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chievement test

Search Result 1,226,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학령기 정상가정자녀와 이혼가정자녀의 건강상태와 학교생활적응정도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Health State and School Adaptation between Children in Divorced Family and in Normal Family)

  • 조결자;지은선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743-756
    • /
    • 2002
  •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and comparative study that compares health state and school adaptation between children in divorced family and in normal family. Study results will provide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program designed to help children in divorced family adjust to their crisis. Method: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700 children in 4th. 5th or 6th elementary school grade, residing Seoul and Kyunggi regions. Among these subjects, 123 were children with divorced family and 577 were children with normal family. The health status of the subjects was measured by Health Symptom Questionnaire developed by Shin and revised by the investigators. The instrument consisted of 30 items measuring physical and emotional health symptoms. The level of school adaptation of the subjects was measured by School Adaptation Scale developed by Lee, which consisted of 4 dimensions with 20 items what measures relationship with peer students, learning activity, observance of regulation, and participation of school activity. The investigators visited the schools and collected data in the classes using the questionnaire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and procedures of the study to the children.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yen\"{o}2$-test, t-test, ANOVA using the SPSS PC + statistical program. Result: First, the mean health state score in children with normal family (M=11.99) was higher than that in children with divorced family (M=19.15),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t=-6.51, p=.000) between the two groups, which suggests that children with normal family have better health state than children with divorced family. Second, the mean school adaptation score in children with normal family (M=38.99) was higher than that in children with divorced family (M=26.97),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104.07, p=.000), which suggests that the school adaptation of children with normal family is better than that of children with divorced family. Third, in comparison of health state between the two groups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sex. the most contributing factor to health status of the children, school year. birth order, religion, school achievement, amount of monthly pocket money, parents level of formal education, occupation of parents, economic status (p<.05). Forth, in comparison of the level of school adaptation between the two groups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most variables (p<.05), suggesting that children with normal family had better capacity of school adaptation than children with divorced family. Conclusion: As a result. this study showed that the parent's divorce had great influence on children's health status and school adaptation capacity. The implication for nursing i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supportive interventions for the high-risk children who have decreased health states and school adaptation capacity due to the divorce of their parents. In addition, it is recommended that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explore protective factors for the prevention of health and adaptation problems in children.

  • PDF

부산, 울산 및 경상남도 만 19세 남자의 고도근시 유병률 (The Prevalence of High Myopia in 19 Year-Old Men in Busan, Ulsan and Gyeongsangnam-Do)

  • 이상준;엄상화;유병철;손혜숙;홍영습;노맹석;이용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4권1호
    • /
    • pp.56-64
    • /
    • 201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prevalence and correlated factors of high myopia in 19 year-old men in Southeast Korea.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based on the medical checkup data of conscription during 2005. The study subjects were 19 years old men in Busan, Ulsan and Gyeongsangnam-do. The health checkup data of the conscripts consisted of noncycloplegic autorefraction test, the biometric data and social factors. To analyze the social and biometric effects, we classified the biometric factors into 4 or 5 groups and the social factors into 3 groups. High myopia was defined as a spherical equivalent of under -6.0 diopter.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hi square test for trend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AS(version 9.1) program was used for all the analyses. Results: The prevalence of high myopia was 12.39% (6256 / 50 508). The factors correlated with high myopia were the residence area (OR, 2.07; 95% CI, 1.77 to 2.4 for small city; OR, 2.01; 95% CI, 1.72 to 2.34 for metropolis; the reference group was rural area), academic achievement (OR, 1.43; 95% CI, 1.34 to 1.53 for students of 4-and 6-year-course university; the reference group was high school graduates & under) and blood pressure (OR, 1.54; 95% CI, 1.10 to 2.16 for hypertension; OR, 1.09; 95% CI, 1.02 to 1.17 for prehypertension; OR, 1.10; 95% CI, 1.01 to 1.20 for hypotension; the reference group was normal blood pressure). Conclusions: More than one tenth of the young men were high myopia as one of the risk factor for visual loss. Further studies on high myopia and its complications are needed to improve eye health in Southeast Korea.

준지도학습 방법을 이용한 한국어 서답형 문항 반자동 채점 (Semi-Automatic Scoring for Short Korean Free-Text Responses Using Semi-Supervised Learning)

  • 천민아;서형원;김재훈;노은희;성경희;임은영
    • 인지과학
    • /
    • 제26권2호
    • /
    • pp.147-165
    • /
    • 2015
  • 서답형 문항은 학생들의 종합적인 사고력을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채점 비용이 많이 들고 채점자의 주관이 개입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런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영어권에서는 자동채점 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한국어의 경우에는 아직 여전히 연구 단계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준지도학습 방법을 이용한 한국어 서답형 문항의 채점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모범답안을 초기 모델로 학생답안의 일부를 채점하고 그 결과를 이용해서 점진적으로 학생답안의 채점을 늘려가는 준지도학습 방법을 이용한다. 제안된 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해서 2013학년도 학업성취도 평가의 국어 및 사회 과목의 서답형 문항을 사용했다. 채점 시간과 일관성에 관해서 매우 좋은 결과를 얻었다. 그 결과 채점 시간을 크게 단출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채점 방법을 적용하여 객관성을 확보한다면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종합병원 중간관리자의 역량군별 중요도 인식과 수행수준 차이 및 요인분석 (Analysis of the Factors and the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about the Capability Groups of the Mediator Manager in General Hospital and the Level of Performance)

