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engagement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8초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학습관여행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Academic Stress on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Engagement: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Behavior)

  • 김혜원;장윤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5호
    • /
    • pp.99-11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olescents' academic stress on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engage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behavior on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engagemen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academic stress had an influence on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engagement. The higher adolescents' academic stress was, the higher academic burnout and the lowerer academic engagement were. Second, adolescents'academic stress and parental adequacy results pursuit behavior influenced academic burnout. That is, the level of adolescents'academic stress and parental behavior encouraging academic progress of children caused the low academic burnout. And parental behavior encouraging academic progress of children appeare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burnout. Third, adolescents'academic stress, parental behavior pursuing adequate result, encouraging academic progress and granting their children academic options influenced academic engagement. However,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behavior appeared not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engagement.

간호대학생의 학업참여, 학업소진,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연구: 학년별 비교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Academic Engagement, Academic Burnout, Stress, and Social Support by Grade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안민정;강아연;김율아;김민지;김예림;김혜원;나예슬;황윤영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3-123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compare the academic engagement, academic burnout, stress, and social support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by grade. Methods: The study is a descriptive comparative survey. The participants were 247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3 universities located in G cit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x^2$ tests, and analysis of covariance, using SPSS/WIN 21.0 program. Results: Th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engagement, academic burnout, and stress according to their grade. The post-hoc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sophomores and juniors had lower academic engagement and higher academic burnout and stress than others (i.e., freshmen, or senio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among nursing students. Academic engagemen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burnout and stress. Also, academic burnou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tress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engagement and social support.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nursing students in second and third grade were at risk of academic burnout and under severe stress. Therefore, sophomores and juniors need more attention and care to help them relieve and control stress and burnout and to improve their academic engagement. Also, the finding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plans and/or interventions for nursing students' major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성인학습자의 삶의 의미와 학업만족과의 관계: 학업열의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of Life and Academic Satisfaction of Adult Learners: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 김은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257-265
    • /
    • 2021
  • 본 연구는 성인기의 온라인 학습자의 학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삶의 의미와 학업열의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사이버대학교에 재학중인 148명의 성인학습자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3.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상관분석결과 삶의 의미와 학업만족, 학업열의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학업만족과 학업열의 간에도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학업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를 확인해 본 결과, 독립변인인 삶의 의미와 매개변인인 학업열의와의 직접효과는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삶의 의미와 학업만족과의 관계에서 학업열의의 간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매개효과는 유의미 하였다. 중년기의 삶의 의미에 대한 통찰을 통해서 학업에 열의를 보이고 이는 학업만족으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성인학습자의 학업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동기화 프로그램을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중학생의 학업성취만족도와 학업열의 사이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Grit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Academic Engagement)

  • 권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225-230
    • /
    • 2021
  •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업성취만족도와 학업열의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 소재의 중학생 575명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만족도, 학업열의, 그릿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분석은 주요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릿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Baron&Kenny의 분석절차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Sobel test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상관분석 결과 학업성취만족도와 그릿 및 학업열의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 학업성취만족도와 학업열의사이에서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은 모두 부분매개하였다. 이는 학업성취만족도가 중학생의 학업열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릿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끝으로 중학생의 학업열의를 높이기 위해 학업과 관련된 흥미를 향상시키는 교육 및 상담방안과 다양한 학습동기향상프로그램 개발 등 학습상담의 방안을 논의하였다.

중국 고등학생의 그릿이 학습몰입을 경유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젠더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ender in the impact of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gri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learning engagement)

  • 항항붕;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2호
    • /
    • pp.223-231
    • /
    • 2024
  • 본 연구는 중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그릿이 학습몰입을 경유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젠더가 조절하는지를 확인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자료는 중국 광동 지역의 한 고등학교에서 유의표집한 고등학생 34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PC+ Win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적용된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및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이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은 학습몰입, 행복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젠더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학습몰입은 젠더 및 학업성취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그릿이 학습몰입을 경유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젠더가 조절 매개하였다. 즉, 그릿이 학습몰입을 경유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조건부 간접 효과는 여자보다 남자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 증진을 위하여 그릿과 학습 몰입의 활용을 젠더에 따라 다르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고등학생의 학업소진과 학업열의에 관한 연구: 직무요구-자원모형 검증을 중심으로 (Study on Academic Burnout and Engagement among Highschool Students: Applying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 조수현;이민영;이장희;이상민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4권3호
    • /
    • pp.1-26
    • /
    • 2018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요구와 학업자원이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직무요구-자원 모형(Job Demands-Resources Model)을 바탕으로 학업 장면에서 검증하고자 한다. 이에 서울, 인천, 경지 소재의 정규 교과과정 중에 있는 8개의 학교에서 고등학교 3학년 총 93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학업요구, 학업자원,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노력, 학업과몰입, 교사압력으로 구성된 학업요구는 학업소진과 학업열의 모두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보상, 또래지지, 교사 자율성지지, 부모 학업적지지로 구성된 학업자원은 학업소진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학업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학업장면에서 검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이에 대한 한계를 포함하여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 부모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영향력과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학업열의와 학업 무기력 (Parenting Attitudes Profiles as Perceived by Adolescents: The Influence of Parents'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and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Helplessness of the Adolescents Associated with the Profiles)

