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dominal symptoms

검색결과 885건 처리시간 0.026초

Serum Eosinophilic Cationic Protein as a Useful Noninvasive Marker of Eosinophilic Gastrointestinal Disease in Children

  • Hae Ryung Kim;Youie Kim;Jin Soo Moon;Jae Sung Ko;Hye Ran Yang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7권2호
    • /
    • pp.79-87
    • /
    • 2024
  • Purpose: Recently, the prevalence of eosinophilic gastrointestinal disease (EGID) has shown an increasing trend worldwide. As the diagnosis of EGID requires invasive endoscopy with biopsy, noninvasive markers for detecting EGID in suspected patients, particularly children, are urgently need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diagnostic accuracy of serum 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 beyond peripheral eosinophil counts in pediatric patients with EGID. Methods: Overall, 156 children diagnosed with EGID were enrolled and 150 children with functional abdominal pain disorder (FAPD) were recruited as controls. All participants underwent endoscopic biopsy in each segment of the gastrointestinal (GI) tract and serum ECP measurement, as well as peripheral eosinophil percent and absolute eosinophil count. Results: Comparing EGID (n=156) with FAPD (n=150) patients, serum ECP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ediatric patients with EGID than in those with FAPD (25.8±28.6 ㎍/L vs. 19.5±21.0 ㎍/L, p=0.007),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ipheral eosinophil percent and absolute eosinophil counts between the two groups. Serum ECP levels were correlated with peripheral eosinophil percent (r=0.593, p<0.001) and the absolute eosinophil count (r=0.660, p<0.001). The optimal cutoff value of serum ECP for pediatric EGID was 10.5 ㎍/mL, with a sensitivity of 69.9% and a specificity of 43.4% with an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of 0.562.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serum ECP levels and peripheral eosinophil counts, when employed with appropriated thresholds, could serve as a valuable noninvasive biomarker to distinguish between EGID and FAPD in pediatric patients manifesting GI symptoms.

소아의 장회전이상과 중장염전: 진단적 접근, 영상 소견 및 함정들 (Malrotation and Midgut Volvulus in Children: Diagnostic Approach, Imaging Findings, and Pitfalls)

  • 김정주;유소영;전태연;김지혜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1호
    • /
    • pp.124-137
    • /
    • 2024
  • 장회전이상과 이로 인한 중장염전은 생후 1개월 이내에 호발하는 외과적 응급 질환이다. 전형적인 증상은 급성 담즙성 구토이며, 유아기 이후에는 반복적인 복통과 같은 비특이적인 증상을 호소할 수 있다. 장간막 띠로 인한 십이지장 폐쇄나 고리췌장, 십이지장 전방 문맥과 같은 기형을 동반하기도 한다. 중장염전은 장의 괴사를 일으켜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빠른 진단이 중요하다. 상부 위장관 조영술, 초음파 및 CT로 진단할 수 있으며, 초음파는 소아에서 방사선 피폭 없이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어 선별검사로 대두되고 있다. 본 임상화보에서는 장회전이상과 중장염전의 핵심적인 영상 소견 및 진단적 접근법에 대해 알아보고, 실제 증례에서 경험한 진단적 오류와 주의할 점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Sex Differences in Coronary Artery Disease: Insights From the KoRean wOmen'S chest pain rEgistry (KoROSE)

  • Hack-Lyoung Kim;Myung-A Kim
    • Korean Circulation Journal
    • /
    • 제53권10호
    • /
    • pp.655-676
    • /
    • 2023
  • Interest in sex differences in coronary artery disease (CAD)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Concurrently, most of the data on these differences have primarily been Western-oriented. The KoRean wOmen'S chest pain rEgistry (KoROSE), started in 2011, has since published numerous research findings. This review aims to summarize the reported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CAD, integrating data from KoROSE. Cardiovascular risk in postmenopausal women escalates dramatically due to the decrease in estrogen levels, which normally offer cardiovascular protective effects. Lower estrogen levels can lead to abdominal obesity, insulin resistance, increased blood pressure, and endothelial dysfunction in older women. Upon analyzing patients with CAD, women are typically older and exhibit mor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than men. Diagnosing CAD in women tends to be delayed due to their symptoms being more atypical than men's. While in-hospital outcome was similar between sexes, bleeding complications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occur more frequently in women. The differences in long-term prognosis for CAD patients between men and women are still a subject of ongoing debate. Pregnancy and reproductive factors also play a significant role as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in women. A notable sex disparity exists, with women found to use fewer cardiovascular protective drugs and undergo fewer interventional or surgical procedures than men. Additionally, women participate less frequently than men in clinical research. Through concerted efforts to increase awareness of sex differences and mitigate sex disparity, personalized treatment can be provided. This approach can ultimately improve patient prognosis.

