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ess Networking

검색결과 302건 처리시간 0.023초

언더레이 주파수 공유를 이용한 인지무선 통신장치의 점대점 통신방법 (Point-to-Point Communication of Cognitive Radios via Underlay Spectrum Sharing)

  • 이혜원;한광훈;황영우;최성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9A호
    • /
    • pp.697-703
    • /
    • 2009
  • 인지무선 통신장치(cognitive radio)는 일반적으로 일차 사용자(primary user)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어떠한 일차 사용자도 점유하고 있지 않은 주파수 자원을 활용한다. 그러나 비어있는 주파수 자원을 발견할 수 없을 경우, 인지무선 통신장치는 언더레이(underlay) 형태로 일차 사용자들과 주파수를 공유할 수 있으며, 이 때 스스로의 통신이 일차 사용자들에게 간섭을 미치지 않도록 전송 전력을 조절해야 한다. 본 논문은 셀룰라 네트워크의 상향링크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언더레이 주파수 공유 방법을 제안한다. 셀룰라 네트워크의 범위 안에 존재하는 한쌍의 인지무선 통신장치들이 단방향 점대점(point-to-point) 통신 링크를 생성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전송 전력의 재한을 계산하고, 계산된 전송 전력을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상향 링크 공유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상향 링크 공유 방안이 하향 링크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는 것에 비해 인지무선 통신장치의 부담(overhead)을 줄일 뿐만 아니라 점대점 통신 링크의 수율(throughput)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

이동 컴퓨팅 환경에서 위치종속 데이타를 위한 영역 구성 (Organizing Data Regions for Location Dependent Data in Mobile Computing Environments)

  • 유제혁;황종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0권2호
    • /
    • pp.167-178
    • /
    • 2003
  • 이동 컴퓨팅 환경에서는 이동 클라이언트의 위치에 따라서 질의에 대한 결과 값이 달라지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그러한 결과의 데이타를 위치종속 데이타(LDD: Location Dependent Data)라 한다. 따라서 그러한 질의는 지리적인 거리를 고려하여 처리되어야 하며 또한 데이타의 관계성 등을 함께 고려하여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위치종속 질의에 나타나는 거리를 평가하고 영역별 위치종속 데이타를 구성할 때의 모호성으로 인해 정확히 평가하고 표현하기 어려운 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질의에 거리 정보를 사용함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고려하고 위치종속 데이타간의 관련성 및 질의되는 이동 글라이언트의 위치 그리고 요구되는 지형물에 대한 거리간의 관계를 정량화하여 위치종속 데이타를 위한 데이타 영역인 LDD 영역을 제안한다. 모의 실험에서는 이동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위치종속질의 및 위치의 성향들 그리고 영역의 두 가지 조밀도 설정하여 제안하는 LDD 영역에서 질의 처리가 지리적인 지역만을 고려한 데이타 영역에서보다 데이타베이스 접근 수를 줄일 수 있음을 보인다.

Implementation and Measurement of Spectrum Sensing for Cognitive Radio Networks Based on LoRa and GNU Radio

  • Tendeng, Rene;Lee, YoungDoo;Koo, In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7권3호
    • /
    • pp.23-36
    • /
    • 2018
  • In wireless communication, efficient spectrum usage is an issue that has been an attractive research area for many technologies. Recently new technologies innovations allow compact radios to transmit with power efficient communication over very long distances. For example, Low-Power Wide Area Networks (LPWANs) are an attractive emerging platform to connect the Internet-of-Things (IoT). Especially, LoRa is one of LPWAN technologies and considered as an infrastructure solution for IoT. End-devices use LoRa protocol across a single wireless hop to communicate to gateway(s) connected to the internet which acts as a bridge and relays message between these LoRa end-devices to a central network server. The use of the (ISM) spectrum sharing for such long-range networking motivates us to implement spectrum sensing testbed for cognitive radio network based on LoRa and GNU radio. In cognitive radio (CR), secondary users (SUs) are able to sense and use this information to opportunistically access the licensed spectrum band in absence of the primary users (PUs). In general, PUs have not been very receptive of the idea of opportunistic spectrum sharing. That is, CR will harmfully interfere with operations of PUs. Subsequently, there is a need for experimenting with different techniques in a real system.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spectrum sensing for cognitive radio networks based on LoRa and GNU Radio, and further analyzed corresponding performances of the implemented systems. The implementation is done using Microchip LoRa evolution kits, USRPs, and GNU radio.