  • 기쁘다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9권2호
    • /
    • pp.215-231
    • /
    • 2021
  • The study set out to identify the number of types of parental attitude profiles and their characteristics, as perceived by adolescents. The study also examined whether predictor variables (parent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influence parenting attitude profiles and whether these profiles, in turn, influence adolescent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helplessness. The sample consisted of data on 2,590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from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s Panel Survey (KCYPS). The adolescents were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Using Mplus, the author applied latent profile analysis to identify the parenting attitude profiles and predictor and outcom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se profiles. Three profiles were identified based on major features: (1) coercion-inconsistency (8.3%), (2) general (47.3%), and (3) warmth-autonomy support (44.4%). Parent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predicted the classification of the profiles. Also, the parental profiles identified the level of adolescent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helplessness. Th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family policies and practices given the significance of parent psychological status, particularly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n their adolescent children's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helplessness.

중학생의 학업열의, 학업소진 관련 변인 연구 (A Study of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Burnou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권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123-127
    • /
    • 2020
  • 본 논문의 목적은 중학생 개인변인과 환경변인이 학생들의 학업열의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중학생의 학업문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청소년 학업관련 문제를 위한 다양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중학생 388명을 대상으로 중학생들의 학업열의와 학업소진에 있어 환경변인인 부모관계, 친구관계, 교사관계, 개인변인인 삶의 만족도, 행복감, 자아존중감, 자율성, 주의집중, 끈기, 우울의 영향력 정도를 확인하고자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학업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의집중, 교사관계, 끈기,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부모관계, 우울, 행복감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 교사관계, 친구관계, 부모관계, 끈기, 자아존중감, 주의집중 순으로 나타났다. 학업열의는 환경변인보다 개인변인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나타났고, 학업소진은 개인변인보다 환경변인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이러한 연구결과가 우리나라 중학생의 학업소진을 예방하고 학업열의를 일으키기 위한 방향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챗GPT 리터러시가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학업자신감과 지각된 학업역량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ChatGPT Literacy on Academic Engagement: Focusing on the Serial Mediation Effect of Academic Confidence and Perceived Academic Competence)

  • 이은성;전용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565-574
    • /
    • 2024
  • 챗GPT는 우리 사회의 모든 분야에 커다란 반향을 일으키고 있으며, 이는 교육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의 챗GPT에 관한 학계 및 사회적 논의는 주로 표절과 같은 부정행위에 초점이 맞춰져있으며, 학생들의 인공지능 기술 활용으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와 더불어, 코로나 시대의 교육 위기 속에서 학업열의를 증진시키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따라 우리는 학생들의 챗GPT 리터러시 수준에 따라 학업열의가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업 자신감 및 지각된 학업역량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했다. 이를 위해 40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SPSS로 분석했다. 그 결과, 챗GPT 리터러시는 학업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학업자신감은 챗GPT 리터러시와 학업열의 사이를 매개했다. 또한 학업자신감과 지각된 학업역량은 이중으로 매개되었을 때 유의한 결과를 도출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챗GPT 리터러시와 학업열의 사이의 이론적 매커니즘을 명확히 규명할 수 있다는 이론적 함의를 논하였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챗GPT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에 관한 실용적 함의에 대해도 기술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환경과 교수신뢰가 학업참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nd Professor Trust on Academic Engagement in Nursing Students)

  • 김은미;홍지연;이은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57-365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참여와 임상실습교육환경, 그리고 교수에 대한 신뢰간의 상관성을 연구하여, 향후 간호대학생의 학업참여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D시와 J도의 2개 대학교 간호대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고, 연구도구는 임상실습교육환경(CL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19문항, 교수신뢰(PTS, Professor Trust Scale) 27문항, 학업참여(UWES-S, Utrecht Work Engagement Scale-Students) 13문항으로 구성된 3가지 도구를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1.91세였으며 87.4%가 여학생이었다. 3학년이 50.5%, 4학년이 49.5%였으며 직전학기 성적은 중하 36.9%, 중상 35.1%, 상 16.2%, 하 11.5%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학업참여는 임상실습교육환경 및 교수신뢰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임상실습교육환경과 교수신뢰가 학업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임상실습교육환경과 교수신뢰는 학업참여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외에 직전 학기 성적도 학업참여에 영향으로 주어 이러한 변수들은 학업참여를 36.1%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학업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신뢰변수의 하부요인을 중심으로 교수역량강화 방안, 교수-학생 간 신뢰증진프로그램, 더불어 임상실습교육 지도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연구 등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