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rina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1초

점박이응애 분비물의 미세구조 (Microstructure of Faecal Pellets and Silk of the Two 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Tetranychidae: Acarina))

  • 신희관;유세희;이원구;박중원;이인용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11권1_2호
    • /
    • pp.7-12
    • /
    • 2006
  • Asthma and allergic rhinitis due to outdoor spider mites are major health problems worldwide. The sensitization route to spider mites has not yet been well elucidated. We examined the microstructure of faecal pellets and silk of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using a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Black and white pellets of the two-spotted spider mites faeces contain a large amount of plant pigment waste products. Black faecal pellets are strawberry-shaped. White faecal pellets are silken threads. These pellets are likely to be the source of allergens of relevant mites because desiccated faeces particles probably disintegrate and become incorporated into dust particles more readily than whole bodies or encased internal organs. We conclude that the importance of spider mites in respiratory allergy needs emphasis.

  • PDF

청주시 매봉산 도시림의 식생, 토양특성 및 토양미소절지동물상 분석 (The Vegetation, Soil Characteristics, and Soil Microarthropods of Maebongsan Urban Forest in Cheongju-si, Korea)

  • 김흥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17
    • /
    • 2016
  • The study was aimed to understand the ecological status of the Maebongsan urban forest in Cheongju-si through investigating the vegetation, soil characteristics, and soil microarthropods. Phytosociological analysis for twenty plots revealed that the plan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Pinus rigida community,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Castanea crenata community,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Pinus strobus community, Pinus koraiensis community, and Larix kaempferi community. The importance value showed that afforestation tree species like Castanea crenata, Robinia pseudoacacia, and Pinus rigida dominate the urban forest. DBH analysis indicated that although the plant communities seem to be under the succession to Quercus forest, the dominance of Castanea crenata and Robinia pseudoacacia might still persist for several more decades. The properties of soils from the plant communities showed that loamy sand and sandy loam in soil texture, low organic matters, and severe acidification. The abundance of soil microarthropod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plant communities except Castanea crenata community and Pinus koraiensis community. The two communities showed especially low abundance of collembola and acarina. Thus, we can say that Castanea crenata community and Pinus koraiensis community seem to have been influenced strongly by anthropogenic activities.

점박이응애의 살비제저항성 발달과 Esterase Isozyme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caricidal Resistance and Esterase Isozyme of Tetranychus urticae (Acarina : Tetranychidae))

  • 김상수;이승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70-175
    • /
    • 1990
  •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 살비제저항성 기작을 구명하기 위한 기초시험으로서, 유기인계 carbophenothion과 ethion, 유기염소계 dicofol, 유기주석계 cyhexatin 및 합성 pyrethroid계 biphenthrin으로 누대도태한 각 저항성계통과 감수성계통을 공시하여, esterase isozyme의 영동대 차이점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을 비교한 결과, carbophenothion 저항성계통은 감수성계통에서 나타나지 않은 Est. 1, Est. 3이 검출되었고, ethion과 cyhexatin 저항성계통에서는 각각 Est. 3이, dicofol 저항성계통에서는 Est. 1, Est. 3, Est. 7이, biphenthrin 저항성계통은 Est. 3, Est. 7이 검출되었다. 이러한 영동대와 기질분해량의 차이점으로 미루어 보아 공시살비제들의 저항성발달에는 esterase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의 털진드기상 및 검색표 (진드기 목 : 털진드기 과 와 Leeuwenhoekiidae) (Fauna and Key to the Chigger Mites of Korea (Acarina ; Trombiculidae and Leeuwenhoekiidae))

