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Search Engine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1초

국내 업종별 결정형 유리규산 노출 평가 (Evaluation of Crystalline Silica Exposure Level by Industries in Korea)

  • 연동은;최상준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98-422
    • /
    • 2017
  • Objectives: The major aim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database of retrospective exposure assessment for crystalline silica through reviews of literatures in South Korea. Methods: Airborne concentrations of crystalline silica were collected using an academic information search engine,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RISS), operated by the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KERIS). The key words used for the literature search were 'silica', 'crystalline silica', 'cristobalite', 'quartz' and 'tridymite'. A total number of 18 published documents with the information of crystalline silica level in air or bulk samples were selected and used to estimate retrospective exposures to crystalline silica. Weighted arithmetic mean(WAM) calculated across studies was summarized by industry type. Industri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Korea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KSIC) using information provided in the literature. Results: A total of 2,131 individual air sampling data measured from 1987 to 2012 were compiled. Compiled individual measurement data consisted of 827 respirable crystalline silica (RCS), 31 total crystalline silica(TCS), 24 crystalline silica(CS), 778 respirable dust(RD) and 471 total dust(TD). Most of RCS measurements(68.9%) were collected from 'cast of metals(KSIC 243)'. Comparing industry types, 'mining coal and lignite(KISC 051)' showed the highest WAM concentration of RCS, $0.14mg/m^3$, followed by $0.11mg/m^3$ of 'manufacture of other non-metallic mineral products(KSIC 239)', $0.108mg/m^3$ of 'manufacture of ceramic ware(KSIC 232)', $0.098mg/m^3$ of 'heavy construction(KSIC 412)' and $0.062mg/m^3$ of 'cast of metals(KSIC 243)'. In terms of crystalline silica contents in airborne dust, 'manufacture of other non-metallic mineral products(KSIC 239)' showed the highest value of 7.3%(wt/wt), followed by 6.8% of 'manufacture of ceramic ware(KSIC 232)', 5.8% of 'mining of iron ores(KSIC 061)', 4.9% of 'cast of metals(KSIC 243)' and 4.5% of 'heavy construction(KSIC 412)'. WAM concentrations of RCS had no consistent trends over time from 1994 ($0.26mg/m^3$) to 2012 ($0.12mg/m^3$). Conclusion: The data set related RCS exposure level by industries can be used to determine not only the possibility of retrospective exposure to RCS, but also to evaluate the level of quantitative retrospective exposure to RCS.

국내 STEAM 교육 연구 논문의 현황 분석 (Analysis of Status about Theses and Articles Related to Domestic STEAM Education)

  • 김영흥;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40-159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2007년부터 2016년 6월까지의 국내 STEAM 교육 연구 논문을 수집 선정하여 국내 STEAM 교육 연구에 관해 문헌고찰을 실시함으로써 연구의 현황과 전반적인 경향성을 확인하고, 기술교육 분야에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 분석 대상은 2007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STEAM 및 STEM 교육 관련 선행 연구 논문이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학술정보원, 국회전자도서관의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석사 및 박사 학위 논문과 전문 학술지 논문을 수집한 뒤 선별 절차를 거쳐 최종 821편의 논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한 연구 대상 논문은 해당 논문의 제목, 요약, 본문 내용을 확인하여 이 연구에서 개발한 연구 분석틀에 따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에 사용된 통계방법은 빈도 분석과 교차 분석이며,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국내 STEAM 교육 연구는 2012년부터 2015년 사이에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2016년에는 점차 줄어드는 추세를 나타냈다. 둘째, 국내 STEAM 교육 연구는 프로그램/수업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셋째, 국내 STEAM 교육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순으로 많이 이루어졌다. 넷째, 국내 STEAM 교육 연구는 과학을 중심으로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국내 STEAM 교육의 효과 중 창의성 효과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육아전문 사이트의 육아정보 분석 (An Analysis of Internet based Child Care Portal sites)

  • 이자형;이정은;오진아;김혜영;김경원;박영애;김성희;김지현;정향진;천기정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6-72
    • /
    • 2002
  • Web sites on the internet are getting major resources to gain information related to child care. Though the numerous web sites deliver child care information, they have never been evaluated with criteria b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xistence and organization of child care portal sites and to analysis their contents, therefore to suggest guidelines for par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 1. to Oct. 30., 2001. by means of Lycos Korea and Daum search engine and finally 45 portal sites related to child care were selected eliminating the commercial and personal homepag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st of the sites(95.6%) were operated by corporations without registration(82.2%). Consultants were mostly professional (71.1%). 2. The contents were analyzed 4 categories including 19 themes. 3. Diet & Nutrition category include weaning food, breast feeding, bottle feeding and snack. The recipe and type of weaning food on months were topped(64.44%). 4. Infant Care category include bathing, sleeping, clothes, skin care and cord care. bathing method and heat of bathing water were topped(44.44%). 5. Growth & Development category was consisted of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dental growth, play & exercise and learning & guidance. Developmental stage and motor development were topped (62.22%). 6. Health maintenance & promotion category was consisted of emergency care, prevention of accidents, vaccination, common pediatric disease and parental role. Care of diarrhea, constipation and fever, and precautions for vaccination were topped(48.89%).

  • PDF

건축문화재 기록의 특성과 관리 방안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Records of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 강수나;김익한
    • 기록학연구
    • /
    • 제19호
    • /
    • pp.3-55
    • /
    • 2009
  • 건축문화재 기록은 건축문화재 관리 업무의 과정과 결과로 만들어지며, 문화재청 및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문화재수리업자와 같은 복수의 주체가 동일 문화재의 관리 업무를 각각 담당한다. 또한 업무의 특성상 설계도면 등의 특수한 성격의 기록과 다수의 사진, 동영상 기록 등을 포함하므로, 건축문화재에 대한 관리 업무의 절차와 그 기록의 특수성을 파악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생산되고 관리되어야만 건축문화재 기록의 가치를 상실하지 않게 된다. 본 연구는 건축문화재 관리 업무 현장의 현실에 맞는 기록관리의 방법을 제안하고, 건축문화재 기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차후에 활용하기 위해 지정문화재와 등록문화재를 대상으로 하여 건축문화재 관리업무 및 생성 기록의 특성을 파악함과 동시에 이러한 특성에 맞는 통합적이고도 과학적인 기록관리의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표이다. 연구결과 건축문화재 기록의 관리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은 기관별로 분산되어 있는 관리체계이다. 이에 기록 생산 기관인 문화재청, 지방자치단체, 문화재수리업자 각각이 기록을 분산 관리하되 통일된 시스템에 기록을 등록 관리하는 네트워킹 체계를 구축하는 방안과 전문 시설과 인력을 갖춘 전문적인 기록물 관리기관으로서의 건축문화재 전문 아카이브즈를 만들어 이를 통해 기록들을 통합 관리하는 방안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