Undifferentiated carcinoma with osteoclast-like giant cells of the pancreas: An individual participant data meta-analysis

  • Adam Mylonakis;Tatiana S. Driva;Panagis Lykoudis;Maximos Frountzas;Nikolaos Machairas;Dimitrios Tsapralis;Konstantinos G. Toutouzas;Dimitrios Schizas
    •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5-133
    • /
    • 2024
  • Undifferentiated carcinoma with osteoclast-like giant cells (UC-OGCs) of the pancreas is a rare neoplasm that accounts for less than 1% of all pancreatic malignanc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 regarding UC-OGC, and to highlight its biological behavior,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prognosis, and therapeutic option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in PubMed/Medline and Scopus databases was performed (last search October 31st, 2023) for articles concerning pancreatic UC-OGC in the adult population. Fifty-seven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involving 69 patients with a male-to-female ratio of 1.1:1 and a mean age of 62.96. Main symptoms included abdominal pain (33.3%), jaundice (14.5%), weight loss (8.7%), while fourteen patients (20.3%) were asymptomatic. Surgical resection was performed in 88.4% of cases. Survival rates at one, three, and five years were 58%, 44.7%, and 37.3% respectively. Sex, age, size (cut-off of 4 cm), location, and adjuvant treatmen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atient survival. UC-OGC of the pancreas is a rare subtype of undifferentiated pancreatic carcinoma with a better prognosis than conventional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or undifferentiated carcinoma without giant cells. The establishment of a dedicated patient registry is imperative to further delineate the optimal treatment for this uncommon clinical entity.

Elective splenectomy in patients with non-Hodgkin lymphoma: Does the size of the spleen affect surgical outcomes?

  • Davide Di Mauro;Mariannita Gelsomino;Angelica Fasano;Shahjehan Wajed;Antonio Manzelli
    •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4-148
    • /
    • 2022
  • Backgrounds/Aims: Splenectomy in patients with non-Hodgkin lymphoma (NHL) is performed to relieve abdominal symptoms, treat hypersplenism or confirm diagnosis. Excision of a very large spleen is technically challenging and data on outcomes of surgery in patients with NHL are scanty. The aim of study was to evaluate the impact of spleen size on the surgical outcome of splenectomy in patients with NHL. Methods: Patients with NHL who underwent splenectomy, between 2006 and 2017, were includ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1, spleen ≤ 20 cm; group 2, spleen > 20 cm. Surgical approach, operative time, postoperative morbidity, mortality, hospital stay and re-admission rates were retrospectively compared between groups. Non-parametric data were evaluated with the Mann-Whitney U test. Differences in frequencies were analyzed with Fisher's exact test. Results: Sixteen patients were included (group 1, 6; group 2, 10). Laparoscopy was successful in three patients of group 1, none of group 2 (p = 0.035), the intraoperative tim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groups. One patient in each group develope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he patient in group 1 died of pneumonia. Median length of stay was 8 days (range, 3-16 days) for group 1, 5.5 days (range, 3-10 days) for group 2,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No patient was readmitted to hospital. Conclusions: Spleen size does not affect the outcome of splenectomy in patients with NHL. If a mini-invasive approach is to be chosen, laparoscopy may not be feasible when the spleen size is > 20 cm.

