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etate oxidation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27초

Sol-Gel법에 의한 PZT박막 제조에서 완충층의 영향 (Effect of buffer layers on preparation of Sol-Gel processed PZT thin films)

  • 김종국;박지련;박병옥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07-314
    • /
    • 1998
  • 졸-겔법을 이용하여 PZT박막을 제조하였다. 출발물질로는 Pb-acetate trihydrate, Zr-normal propoxide와 Ti-ispropoxide를 사용하였으며, 용매로는 2-Methoxyethanol과 iso- Propanol을 사용하였다. 기판에 따른 Pb 이온 및 Si 이온의 확산을 고찰하기 위해 bare Si와 열산화된 $SiO_2/Si$ 그리고 산화된 기판 위에 졸-겔 spin-coating법으로 $TiO_2$를 입힌 $TiO_2/SiO_2/Si$ 기판을 사용하였다. 박막의 치밀화 및 기판과의 접착상태는 SEM을 이용하였고, 상생성 온도는 XRD, 그리고 Pb 이온 및 Si 이온의 확산 정도는 ESCA를 사용하였다. 기판으로 bare Si 및 $SiO_2/Si$를 사용한 경우, $700^{\circ}C$에서 perovskite상을 얻을 수 있었으며, SiO2/Si 기판을 사용하여 Si의 막으로의 확산을 다소 방지할 수 있었다. $TiO_2/SiO_2/Si$기판을 사용한 경우, $500^{\circ}C$에서 perovskite상을 얻을 수 있었고, Pb 이온 및 Si 이온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었다.

  • PDF

서브 마이크론급 구형 동분말의 볼 밀링을 통한 플레이크 동분말의 제조 (Fabrication of Cu Flakes by Ball Milling of Sub-micrometer Spherical Cu Particles)

  • 김지환;이종현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33-137
    • /
    • 2014
  • 직경 수 마이크론급의 Ag 코팅 Cu 플레이크를 제조하기 위한 선행공정으로 습식 화학적 합성법으로 제조된 서브마이크론급의 Cu 입자를 볼 밀링 공정을 통해 프레이크화 하였다. 입자들의 산화 및 응집을 막기 위해 볼 밀링 유체로는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였고, 에틸아세테이트 표면개질제도 첨가하였다. 용기의 회전수에 따른 실험 결과를 통해 회전수에 따른 회전 모드의 변화가 밀링 후 Cu 입자들의 평균적인 형상과 형상 균일도를 크게 변화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첨가한 지르코니아 볼의 직경 역시 Cu 입자들의 플레이크화 균일도를 결정하는 대표 공정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다소간의 응집체를 포함한 서브마이크론급의 Cu 입자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회전수, 표면개질제 첨가량, 그리고 지르코니아 볼의 직경 등의 대표 공정변수들을 최적화한 볼 밀링 공정을 통해 분산성이 우수한 수 마이크론급의 Cu 플레이크를 성공적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

초음파(超音波) 분무(噴霧) 열분해법(熱分解法)으로 r-plane 사파이어 위에 증착(蒸着)된 ZnO 막(膜)의 특성(特性) (Properties of ZnO Films on r-plane Sapphires Prepared by Ultrasonic Spray Pyrolysis)

  • 마대영;문현열;이수철
    • 센서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5-162
    • /
    • 1997
  • zinc acetate를 포함하는 용액으로부터 r-plane 사파이어 기판 위에 ZnO 막(膜)을 증착하였다. 초음파(超音波) 발생기(發生器)로 용액을 진동시켜 증기입자를 만든 후 이것을 고온 반응로(反應盧) 내에서 열분해(熱分解) 시켜 막(膜)을 증착하였다. 제조된 막(膜)의 결정성, 표면형태 및 조성을 XRD, SEM 및 AES로 각각 분석하였다. 기판온도가 막(膜)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기판온도 $300^{\circ}C$에서 (110) 방향으로 강하게 성장된 막(膜)을 얻을 수 있었다. 구리의 첨가(添加)와 습식산화(濕式酸化)에 의해 막(膜)의 저항율을 $3{\times}10^{6}{\Omega}{\cdot}cm$이상으로 높일 수 있었다.

