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eptance Intention of Mobile Advertising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4초

소비자의 혁신성이 모바일 광고 수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nsumer Innovativeness on the Acceptance Intention in Mobile Advertising)

  • 박종순;이종만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209-224
    • /
    • 2010
  • This study is focus on consumer innova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ariable that affect users' perceived value of mobile advertising and actual response intension to analyz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We built research new model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and the Ducoffe's model(1996).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consumer innovative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convenience, the entertaining element and informativeness. Second, credibility and conven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mobile advertising value. Third, Mobile advertising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actual response intention to mobile advertising. As shown i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value of mobile advertising and actual response intention, depending on innovativeness in accordance with mobile advertising characters elements.

모바일 광고(Mobile Advertising)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Mobile Advertising: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윤종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39-147
    • /
    • 2013
  • 유무선 인터넷의 활용도 증대에 따라 개인의 생활방식을 포함하여 기업의 대고객 관리활동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스마트폰 사용자의 증가, 모바일 인터넷 기술의 지속적 발전과 보급, 모바일 인터넷 사용률의 증대, 시공간의 제약을 벗어날 수 있는 정보전달 기기의 발전 등에 힘입어 기업에서의 모바일 광고는 자사 고객들에 대한 제품 및 서비스 소개, 각종 판촉 및 홍보 등의 마케팅 활동을 위한 핵심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광고의 어떠한 특성요인이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들의 광고 수용의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나아가 이러한 모바일 광고의 특성과 광고 수용의도간의 관련성이 국가의 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How to Forecast Behavioral Effects on Mobile Advertising in the Smart Environment us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Web Advertising Effect Model

  • Kim, Yong Beom;Joo, Hyung Chul;Lee, Bong Gyou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10호
    • /
    • pp.4997-5013
    • /
    • 2016
  • This paper proposes and then verifies a model that can be used to forecast the effects of behavior on mobile advertising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nd Web Advertising Effec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b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use and effect of the entertainment, informativeness, usefulness, capacity to accommodate smart-environment technologies, Hedonic Adaptation Model (HAM), etc. that mobile advertisements provide, as well as the attitudes toward advertisements in general. In order to accomplish this goal, the research was verifi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formativeness of mobile advertis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cognized ease of use. Second, the entertainment and informativeness of mobile advertising has positive effects on the recognized usefulness. Third, the recognized ease of us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cognized usefulness. Fourth, the informativeness of mobile advertising causes a positive effect on smart-environment technologies. Fifth, the entertainment and informativeness of mobile advertising cause positive effects on the HAM. Sixth, smart-environment technologies cause positive effects on the HAM. Seventh, the recognized usefulness causes a positive effect on the value of mobile advertising and the intention of use. Eighth, the H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value of mobile advertising and the general attitudes toward it. Ninth, the value of mobile advertis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Tenth, the attitudes toward mobile advertis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use.

모바일 광고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 러시아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Purchase Intention of Mobile Advertising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Russia)

  • 김승권;윤종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83-192
    • /
    • 2014
  • 휴대폰 보급의 활성화와 모바일 광고의 확산으로 인해 새로운 광고 채널로 부상하고 있는 모바일 광고에 대한 다국적 소비자들의 태도나 행동의지를 이해하는 작업이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모바일 광고의 특정 영역은 여전히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모바일 광고에 대한 고객의 태도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영역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기술수용모형을 바탕으로 모바일 광고 특성과 구매의도간의 관계를 조사하고, 국적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모바일 광고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연구자들이나 광고 실무자들이 관심을 가져야할 요소들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모바일 광고 수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eptance Behavior for mobile advertising :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s)

  • 김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149-161
    • /
    • 2016
  • 본 연구는 모바일 광고에 대한 태도, 이용의도 그리고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에서 입증된 변인들 외에 모바일 광고의 독특한 특성인 개인화, 사전동의, 보상을 새로운 변인으로 채택하였다. 연구결과 오락성, 정보성 신뢰성, 개인화, 사전동의는 모바일 광고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가심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상은 모바일 광고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바일 광고에 대한 태도는 이용의도에 이용의도는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모바일 광고의 속성에 대한 인식과 태도, 행동에 미치는 영향변인의 영향력에 대한 평가를 통해 모바일 광고 집행 시 고려해야 할 점을 제공함과 동시에 남녀 소비자집단의 근본적인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NFC광고에 대한 극장 관객의 지각된 즐거움, 혁신성이 광고태도와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NFC Advertising in Cinema Environment)