  • 김희숙;조우현;김영훈;김태현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92-114
    • /
    • 2011
  • The study has its purpose on providing basic resource to enforce the capability of the middle managers by examining the level of performance and the level of awareness about the capabilities of the managers and by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e and the reasons for the differences. The source of the study was 195 survey questionnaires that were carried out to the managers of the 9 general hospitals and the method of the analysis was the frequency analysis, analysis of the credibility, matching to sample T-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disper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accumulated variables. The followings are the main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awareness about the capabilities and the level of performance of the mediator managers in general hospitals had high capability in change management. The following orders were: competence in achievement and behavior, competence in management, competence in recognition, competence in influence, competence in individual effectiveness, and competence in personal relationship service. Second, as the result of the relation analysi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he mediator managers, everything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the study about the level of importance, the cognitive capability and the management capability ha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correlation number of 0.88. In the study about the level of performance, the cognitive capability, individual capability, and the management capability ha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correlation variable number of 0.79. Third, as the result of studying the reason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the awareness capability and the level of the performance, lack of the support recognition compensation in the organization level, inappropriate work environment, limit in the regulation were found as the highest reason in the order. As the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cluded that the creation of the efficient capability estimation model and the securement of the system that estimate the capability of the managers should be carried out in order to enforce the capability of the mediator managers in general hospitals.

  • PDF

개념 학습에 적용한 협동학습 전략에서 소집단 구성 방법의 효과 (The Effect of Grouping Method in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Applied to Concept Learning)

  • 노태희;차정호;전경문;정태호;한재영;최용남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00-408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화학 개념 학습에 적용한 협동학습에서 소집단 구성 방법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두 가지 소집단 구성 방법은 사전 성취 수준 측면에서 상 중 하위 수준의 학습자가 모두 포함된 HML(High-Medium-Low) 방법과 상 하위 수준의 학습자로 구성된 소집단과 중위 수준의 학습자로만 구성된 소집단이 공존하는 HL/MM(High Low/Medium-Medium) 방법이다. 서울 지역의 고등학교에서 3개 학급(136명)을 선정하여 통제 집단과 처치 집단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수업 처치 전에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검사 참여도 마찰도 경쟁도의 하위 영역으로 구성된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검사, 그리고 자아 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였고, 중간고사 성적을 구하였다. 각 점수는 공변인으로 사용하였다. 수업 처치 후, 사전 검사로 실시한 세 검사와 개념 이해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개념 이해도에서 수업 처치와 사전 성취 수준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하위 수준에서 HL/MM 협동학습 집단의 개념 이해도가 다른 두 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았다.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중 참여도 영역에서는 소집단 구성 방법에 관계없이 협동학습 집단 학생들이 통제 집단 학생들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 PDF

스마트 학습법이 보건 계열 학생들에게 성취목표지향성 및 학업적 자기 효능감이 미치는 효과 (Effect of Smart Learning applied on Achievement Goal, Self Directed Learning for Students in Health College)

  • 심재구;박수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79-287
    • /
    • 2017
  • 스마트 학습법을 적용한 학생과 적용하지 않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효과적으로 적용되었는지 알아보고 향 후 보건 계열 방사선과 전공과목에 스마트 학습법을 적용한 효과에 대해 논의 및 향 후 발전적인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2016년 3월부터 6월까지 한 학기동안 스마트 학습법으로 강의를 받은 학생과 스마트 학습법을 적용하지 않은 학생 두 분류로 나누었고 자료수집방법은 자가 보고형 질문지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스마트 학습법으로 강의를 받은 교육군이 비교육군에 비해 자기주도 학습능력를 검정한 결과, 5점 만점에 교육군이 3.46점, 비교육군이 2.63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t=9.721, p=.000), 성취목표지향성을 검정한 결과, 교육군이 3.12점, 비교육군이 2.92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4.544, p=.000). 위의 결과로 스마트학습법이 자기주도학습,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 만족도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줬으며, 향후 보건 계열 학과에서도 교수자는 학습자와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강의의 질적 향상을 위해 학습변화가 필요하다.