  • 이한일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6권1호
    • /
    • pp.57-70
    • /
    • 1990
  • 한국산 털진드기 종을 다룬 모든 문헌을 조사 정리한 결과 총 43종이 보고되었는데, 그중 Salchia brennani ventralis 는 오동정한 것으로 W. comataxila 이었고 Shunsennia gracilis 는 S. hertigi 의 동종이명일 가능성이있으나 문헌상으로는 확인할 수 없었다. Leptotromibidium intermedium 의 경우 문헌상의 근거가 전혀 없어 국내 서식종으로 인정할 수 없었다. 필자가 직접 표본을 조사하여 확인할 수 있었던 종은 모두 17 종이었는데 그 가운데 Leptotromibidium akamushi 는 L.zutum 의 , L.miyajimai 는 L.orientale 의 오동정이었다. 결국 한국산 털진드기류는 모두 2과 , 12속, 39종이 된다. 이 중 2 종은 조류에 , 7종은 박쥐에, 그리고 29종은 설치류에 각각 기생하는 종이고 1종은 조류와 포유류에 공동기생하는 종이다. 현재 한국산 털진드기를 동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검색표로는 29종을 아룬 Southwick (1968) 의것이 있을 뿐이고, 우리나라와 동물상이 유사하나 일본 종에 대한 검색표도 우리나라 토착종 21종이 들어 있지 않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기존 검색표는 다리의 강모식(leg setal formula) 이나 촉수의 강모식( palpal setal formula)등 관찰하기 어려운 형질을 많이 사용하고 있어서 동정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필자는 현재까지 한국 종으로 정리된 총 39종에 대한 검색표를 만들었는데, 관찰이 용이하면서도 변이가 적은 형질을 최대한 사용하였고 특히 종 특징을 잘 나타내는 배판(scutum)의 형질을 주로 사용하였다. 실용성이 보다 큰 도식형 검색표( pictorial key)도 함께 만들었는데 원저자들의 도표에서 배판(scutum)을 그대로 전사하여 종 간 비교를 용이하게 하였다.

  • PDF

신선초에서 칠레이리응애에 의한 차응애의 생물적 방제 예비실험 (A Preliminary Study on the Biological Control of Tetranychus kanzawai Kishida in Angelica utlis Makino by Phytoseiulus persimilis Anthias-Henriot (Acarina: Tetranychidae, Phytoseiidae))

  • 김용헌;김정환;한만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51-155
    • /
    • 1999
  • 칠레이리응애(Phytoseiulus persimilis)의 방사에 의한 차응애(Tetranychus kanzawai)의 방제효과를 비닐하우스 재배 신선초(Angelica utilis)에서 조사하였다. 칠레이리응애 약성충을 7월 23일 $\m^2$당 25마리 방사했을 때 피해잎 4$\textrm{cm}^2$당 차응애 밀도는 7월 22일 25마리에서 9월 9일 0.4마리로 감소했으나 다시 10월 16일에는 9.3마리로 증가했다. 차응애의 밀도는 8월 13일로부터 10월 1일까지 낮았다.

  • PDF

송이에 서식(棲息)하는 절지동물상(節肢動物相) (The Arthropod Fauna Inhabited in Pine Mushroom)

  • 김호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2권1호
    • /
    • pp.1-8
    • /
    • 1986
  • 송이에 서식(棲息)하는 절지동물(節肢動物)을 채집 분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송이에 서식(棲息)하는 곤충(昆虫)은 총(總) 7목(目) 19과(科)였다. 또한 곤충(昆虫) 이외(以外)에 거미목(目), 응애목(目), 선충목(目), 병안목(目) 등의 동물(動物)도 함께 서식(棲息)하였다. 2. 송이를 가장 크게 가해(加害)하는 것은 Gyroþhaena niponensis, 방아벌레과(科)(Elateridae)의 일종, 초파리과(科)(Drosophilidae) 일종의 곤충(昆虫)과 만달팽이과(科)(Philomycidae) 일종의 동물(動物)이었다. 3. 우점종은 반날개과(科)의 Gyroþhaena niponensis였다. 4. 천적(天敵)으로 유력시 되는 Oxyρorus germanus, 줄침노린재(Sþhedanolestes impressioollis), 벼룩파리과(Phoridae), 딱정벌레과(科)(Carabidae)의 Pristodactyla crocata, 금좀벌과(科)(Pteromalidae)의 일종, 좀벌과(科)(Eulophidae)의 Terastichus hagenowi 등의 곤충(昆虫)과 거미목(目)(Araneina)의 Achaearanea tepidariorum, Micrommata virescens 등의 동물(動物)이 서식(棲息)하고 있었다.