  • 심성욱;변혜민;김운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681-690
    • /
    • 2017
  • 국내 극장광고에서 활용되는 NFC 광고 전략과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 상호작용성 구성요소들 중 통제성을 제외한 개인화, 참여성이 광고 수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FC 광고 가치,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 NFC에 대한 지각된 즐거움, NFC 광고의 혁신성은 광고 수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NFC 광고 수용에는 상호작용성이 먼저, 그 다음 광고가치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친숙도에 따른 광고 수용성이 모방 용이성과 모바일 간편결제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vertisement acceptance according to brand familiarity on ease of imita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mobile payment)

  • 김윤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48-58
    • /
    • 2019
  • 최근 IT 기술을 기반으로 이미 브랜드 친숙도를 갖춘 기업들이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금융거래의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도입기인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의 광고 관련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또한 선행연구들에서 브랜드 친숙도가 광고태도와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지만, 전통적인 금융상품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결과를 적용하기 어렵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친숙도가 높은 기업의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가 광고 수용성을 통해 서비스를 쉽게 모방하고 사용의도를 가질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친숙도가 높은 브랜드의 광고는 새로운 서비스를 더욱 쉽게 모방하고자 하는 동기부여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 결과는,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에서도 브랜드 친숙도가 높을수록 광고를 효율적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전략적 광고수행의 중요성을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모바일 광고플랫폼의 광고효과 연구: 광고특성, 매체특성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Mobile Advertising Platform through Big Data Analytics: Focusing on Advertising, and Media Characteristics)

  • 배성덕;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2호
    • /
    • pp.37-57
    • /
    • 2018
  • 최근 스마트폰의 확산에 힘입어 유용한 광고 매체로서 모바일 미디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모바일 미디어는 소비자들에게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광고매체들과는 차별화된 장점을 가진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그 동안 모바일 광고 연구들은 모바일 광고에 대한 만족도, 수용도 등을 서베이를 토대로 분석한 연구와 모바일 광고 메시지 수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점적으로 탐구한 연구, 실험연구를 통해서 모바일 광고가 브랜드 회상,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실증데이터를 통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서비스 중인 모바일 광고플랫폼을 기반으로 광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광고주, 광고플랫폼, 퍼블리셔 관점에서 광고특성, 매체특성을 정의하고 각 특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각 특성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모바일 광고의 광고특성인 광고규격과 쾌락적, 실용적으로 구별한 매체 특성이 광고효과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서로간의 상호작용 효과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모바일 광고 업무 시 광고상품에 맞는 광고소재 제작 및 매체계획 등 광고효과에 최적화된 광고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기술수용모델(TAM)과 계획된 행동이론(TPB)를 바탕으로 한 모바일 기술수용에 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Mobile Technology Adoption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 이상근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61-84
    • /
    • 2005
  • 정보통신기술의 수용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들은 기술수용이 유용성(usefulness), 사용의 용이성(ease of use) 그리고 기술에 대한 자긍심(self-efficacy) 같은 혁신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사회적 규범(subjective norms), 구전효과(word-of-mouth) 그리고 광고(advertising)와 같은 모방적 요인에 대해서는 간과해 왔다. 특히 수요대폭발(critical mass)을 불러일으키는 모방적 요인과 혁신적 요인의 상호간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활발하지 않았다. 그래서 본 연구는 모바일 기술의 수용에 있어 모방적 요인의 역할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복합적 관점에서 초기 모바일 기술 수용에 대한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간의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대량광고, 구전효과와 사회적 규범과 같은 모방적 요인이 모바일 수용의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는 기술 전파에 따른 시장변화에 있어 정보통신 장비공급업체에게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략수립에 도움을 주리라 믿는다.

An Extension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for in-App Advertisements: The Case of Vietnamese Young Mobile Users

  • Tapanainen, Tommi;Dao, Trung Kien;Nguyen, Thi Thanh Hai;Pham, Thi Anh Duong;Nguyen, Danh Nguyen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7권1호
    • /
    • pp.147-171
    • /
    • 2020
  • In-app advertisement is a fast-growing trend in mobile advertising, where user acceptance of ads is facilitated by the fact that users have voluntarily downloaded the app through which the ad is served. However, research in this ad category is limited. This study applies an extended vers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alysis results from 412 young mobile users in Vietnam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while localization and perceived enjoyment affected user intention to watch in-app ads as expecte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trust did not. Such results may be due to embedding the ads to applications, confusing users' behavioral intentions. The results underline the need for more future research in the area. In practical terms, companies should improve localization and entertainment aspects of ads to create more relevant and engaging advertis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