  • PDF

Protective Effect of Resveratrol on the Oxidative Stress-Induced Inhibition of 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 in HaCaT Keratinocytes

  • Lee, Jong-Chan;Lee, Sun-Mee;Kim, Ji-Hyun;Ahn, Soo-Mi;Lee, Byeong-Gon;Chang, Ih-Seoup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1권4호
    • /
    • pp.224-231
    • /
    • 200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sveratrol on the oxidative stress-induced inhibition of 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 in HaCaT keratinocytes. Anti-oxidative activity of resveratrol was measured by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assay and 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oxidation assay. 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 in HaCaT keratinocytes was assessed using the scrape loading/dye transfer technique. Western blots and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were also analyzed for connexin 43 protein and mRNA expression, respectively. Resveratrol scavenged directly the stable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radical over a concentration range of 4 mg/ml ($78.2{\pm}2.7$% of control) to 500 mg/ml ($29.9{\pm}4.2$% of control) and decreased the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induced by ultraviolet A (UVA) irradiation ($89.3{\pm}1.1$% of UVA group), ultraviolet B (UVB) irradiation ($70.9{\pm}1.7$% of UVB group) and 12-0-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TPA, $48.3{\pm}1.1$% of TPA group), respectively. UVA irradiation and TPA markedly reduced 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 which was restored by resveratro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onnexin 43 protein and mRNA expression among any of the experimental groups. Our data suggests that resveratrol has the protective effect on the oxidative stress-induced inhibition of 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 in HaCaT keratinocytes, and this protection is likely due to the scavenging of reactive oxygen species.

국화류 추출물 및 분획물의 생리활성 비교연구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n Extracts and Fractions in Compositae Plants)

  • 강정란;유은미;한갑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245-251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는 국화류3종 학슬, 희렴, 한련초를 대상으로 MeOH 80% 추출물 및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분획을 이용한 항균활성, 항산화 및 tyrosinase 저해활성효과에 대한 연구를 통해 기능성 화장품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항균활성의 경우 MeOH 80% 추출물에서는 한련초와 용매분획 중에서는 학슬의 헥산분획, 희렴의 클로로포름분획,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한련초의 클로로포름분획을 중심으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의 경우 3종 모두 용매분획 중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분획에서 90%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의 경우 희렴과 학슬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국화류3종 MeOH 80%추출물 및 분획물에서 항산화 및 미백작용이 우수하므로 기능성화장품소재 개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추출용매에 따른 오레가노 종자 분획물의 항산화 및 유지산화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antioxidant properties and oxidative stability of oregano seed solvent fraction)

  • 이현종;김민아;홍성실;김미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2-18
    • /
    • 2021
  • 본 연구는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오레가노 종자를 80% 에탄올, 헥세인,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 증류수로 분획하여 시험관 내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 180℃로 산화된 옥수수 기름에 적용하여 유지 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오레가노 종자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라디칼 소거 활성이 92.3%으로 분획물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결과 오레가노 종자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이 53.9%로 분획물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FRAP 환원력은 오레가노 종자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이 6,130 µmol ascorbic acid equivalent/g extract로 분획물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 페놀함량은 FRAP 환원력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오레가노 종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770 µmol tannic acid equivalent/g extract로 분획물 중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오레가노 종자 분획물간 헤드스페이스 산소 함량은 80분 이상 산화가 진행되면서 오레가노 종자 헥세인, 에틸 아세테이트, 80% 에탄올 분획물을 첨가한 시료군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1.25, 1.05, 1.02배 많은 산소함량 차이를 보였다. 유지의 일차 및 이차 산화생성물을 평가한 CDA, ρ-AV의 실험결과 CDA가는 오레가노 종자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첨가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conjugated dienes 생성이 1.5배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관찰하였다. ρ-AV의 결과 또한 CDA가와 마찬가지로 오레가노 종자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첨가한 유지 시료의 이차 산화물 양이 대조군에 비해 1.26배 유의적으로 감소된 것이 관찰되었다. 이와 더불어 오레가노 종자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GC 분석 결과 주요 휘발성 성분은 카바크롤, 타이모퀴논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오레가노 종자의 항산화 활성은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한 분획물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오레가노 종자가 가지고 있는 향기 성분 속 항산화물질이 실험에서 사용한 다른 용매들 보다 에틸 아세테이트 속에 다량 용출되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것으로 사료되며, 오레가노 종자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속에 포함된 테르펜 및 폴리페놀 등의 물질로부터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향후 오레가노 종자를 천연항산화제로 활용하기 위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활용이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거봉 포도종의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한 생리활성 효능 (B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and Fractions of Black Olympia Grape(Vitis Labruscana L.))

  • 박성진;박부길;이현용;오덕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38-344
    • /
    • 2002
  • 본 연구는 포도 거봉종의 종자와 과피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와 암세포들에 대한 세포 독성을 살펴보았다. 추출 온도를 달리하여 추출한 종자와 과피의 에탄올 추출물과 추출물에 대한 분획물들을 이용하여 지질과산화물의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종자 및 과피 에탄올 추출물 모두 온도변화에 따른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지질과산화물의 감소효과가 증가하였다. 종자 추출물의 경우, 3$0^{\circ}C$에서 추출한 에탄올추출물이 20 $\mu\textrm{g}$/$m\ell$ 농도에서 60.1%, 분획물 중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물이 71.2%의 지질과산화를 억제하였다. 과피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5$0^{\circ}C$에서 추출한 추출물이 20 $\mu\textrm{g}$/$m\ell$ 농도에서 48.1%, 분획물 중에서는 hexane 분획물이 44.4%의 지질과산화를 각각 억제하였다. 암세포 생육 억제 효과에서는 모든 암세포(MCF-7, Hep3B 및 A549)에서 포도 종자 및 과피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들이 1.00 $\mu\textrm{g}$/ML 농도에서 대부분 50% 이상의 생육 억제율을 보였으며, 암세포에 대한 생육 억제와 정상 세포에 대한 selectivity에서는 종자 에탄올 추출물과 과피 에탄을 추출물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거봉포도종자 및 과피의 에탄올 추출물들과 각 분획물은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와 암세포들에 세포 독성이 캠벨종의 포도종자 및 과피에 비하여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Low Density Lipoprotein-oxidation Inhibitory Phytochemicals from the Fruits of Rhus parviflora