웹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SNMP 기반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 통합 관리 시스템 (An SNMP-Base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with Web Interface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최재원;고영탁;김한경;이광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6권10호
    • /
    • pp.43-51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들을 위한 통합된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질적인 센서 네트워크들의 각 싱크 노드는 게이트웨이에 연결된다. 게이트웨이는 다양한 하드웨어 플랫폼과 네트워킹 모델들을 지원함으로써 여러 네트워크들로부터 관리 정보를 수집하여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에 저장한다. 관리 시스템은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의 MIB으로부터 관리 정보를 얻고 이를 분석한다. 사용자는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서든지 웹을 통하여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고 센서 노드들과 네트워크들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제안하는 관리 시스템을 직접 구현하여 실용성을 보인다.

온톨로지 기반의 사용자 중심 융합 컨텐츠 디자인 정보 검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ntology-Based Regional User-centric convergence content design information retrieval)

  • 박주옥;염미령;정두용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9-24
    • /
    • 2016
  • 인터넷이라는 거대한 정보의 공간에서 스마트 모바일 웹을 통해 사용자들은 다양한 지식분야에 대한 정보를 얻을 뿐만 아니라 개인 블로그나, SNS를 비롯한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접근하고 검색을 수시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 들어서는 방대한 웹의 자료를 시맨틱 웹이라는 기술을 통해 효과적으로 관리 및 연구하고 있다. 허나, 아직도 여러 분야로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는 정보들을 통합하고, 사용자 중심 지식 정보 검색은 예전에 비해 많이 향상은 되었지만, 지식 정보 검색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시맨틱 웹을 이용하여 방대하고 지식이 넘쳐나는 정보의 공간에서 분산된 정보 및 지식들을 사용자 중심에 맞게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적합한 형태의 정보 검색을 연구하고자 한다.

Cyber-Physical-Social 시스템과 OAuth를 이용한 IoT 인증 기법 (An Authentication Scheme Using OAuth and Cyber Physical Social System)

  • 조정우;이국영;이기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48-351
    • /
    • 2016
  • 최근 IoT 환경에서 많은 디바이스들의 등장과 더불어 특정 사용자만 접근 가능한 보호된 네트워크가 필요하게 되었다. IoT 네트워크 환경에 OAuth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인증하게 되면 보다 쉽게 네트워크 인증 체계를 구축할 수 있으나 OAuth는 공격자가 Token을 가로채게 되면 쉽게 공격에 노출되는 단점이 있어 2차 인증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궁극적인 IoT는 Fog Computing이 필수적이다. Fog Computing은 Cloud를 확장시켜 network Core에서 뿐만 아니라 Edge에서도 Computing이 가능하게 하고, node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이다. Fog Computing의 장점으로는 Location awareness나 Support for mobility 등을 들 수 있다. Fog Computing내에서 사용할 인증이 이런 Fog Computing의 장점을 살린다면, 더 IoT에 걸맞은 인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2차 인증에 기존의 인증서나 id/password, 또는 group key같은 번거로운 것을 이용하지 않고 Cyber-Physical-Social System을 사용한다면 user의 편리성을 더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Cyber-Physical-Social System기반의 인증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려 한다.

  • PDF

미래의 환경에 맞는 새로운 개인 휴대 통신 서비스를 위한 광대역 멀티미디어 통신망의 설계 (On the Design of a New Briadband Personalized Multimedia Network for Future Requirements)

  • 최진식;은종관
    • 정보와 통신
    • /
    • 제12권10호
    • /
    • pp.76-86
    • /
    • 1995
  • 최근 우리는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과 멀티미디어 통신망외에 개안휴대통신망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미래에 통신 서비스는 다양한 정보의 송수신 뿐만 아니라 언제 어디서든지 어느 누구와도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시대를 맞이할 것이다. 이러한 요구는 망에서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 자체의 발전과 그 통신망을 기반으로하는 정보의 종류와 기능의 다양화에 기반을 두고 구현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망의 구조와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우선 첫째로 미래의 서비스 변화나 요구사항, 망 설계시 요구되는 사항과 ,또 그러한 망을 실제로 구현 설치할 때 필요한 사항등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요구사항들을 충족 시킬 수 있는 새로운 망으로서 Broadband personalized multimedia network (BPMN)을 제안하고 그 제어방법 및 운용방법등을 제안한다. 제안된 망은 지능적 서비스나 기능은 모두 부가적인 장비나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모듈화된 구조로 기존의 망으로부터의 발전에 적합하며 새로운 망의 기술이나 서비스의 추가 또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이다. 망의 제어도 지역적 분산형태로 다양한 서비스를 각각의 기능에 알맞도록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는 완전 분산제어 방법을 새로이 제안하였다.

