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hyranthes japonica Extracts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2초

쇠무릎과 청미래덩굴 부위별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chyranthes japonica and Smilax china Extracts)

  • 정갑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317-3326
    • /
    • 2011
  • 야생생물자원의 기능성 탐색의 일환으로 쇠무릎과 청미래덩굴의 부위별 추출물에 대한 몇 가지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고찰하였다. 추출률은 증류수>메탄올>에탄올 순이었으며, 추출된 유리 아미노산은 총 16종으로서 쇠무릎은 proline이, 청미래덩굴은 phosphoserine과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갈변도와 방향족 화합물 함량은 청미래덩굴 잎은 메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고 에탄올, 증류수 순이었으나, 쇠무릎 잎의 경우 증류수 추출물의 흡광도가 가장 높고, 메탄올, 에탄올 순으로 나타났다. 청미래덩굴 잎과 뿌리의 전자공여능은 잎은 에탄올>메탄올>증류수, 뿌리는 메탄올>에탄올>증류수 순이었고 쇠무릎은 증류수>에탄올>메탄올 순이었다. 올리브유에 대한 산화억제 작용은 TBA가를 기준하여 합성 항산화제인 BHT에 비해 쇠무릎 잎은 82.1%, 청미래덩굴 잎은 84.0%의 값을 보였다. 쇠무릎 줄기의 메탄올 추출물은 Bacillus subtillis에 대해 항균력을 보였으며, 청미래덩굴 잎 추출물은 Bacillus subtillis, Vibrio vulnificus 및 Salmonella enterica에 대하여 항균력이 있었다. 그리고 중금속 이온의 흡착 및 회수실험 결과 동일한 금속농도에서 Cd(II)에 대한 청미래덩굴의 흡착률보다 Pb(II)에 대한 쇠무릎의 흡착률이 더 높았다.

Synergistic Antimicrobial Effect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Extracts and Bifidobacterium Supernatants Against Clostridium difficile

  • Jung, Sun-Mi;Choi, Soo-Im;Park, Sang-Min;Heo, Tae-Rye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402-407
    • /
    • 2008
  • The synergistic antimicrobial effect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AJN) and Bifidobacterium extracellular factors against Clostridium difficile were measured using a turbidity method. Each broth supernatant of Bifidobacterium infantis ($68.8{\pm}0.02%$) and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33.2{\pm}0.2%$) obtained by adding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ate from A. japonica Nakai ethanolic extracts (AJNEA, 100 ppm, no inhibition) showed high synergistic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C. difficile. In additi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in a laboratory medium and yogurt products against C. difficile were evaluated. In yogurt prepared with a starter 5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eptococcus thermophilus: B. adolescentis =1 : 1 : 1) and a starter 4 (L. acidophilus: S. thermophilus: B. infantis=1 : 1 : 1) and 0.5% AJNEA powder, high antimicrobial effects were recorded that measured 79.0 and 65.2%,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d the potential of AJN extract for use as an antimicrobial agent. In addition, the efficiency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xtracts was further improved in combination with lactic acid bacteria, which suggests that they have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highly effective antibiotic-tolerant microorganism prevention system. Such a strategy can be used for alternative drugs or functional food additives for treatment of antibiotic-associated diarrhea.

토우슬(土牛膝), 회우슬(懷牛膝)의 항신경염증 및 신경세포 보호 효과 비교 (Comparative Study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and Achyranthes bidentata Blume on Anti-Neuroinflammatory and Neuroprotective Effects)

  • 박시연;최유진;이승민;주인경;오명숙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31-38
    • /
    • 2024
  • Objectives : Achyranthes japonica Nakai (AJ) and Achyranthes bidentata Blume (AB) have been used without distinguishment. Moreover, comparative studies of AJ and AB on physiological activity in the organism levels remain fully understood. In this study, we aimed to evaluate and compare the effects of AJ and AB on anti-neuroinflammatory and neuroprotective effects. Methods : AJ and AB were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DW) and 70% ethanol (EtOH) extract. For the evaluation of anti-neuroinflammatory effects, we measure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in lipopolysaccharide (LPS)-treated BV2 microglial cells. To evaluate the neuroprotective effects, we assessed cell viability against toxicity, including hydrogen peroxide (H2O2), 6-hydroxydopamine (6-OHDA), and amyloid-beta (A𝛽), respectively, in PC12 or HT22 cells. Results : DW and 70% EtOH extracts of AJ and AB inhibited LPS-induced NO production in BV2 cell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s and extraction solvents. Additionally, AJ and AB had no cytotoxicity, and exhibited the similar neuroprotective effects against H2O2 and 6-OHDA toxicities in PC12 cells, showing stronger activity in 70% EtOH extract compared to the DW extract. Furthermore, 70% EtOH extracts of AJ and AB protected neuronal cell against A𝛽 toxicity-induced cytotoxicity in HT22 cells. Conclusions : We demonstrated that AJ and AB have anti-neuroinflammatory and neuroprotective effects in the 70% EtOH extract compared to DW extract,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peci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J and AB would be the potential candidates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오배자, 우슬, 가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ombined Extracts of Galla rhois, Achyranthes japonica Nakai, Terminalia chebula Retz and Glycyrrhiza uralensis)