  • PDF

차응애 야외개체군의 살비제 저항성 (Acaricide Resistance in Field-Collected Populations of Tetranychus kanzawai(Acarina: Tetranychidae))

  • 김상수;유상선;백채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07-212
    • /
    • 1998
  • 남부지방의 5개 차재배지에서 차응애(Tetranychus kanzawai Kishida)를 채?하여 7종 살비제에 대한 저항성 수준을 leaf spray 방법으로 검정한 결과 살비제의 종류 또는 지역 계통별로 상당한 감수성 차이를 나타내었다. 성전과 제주 계통은 azocylotin, tebufenpyrad, fenpytoxi-mate, propargite 와 fenpropathrin에 대해 , 해남 계통은 propargite와 fenyroximate에 대하여 , 보성 계통은 propargite에 대해, 영암계통은 pyidaben에 대하여 저항성비 20이상의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성전과 제주계통에 있어서는 다른 대체살비제들의 사용이 요망된다. 그러나 해남, 보성, 영암 계통들에 대해서는 적절한 살비제의 선택적 이용으로 차응애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국내 쭈쭈가무시병(양충병)의 매개종 (Determination of the vector species of tsutsugamushi disease in Korea)

  • 이한일;이인용;조민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1호
    • /
    • pp.87-92
    • /
    • 1991
  • 1989년 7월∼11월에 걸쳐 9개 지역에서 생포한 48마리의 등줄쥐(Apodemus agrarius)로부터 4,142개체의 털진드기(Acarina: Trombiculidae) 유충을 채집하였다. 이들 중 10종 990개체를 해부하여 그 내용 물질로부터 쭈쭈가무시병의 병원체를 간접 면역형광항체법으로 조사하였다 L. pallidum 유충 447개체 가운데 2개체에서 병원체인 Rickettsia tsutsugamushi를 발견하여 본중이 쭈쭈가무시병의 매개종임을 확인하였고, 감염률은 0.4%이었다.

  • PDF

귤응애의 생물적 방제를 위한 Amblyseius fallacis의 방사수준 (Release Level of Amblyseius fallacis Garman (Acarina: Phytoseiidae) for Biological Control of Panonychus citri McGregor (Acari: Tetranychidae) on Citrus)

  • 김동환;김광식;현재욱;임한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33-240
    • /
    • 2003
  • 항온$.$항습 조건에서 Amblyseius fallacis의 접종밀도별 귤응애에 대한 밀도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16 : 1(Panonychus citri :A.fallacis) 이상의 비율로 접종한 경우에 귤응애의 밀도가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그리고 귤응애의 초기 밀도가 잎 당 0.5마리와 1마리일 때 20:1로 1-2회씩 방사한 결과, 모든 처리에서 A.fallacis의 밀도는 다소 높게 형성되었으나 귤응애에 대한 뚜렷한 억제효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정상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비닐하우스의 감귤나무에서 귤응애가 잎 당 0.1-0.2마리 정도일 때 10:1로 2회 방사한 경우에는 A.fallacis의 밀도도 높게 형성되었으며, 유기합성농약을 살포한 처리구와 동일할 정도의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이리응애가 서식하는 곳은 수관 내부이므로 수관 내부와 외부의 환경차이를 조사한 결과,주간에는 수관내부가 외부에 비해 기온은 낮고, 상대습도는 높기 때문에 A.fallacis의 서식에 다소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온은 7.2$^{\circ}C$ 이상, 상대습도는 18.5% 이상까지도 차이가 있었다.

딸기 시설재배지에서 점박이응애의 발생과 분포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Tetranychus urticae Koch (Acarina: Tetranychidae) in strawberry greenhouse)

  • 최용석;황인수;김규상;조효려;서정학;박덕기;이영수;유용만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4호
    • /
    • pp.315-319
    • /
    • 2014
  • Mean densities of two-spotted spider mite (TSM), Tetranichus urticae Koch adults from January to April in 2014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and dispersion pattern of T. urticae on purpose of developing a monitoring method in the strawberry PVC house. Difference of density of T. urticae adult on middle and both side of leaf wasn't significantly. Density of T. urticae in investigation at different furrows and investigating points was the highest at the right and left sides of a furrow in strawberry PVC house. In results of comparing the dispersion incides of Taylor's power law (TPL) with Iwao's patchiness regression (IPR), TPL described better mean-relationship for the dispersion indieces compared to IPR. Slopes and intercepts of TPL from leaf samples did not differ among surveyed regions. Also, Distribution of T. urticae in a strawberry PVC house was the gravitation of the distribution because b and ${\beta}$ values of TPL and IPR was bigger than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