  • PDF

Ultra-low-latency services in 5G systems: A perspective from 3GPP standards

  • Jun, Sunmi;Kang, Yoohwa;Kim, Jaeho;Kim, Changki
    • ETRI Journal
    • /
    • 제42권5호
    • /
    • pp.721-733
    • /
    • 2020
  • Recently,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ultra-low-latency (ULL) services such as factory automation, autonomous driving, and telesurgery that must meet an end-to-end latency of less than 10 ms. Fifth-generation (5G) New Radio guarantees 0.5 ms one-way latency, so the feasibility of ULL services is higher than in previous mobile communications. However, this feasibility ensures performance at the radio access network level and requires an innovative 5G network architecture for end-to-end ULL across the entire 5G system. Hence, we survey in detailed two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arty (3GPP) standardization activities to ensure low latency at network level. 3GPP standardizes mobile edge computing (MEC), a low-latency solution at the edge network, in Release 15/16 and is standardizing time-sensitive communication in Release 16/17 for interworking 5G systems and IEEE 802.1 time-sensitive networking (TSN), a next-generation industry technology for ensuring low/deterministic latency. We developed a 5G system based on 3GPP Release 15 to support MEC with a potential sub-10 ms end-to-end latency in the edge network. In the near future, to provide ULL services in the external network of a 5G system, we suggest a 5G-IEEE TSN interworking system based on 3GPP Release 16/17 that meets an end-to-end latency of 2 ms.

온라인 커뮤니티 웹사이트에 나타난 임신과 출산에 대한 여성들의 관심사 (Analysis of Women's Concern about Pregnancy and Child Birth in the Internet Community)

  • 박선화;우민수;전경자;유정옥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49-60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women's concern for pregnancy and child birth in the internet community. Methods: One representative in the internet community was selected and questions regarding pregnancy and child birth were collected for 2 weeks in October 2019. A total of 8,005 question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roportion after categorizing theme into pregnancy, delivery, and postpartum care. Results: The most frequent questions were on preparedness for pregnancy (26.2%), followed by questions on infertility (23.3%), and on postpartum care (20.2%). Among the questions on preparedness for pregnancy, the most frequent questions were related to the follicle and ovulation. More than half of the questions on infertility (68.3%) were about diagnosis and treatment. Questions on abortion included symptoms, abortion procedure, post abortion care, and the support system. Among the questions on delivery, the most were about the delivery method (67.2%). Finally, questions on postpartum care were related to the physical changes/symptoms, daily life after delivery, postpartum care support, etc. Conclusion: As these results reflect women's need for information and support, it is suggested that more specific and targeted nursing practices for pregnancy and child birth should be developed.

페이스북 피로감에 대한 연구: 자기애, 평판근심, 반응기대를 중심으로 (Facebook Fatigue: Narcissism, Reputation Concern, and Expectation of Others' Responses)

  • 이종민;이지혜;성용준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5-42
    • /
    • 2018
  • 특정 집단의 취미활동이자 소통수단으로 시작되었던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SNS)는 이용자수, 이용의 깊이와 범위, 그리고 빈도를 주목할 때 이제 현대인의 일상 그 자체가 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삶과 밀접해진 SNS 이용으로 인해 최근 SNS 이용자가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심리학적 원인을 규명하는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가장 대표적 SNS인 페이스북 사용자를 대상으로 자기애가 높은 사용자가 페이스북 피로감을 느끼게 하는 심리적 기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기애는 SNS 이용에 영향력 있는 성격특성으로 연구된 바 있으며, 평판근심과 반응기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터넷 설문을 통하여 페이스북 사용자 329명의 응답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자기애 성향이 높은 사용자일수록 SNS 피로감을 많이 경험하였고, 평판근심과 타인의 반응기대가 이를 매개함을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SNS 이용에 있어 사용자의 자기애가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영향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 사이에 평판근심과 반응기대가 SNS 피로감 형성에 미칠 수 있다는 이론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