  • 조홍석;강세원;김주희;최민주;유혜원;박으뜸;전홍성
    • KSBB Journal
    • /
    • 제29권1호
    • /
    • pp.29-35
    • /
    • 2014
  • In this study,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ic crude extract and its five different solvent subfractions (namely, ethyl acetate fraction, n-butanol fraction, chloroform fraction, n-hexane fraction and the aqueous fraction) from a mixture of four different medicinal herbs (Galla rhois, Achyranthes japonica Nakai, Terminalia chebula Retz and Glycyrrhiza uralensis) were investigated. Among all the tested mixture combination of four medicinal herbs, 5:3:1:1 ratio of Galla:Achyranthes : Terminalia : Glycyrrhiza had the best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four strains of microorganisms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Pseudomonas aeruginosa and Escherichia coli) and exhibited the highest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Further sub-fractions with solvents were screened for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Antioxidant activity in order was ethyl acetate fraction > n-butanol fraction > chloroform fraction > nhexane fraction > aqueous fraction. The n-butanol extracted fraction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ntimicrobial activity in com- parison to other fractions. In addition, all those fractions did not show any cytotoxicity against human skin cell CCD-986sk. These results suggest that 5:3:1:1 combination extracts of medicinal herbs (Galla : Achyranthes : Terminalia : Glycyrrhiza) may be potentially used as a safe natural antimicrobial preservative.

쇠무릎 에탄올 추출물의 DPPH, 히알루로니다아제 및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효과 (Evaluation of Achyranthes japonica Ethanol Extraction on the Inhibition Effect of Hyluronidase and Lipoxygenase)

  • 조경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2호
    • /
    • pp.1370-1376
    • /
    • 2015
  • 우슬(牛膝)은 비름과(Amaranthaceae)의 쇠무릎(Achyranthes japonica)의 뿌리를 약용으로 한방에서 사용하고 있다. 1, 1- diphenyl 2-picrylhyorazyl (DPPH)은 잘 알려진 자유 라디칼이다. Hyaluronidase (HAase)은 결합조직의 세포외성 기질에서 히알루론산분해에 관여하는 효소이다. Lipoxygenases (LOX)은 지방산 대사와 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쇠무릎에서 이 세 작용을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여 생육 발달 단계(어린 영양기관과 성숙한 영양기관)에 대해 이들 추출물의 활성을 비교 조사하였으며 각 항목에 대해 50% 저해(IC50)의 농도를 산출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잎과 줄기, 뿌리 모두에서 탁월되었다. 특히 히알루로니다아제의 저해작용이 현저하였으며 향후 어떤 화합물인지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DPPH에 대한 항산화 활성과 LOX에 대한 저해작용은 기존 연구자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어린 식물조직과 성숙한 식물조직에서 추출한 발달 단계에 따른 이들 세 가지 활성에서 어린 뿌리보다 성숙한 뿌리에서 약간 더 우수한 작용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토우슬과 회우슬의 열수 추출물의 성분 및 생리활성 비교 (A Comparison of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Between the Hot Water Extracts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and Achyranthes bidentata Blume)

  • 이예슬;김미선;권하영;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55-663
    • /
    • 2014
  •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 가능한 우슬은 국가마다 다른 기원식물을 가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토우슬 및 회우슬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현재까지 다양한 우슬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토우슬과 회우슬의 열수 추출물에 대한 비교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우슬차 및 우슬식혜 제조를 목표로, 토우슬과 회우슬의 열수 추출물과 이들의 순차적 분획물을 조제하여 각각의 유용성분 및 in-vitro 항균활성,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회우슬의 열수 추출물은 토우슬보다 수용성 당류 및 다양한 폴리페놀 성분을 다량 포함하고 있으며, 토우슬보다 높은 명도와 낮은 황색도를 나타내었다. 항세균 활성 평가에서는 토우슬의 ethylacetate 분획과 회우슬의 n-hexane 분획에서 우수한 활성이 나타났으며, 활성 음이온, 활성 양이온 및 nitrite 소거능 및 환원력 측정의 항산화 활성 평가결과, 토우슬 추출물이 회우슬보다 우수하며, 특히 토우슬의 ethylacetate 분획에서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in-vitro 항당뇨 활성평가 결과, 토우슬 및 회우슬의 ethylacetate 분획에서 우수한 ${\alpha}$-amylase 저해활성을, 각각의 butanol 분획에서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토우슬과 회우슬의 열수 추출물들은 추출효율과 성분에서 많은 차이가 있으며, 특히 이들의 분획물의 경우 성분 및 활성이 더욱 차이가 나타남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우슬의 항균,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을 이용한 천연물 신약 개발시에는 토우슬의 ethylacetate 분획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며, 우슬차 및 우슬식혜 제조시에는 토우슬의 열수 추출물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New Phytoformula (CAS) Containing the Roots of Cyathula officinalis, Achyranthes japonica and Sophora subprostrata Inhibits Collagen-induced Arthritis in Mice