주단위 보고서를 활용한 질문 촉진 수업에서 상호동료교수 전략 및 장독립성-장의존성의 영향 (The Influences of Reciprocal Peer Tutoring Strategy and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in Instruction Enhancing Student Questions by Using Weekly Reports)

  • 강훈식;권은경;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82-92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주단위 보고서를 활용한 질문 촉진 수업에서 상호동료교수 전략 및 장독립성-장의 존성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중학교 1학년 152명을 주단위 보고서(WR) 집단과 주단위 보고서-상호동료교수 전략(WR-RPT) 집단으로 배치한 후, ‘물질의 세 가지 상태', ‘분자의 운동', ‘상태 변화와 에너지' 단원에 대해 총 18차시 동안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 기간 동안 두 집단의 학생들은 주단위 보고서를 총 6회 작성하였으며, WR-RPT 집단의 학생들은 주단위 보고서에서 만든 질문들을 상호동료교수 활동을 통해 해결하는 활동도 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장독립성-장의존성에 관계없이 개념 이해도 검사에서 WR-RPT 집단의 점수가 WR 집단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높았다. 학업 성취도 검사에서는 장의존적인 학생들의 경우 WR-RPT 집단의 점수가 WR 집단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높았으나, 장독립적인 학생들의 경우에는 두 집단 간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두 집단에서 모두 장의존적인 학생들보다 장독립적인 학생들의 개념 이해도 및 학업 성취도 검사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높았다. 많은 학생들, 특히 장의존적인 학생들보다 장독립적인 학생들이 WR-RPT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사 자료를 활용한 중학생들의 천동설에서 지동설로의 개념 변화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Change from Geocentricism to Heliocentricism Using Science History Materials)

  • 최진희;김희수;정정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489-500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에게 과학사 자료를 활용한 인지 갈등 수업을 하였을 때 나타나는 ‘우주관’에 대한 개념 변화의 인지적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인지수준이 각각 상, 중, 하인 중학교 2학년 학생 남녀 4명을 표집 하였다. 매 차시별 수업 후 형성된 학생의 ‘우주관’ 개념에 대해 면담과 탐구 활동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전$\cdot$사후 개념 검사로 개념 변화 정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4명의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천문학적 선개념은 차이가 있었고 천체의 운동과 관련된 오개념도 다양하였다. 형식적 조작기와 전이단계 있는 학생은 과학사를 이용한 수업을 통하여 천동설에서 지동설로 개념 변화가 이루어졌다. 그에 비하여 구체적 조작기에 해당하는 학생의 선개념은 전반적으로 비과학적이거나 무개념 상태였으며, 인지 갈등을 일으킬 만한 현상을 제시하여도 개념 변화를 일으키지 못하는 등 과정에 어려움을 보였다. 이 단계의 학생에게는 새로운 자료를 제시하고 이를 설명하게 하는 인지 갈등 과정을 통하여 천동설에서 지동설로의 개념 변화를 일으켰다. 수업 처치 후 학생들의 개념 검사지의 성취도가 $10\%$ 이상 높아졌다. 이는 과학사 자료를 이용한 학습 지도가 과학적 개념 변화에 있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중학교 전기전자기술 영역의 활동 중심 STEM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ctivity-Centered STEM Education Program of Electricity, Electronics Technology area in Middle School)

  • 배선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2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전기전자기술 영역의 활동 중심 STEM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있었다. 이 통합교육프로그램은 과학, 기술, 공학, 수학 교과의 지식, 기능, 태도와 관련한 현실 세계에서의 문제해결에 초점을 맞추었다. 활동 중심 STEM 교육프로그램 개발은 준비, 개발, 개선의 3단계를 거쳐 진행되었다. 준비단계에서는, (1) STEM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학생, 교사, 사회의 요구 분석, (2) STEM 교육프로그램의 통합유형 선정, (3) 전기전자기술 영역의 전문교과 내용 분석, (4) 활동과제 선정 준거를 도출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1) 전기전자기술 영역 STEM 교육프로그램의 활동과제 선정, (2) 활동과제별 교육목표 설정, (3) 활동분석 및 세부 활동 명료화, (4) 학습 내용 선정, (5) 학습내용 조직, (6) 수업목표 진술, (7) STEM 교육프로그램 내용 구성 및 작성이 이루어졌다. 개선단계에서는, (1) 전문가에 의한 타당도 검증, (2) 학생들에 의한 예비시험과 현장시험을 실행하여 STEM 교육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였다. 개발한 활동 중심 STEM 교육프로그램을 S중학교 '방과후학교, 활동에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인지적 정의적 영역의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고, 문제해결능력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실습 만족도 간의 관계 (Rel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linical stres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 곽혜원;이지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47-15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실습 만족도를 파악하고, 제 변수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대구 경북 지역 3개 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3,4학년생 261명을 대상으로 2015년 9월 7일~18까지 설문조사하였고,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대인관계는 평균 $3.74{\pm}0.39$점,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3.21{\pm}0.54$점, 임상실습 만족도는 $3.44{\pm}0.45$점이었다. 대인관계는 연령(F=3.12, p=.046), 간호학 전공만족도(F=15.84, p<.001), 대인관계 중요성(F=4.76, p=.001), 학업성적(F=3.80, p=.01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연령(F=8.05, p<.001), 간호학 지원동기(F=4.55, p=.001), 간호학 전공만족도(F=2.69, p=.04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상실습 만족도는 간호학 전공만족도(F=3.24, p=.022), 대인관계 중요성(F=3.01, p=.019), 학업성적(F=5.24,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인관계와 임상실습 만족도(r=.24, p<.001)는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대인관계(${\beta}=.21$, p<.001), 학업성적(${\beta}=.12$, p=.045)이었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방안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