮았고 돈지에서 가장 높았으며 Co.value TBA value, anisidine value의 측정에 의한 항산화효과는 팝유에서 가장 높았으며 대두유, 면실유에서는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

  • PDF

Fermentative Quality of Guineagrass Silage by Using Fermented Juice of the Epiphytic Lactic Acid Bacteria (FJLB) as a Silage Additive

  • Bureenok, S.;Namihira, T.;Tamaki, M.;Mizumachi, S.;Kawamoto, Y.;Nakada, 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6호
    • /
    • pp.807-811
    • /
    • 2005
  • This experiment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juice of epiphytic lactic acid bacteria (FJLB) prepared by the addition of glucose, sucrose and molasses as a fermentation substrate. The effect of FJLB on the fermentative quality and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during fermentation of guineagrass silage were also investigated. The pH value of the silages treated with FJLB rapidly decreased, and reached to the lowest value within 7 days of start of fermentation, as compared to the control.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LAB) in the treated silages increased for the first 3 days, thereafter the number of LAB declined gradually up to the end of the experiment. Silages treated with FJLB had larger populations of LAB than the control. Ammonia-nitrogen production increased throughout the ensiling period, which in the control and no-sugar added FJLB silages were higher than the other treated silages. Lactic acid levels varied with the time of ensiling and among the silage treatments. For any sugar FJLB treated silages, the lactic acid increased initially, and then slightly reduced to less than 50 g/kg of dry matter until 49 days after ensiling, except the silage treated with glucose added FJLB. Nevertheless, lactic acid content of the control decreased constantly from the beginning of ensiling and was not found after 35 days. Moreover, acetic acid content increased throughout the ensiling period. All the FJLB treated silages had significantly (p<0.05) lower pH and ammonia-nitrogen content, while significantly (p<0.05) higher lactic acid content and V-score value compared with the control.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pplying of FJLB with any sugar substrate improved fermentative quality of silage.

국산 마가린의 물리화학적 성질 및 지방산 조성에 관한 연구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Margarines)

  • 김정원;황인경;안승요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16
    • /
    • 1986
  • 제조된 지 1개월 이내의 국산 마가린 12가지를 임의로 선택하여 이들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지방산 조성을 측정하였다. 마가린은 평균 15.0%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었고, 지방 함량은 평균 77.92%이었다. 융점은 평균 $36.18^{\circ}C$로써 $^33.23~42.13{\circ}C$ 의 넓은 분포를 보여 제품간의 차이가 심했다. 산가, 과산화물가 등도 모두 매우 낮게 나타났다. 요오드가는 59. 65~86. 05의 넓은 분포를 보였다. 포장형태에 따라 임의로 분류했던 연질형과 경질형 마가린들은, 집락분석 결과 지방산 조성에 따라서도 같은 두 그룹으로 분류되어, 이들의 원료에 차이가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연질형 마가린은 올레산(18:1)을, 경질형 마가린은 팔미트산(16:0)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필수지방산 함량은 제품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냈는데, 리놀렌산(18:2)의 평균함량은 13. 11%로 나타났으나 대부분의 마가린들은 리놀렌산(18:3)을 거의 함유하고 있지 않았다. 과거보다 마가린의 필수지방산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아직 구미 각 국의 수준에는 못 미치는 것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