  • Lee, Jae Hyung;Lim, Hyun;Kwon, Yong Soo;Kim, Hyun Py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0권1호
    • /
    • pp.17-21
    • /
    • 2014
  • The combined new phytoformula (CAS), a mixture (5 : 3 : 2, w/w/w) of the ethanol extracts of the roots of C. officinalis and A. japonica, and the n-butanol fraction of the S. subprostrata strongly inhibited arthritic severity score as well as IL-6 production in serum of collagen-induced arthritic mice. Histological observation also indicated that the CAS-treated group showed less breakdown of joint cartilage of the collagen-treated mice. In contrast, C. officinalis alone or a combination of A. japonica and S. subprostrata did not show significant inhibitory action on the same animal model. Thus, it is thought that CAS possesses a synergistic inhibitory action on arthritic condition. All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CAS may be a potential anti-arthritic agent.

토우슬과 회우슬의 에탄올 추출물의 성분 및 생리활성 비교 (A Comparison of the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s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and Achyranthes bidentata Blume)

  • 이예슬;김미선;김덕진;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16-42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우슬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식품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우슬의 기원식물별 성분과 생리활성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국내산 토우슬과 중국산 회우슬의 ethanol 추출물 및 이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여 각각의 유용성분을 분석하고, 이들의 in-vitro 항균활성,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을 비교하였다. 국내 대한약전에서 토우슬 및 회우슬 2종 모두를 우슬로 규정하고 있으며, 구분없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나, 분석 결과 토우슬은 회우슬물보다 지용성 물질을 많이 포함하며, 회우슬의 경우 상대적으로 수용성 당류를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토우슬 및 회우슬 모두 다양한 종류의 폴리페놀들을 함유하고 있으나, 회우슬이 토우슬 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총플라보노이드 및 총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 및 ${\alpha}$-glucosidase 활성 평가 결과 토우슬의 분획물이 회우슬의 분획물보다 활성이 우수하였으며, 항산화능(DPPH 음이온 소거능, ABTS 양이온 소거능, nitrite 소거능 및 환원력)의 경우 토우슬보다 회우슬이 더욱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에서 동일 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토우슬과 회우슬은 추출물의 경우 성분 및 효능에서 매우 유사하나, 분획물의 경우 성분 및 활성의 차이가 나타남을 의미하며, 특히 우슬 추출물의 분획물을 이용한 기능성식품 및 천연물 신약 개발시에는 국내산 토우슬과 중국산 회우슬을 구분하여 사용하여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우슬 추출물의 Clostridium difficile에 대한 항균 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Extracts against Clostridium difficile)

  • 정선미;최수임;박상민;허태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564-56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대장염 유발균인 C, difficile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항균물질을 검색하기 위하여 40여 가지 생약재 에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C. difficile에 대한 생육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우슬, 희첨, 황백은 1,000 ppm농도에서 90% 이상의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우슬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AJNEA)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의 최소저해농도(MIC)는 $625{\mu}g/mL$였다. 또한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AJNEA의 유산균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B. longum, L. helveticus와 S. thermophilus를 제외한 나머지 균주들에 대해서 생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들 결과로부터 우슬 추출물은 C. difficile 관련 질환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제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Achyranthes japonica extracts supplementation to growing pigs positively influences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fecal microbial shedding, and fecal gas emission

  • Liu, Xiao;Lee, Sang In;Kim, In Ho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3_spc호
    • /
    • pp.427-433
    • /
    • 2021
  • Objectiv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hyranthes japonica extracts (AJE) on the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fecal microbial shedding, and fecal gas emission of growing pigs. Methods: A total of 180 ([Landrace×Yorkshire]×Duroc) growing pigs with initial body weight (BW) of 23.94±1.54 kg were used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JE as a feed additive. Dietary treatments included: i) CON (basal diet), ii) TRT1 (basal diet+0.05% AJE), and iii) TRT2 (basal diet+0.10% AJE). Results: As a result of the dietary supplementation of 0% to 0.10% AJE, a linear increase of BW (p<0.05) on d 21 and 42, a linear increase of average daily gain (ADG) (p<0.05) during d 21 to 42, a trend in linear increase of ADG (p<0.10) during d 0 to 21 and d 0 to 42, a linear increase of gain to feed ratio (G:F) (p<0.05) during d 0 to 42, and a tendency in the linear increase of G:F during d 21 to 42 were observed in this study. Additionally, dietary supplementation of 0% to 0.10% AJE had a linear increase (p<0.05) on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of dry matter (DM) and energy, a linear increase (p<0.05) on lactic acid bacteria counts, a tendency in reducing (linear effect, p<0.10) coliform bacteria counts, and a linear decrease (p<0.05) in excreta H2S emission content in growing pigs.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AJE had the potential to enhance growth performance, DM and energy digestibility, and fecal lactic acid bacteria counts, and decrease the fecal coliform bacteria counts and excreta H2S emission in growing pi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