  • Shrestha, Sabina;Park, Ji-Hae;Cho, Jin-Gyeong;Lee, Dae-Young;Kang, Ji-Hyun;Li, Hua;Jeong, Tae-Sook;Kim Cho, Somi;Lee, Dong-Sun;Baek, Nam-I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2호
    • /
    • pp.109-112
    • /
    • 2015
  • Fruits of Rhus parviflora were extracted with 80% aqueous methanol (MeOH), and the concentrated extract was partitioned using ethyl acetate (EtOAc), n-butanol (n-BuOH), and $H_2O$, successively. Purification of EtOAc fraction led to isolation of fifteen polyphenols of which structures were identified by spectroscopic methods including 2D-NMR. Most compounds apart from compound 10 inhibited low density lipoproteinoxidation within $IC_{50}$ value of $10{\mu}M$. Among compounds, taxifolin (2), quercetin 3-O-${\alpha}$-L-rhamnopyranoside (13), agathisflavone (5) sulfuretin (4), and aureusidin (3) showed $IC_{50}$ values 0.9, 0.8, 5.8, 2.9, and $2.4{\mu}M$ which were of highly significant in comparison positive control butylated hydroxytoluene with $IC_{50}$ value of $2.1{\mu}M$. The results indicate fruits of R. parviflora as a source of antihypercholesterolemic compounds.

요오드이온 생성 및 Methylene Green과의 용매추출에 의한 미량 황이온의 분광광도법 정량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Trace Amount of Sulfide by Formation of Iodide and Its Solvent Extraction with Mehtylene Green)

  • 감상규;김경연
    • 분석과학
    • /
    • 제7권3호
    • /
    • pp.261-269
    • /
    • 1994
  • 요오드산 이온의 황이온의 산화에 의해 화학양론적으로 형성되는 요오드이온과 methylene green과의 이온쌍을 1,2-dichloroethane으로 추출하여 656nm에서 분광광도법에 의해 황이온의 정량법을 확립하였다. 시료기질로부터 분리되어지는 황화수소는 pH 3.5 초산 완충용액과 요오드산 이온이 포함된 용액에 도입되어 완전히 전환되었다. 황이온의 정량범위는 $3{\times}10^{-7}{\sim}1.2{\times}10^{-5}M$ ($0.0096{\sim}0.384{\mu}g/ml$) 였으며, 검출한계는 $0.0032{\mu}g/ml$였고, 몰흡광계수는 $6.7{\times}10^4L\;mole^{-1}\;cm^{-1}$였다. 본 정량법을 하천수 중에 응용하였을 때 $5{\times}10^{-6}M$ 농도에서 상대표준편차는 1.59%로 미량에서 공존이온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재현성 있는 결과를 나타내므로 실시료 중에 효과적으로 응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Ameliorating Effect of Gardenia jasminoides Extract on Amyloid Beta Peptide-induced Neuronal Cell Deficit

  • Choi, Soo Jung;Kim, Mi-Jeong;Heo, Ho Jin;Hong, Bumshik;Cho, Hong Yon;Kim, Young Jun;Kim, Hye Kyung;Lim, Seung-Taik;Jun, Woo Jin;Kim, Eun-Ki;Shin, Dong-Hoon
    • Molecules and Cells
    • /
    • 제24권1호
    • /
    • pp.113-118
    • /
    • 2007
  • The brains of Alzheimer's disease (AD) patients are characterized by large deposits of amyloid beta peptide ($A{\beta}$). $A{\beta}$ is known to increase free radical production in nerve cells, leading to cell death that is characterized by lipid peroxidation, free radical formation, protein oxidation, and DNA/RNA oxidation. In this study, we selected an extract of Gardenia jasminoides by screening, and investigated its ameliorating effects on $A{\beta}$-induced oxidative stress using PC12 cells. The effects of the extract were evaluated using the 2',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DCF-DA) assay and the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reduction assay. To find the active component, the ethanol extract was partitioned with hexane,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respectively, and the active component was purified by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HPLC. The results suggested that Gardenia jasminoides extract can reduce the cytotoxicity of $A{\beta}$ in PC 12 cells, possibly by reducing oxidative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