자궁외 임신 환자의 임상적 고찰

  • 신현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4-76
    • /
    • 1970
  • This report will present a clinical and statistical analysis of 210 case of Ectopic pregnancies who were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t Chung Nam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966 to March, 1970.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total number of Ectopic pregnancies was 8.22%. 2. The occurrence of Ectopic pregnancy was high in June(13.81%), low in October(2.98%). There was a higher occurrence of Ectopic pregnancy in the summer than in the winter. 3. The average age of all patients was 33.25 years. The most frequent age for this type of pregnancy was 31-35 years (32.86%) . The youngest patient was 18 years old and the oldest was 50. 4. Multipara occurred in 82.38% of the cases; Mulipara in 17. 62% and the occurrence of primipara was especially high, 20.95%. 5. 48.09% of the women had previously experienced normal deliveries; 42.8% had received artificial abortions and 5.23% had experienced spontaneous abortions. 3.8% had a previous history of Ectopic pregnancy. It was found that the occurrence of Ectopic pregnancy was more frequent in those women who had a D & C in the Past. 6. The average length of infertility was 21.7 months. The shortest length was 60 days; longest period of infertility was 19 years. 7. The occurrence of Ectopic pregnancy is higher (29.27%) in patient who have experienced only one previous D & C.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who received a D & C was 58.57%. 3. Ectopic symptoms appeared during the first 4.7 weeks (mean) and most frequently occurred between the 5th and 6th weeks (48.57%) of pregnancy. The Symptoms were: -99.04% complained of lower abdominal pains. -80.95% experienced abnormal uttering bleeding. -42.38% experienced bleeding before the occurrence of pain. -18.57% experienced pain before the occurrence of bleeding. -8.57% experienced both pain and bleeding. -7.62% experienced only bleeding. -22.86% experienced only pain. 9. In-77.62% of the cases the annexal mass palpated. 91.42% complained of abdominal tenderness. 42.38% complained of pain when the cervix was examined. 10. Culdocentesis was performed in 86.19% of the cases. In 92.82% of the cases the presence of an Ectopic pregnancy was accurately diagnosed 11. 71.90% of the Ectopic pregnancies occurred in the ampule portion of the ovarian tube, of the total number of gestations, 40.95% were tubal abortions and 59.05% were ruptured. The ruptured group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islamic portion and interstitial portion of the tube than the aborted group. The aborted group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fimbrial extremities of the tube. 12. The blood pressure (systolic) was noted at 119-80mmHg in 81.89% of the total cases. Hemoglobin value was noted at over 8gm/㎗ in 58.57% of the cases. The average blood transfusion was 2.3 pints. 13. In 52.86% of the Ectopic pregnancies the right side of the ovarian tube was affected. The left side of the tube was affected in 47.14% of the cases. 14. 3.33% of the patients were not given an accurate diagnosis. 15. The kinds of operation performed were as follows; Salpingectomy, 41.43%; Adnectomy, 38.57% and Adnectomy with total hysterectomy, 19.05%. 16. The patient mortality rate was significantly small; only 1 case out of 210 died. This patient most likely had a profuse hemorrhage because of a ruptured tube before her admission to the hospital. 17. The patients personal feelings and attitudes must be treated with care. Particularly patients who are concerned about vaginal bleeding or the impossibility of another pregnancy.

  • PDF

소아 급성 세균성 신엽염의 임상상 및 신장 예후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Renal Outcomes of Acute Focal Bacterial Nephritis in Children)

  • 이동기;권덕근;임윤주;신윤혜;윤석남;배기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8권2호
    • /
    • pp.229-238
    • /
    • 2004
  • 목적: 소아에서 드문 질병인 급성 세균성 신엽염의 질병 성격을 살피기 위하여, 9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발현 증상, 임상 경과, 치료 반응, 동반 요로 기형, 신장 손상 정도 등을 조사하였다. 방법: 1994년 9월부터 2004년 8월까지 복부 초음파 또는 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을 통하여 신엽염으로 확진된 9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진료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들의 연령분포는 1개월에서 6세까지 평균 $2.8{\pm}2.2$세였으며, 성별로는 남자 6명 여자 3명이었다. 발열 및 오한은 모든 환자에서 있었고, 그 외 복통, 배뇨곤란 및 빈뇨가 있었다. 내원 당시 시행한 검사실 검사상, 백혈구수 $21,000{\pm}5,600/uL$, ESR $60{\pm}23mm/hr$, CRP $17{\pm}10\;mg/dl$이었으며. 혈액 배양 검사는 모두 음성이었다. 소변 검사상, 농뇨 및 현미경적 혈뇨는 모든 환자에게 있었고, 치료후 농뇨가 소실되기까지 $10.5{\pm}7.8$일이 소요되었다. 복부 초음파 검사상, 신장에 국소적으로 경계가 불명확하면서 에코가 떨어져 있는 신엽염 소견이 5명(55.5%)에서 관찰되었다. 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는 불명확한 경계를 띠고 조영제에 증강이 잘 되지 않는 쐐기 모양의 신엽염의 소견이 모든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방광요관역류는 3명(33.3%)에서 있었으며, 모두 3단계 이상이었다. $^{99m}Tc-DMSA$ 스캔에서는 일측 또는 양측 신장의 피질 손상이 확인되었다. 4개월 후 추적한 스캔상, 6명중 2명(33%)은 이전에 비해 병변의 크기가 감소되었으나, 나머지 4명(67%)은 병변의 크기가 불변 또는 약간 악화된 소견이었다 환아의 총 발열기간은 $11.8{\pm}6.3$일로, 이중 입원전 기간은 $4.0{\pm}3.0$일, 입원후 기간은 $7.8{\pm}5.5$일이었다. 입원 기간은 7일에서 31일까지 평균 $17.2{\pm}8.1$일이었다. 결론: 요로감염 환아에서 치료 후에도 1주이상 발열, 농뇨, 높은 혈액 염증 수치가 지속될 경우 '급성 세균성 신엽염'을 적극 의심하여야 하며, 질환의 정확한 진단을 위하여 신장 초음파검사 보다는 컴퓨터 단층 촬영을 우선 실시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 PDF

Henoch-Schönlein 자반증 환아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f Childhood Henoch-Schönlein Purpura)

  • 하태선;구현회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1호
    • /
    • pp.1118-1123
    • /
    • 2003
  • 목 적 : 지난 30년간의 연구로 병인론에 관한 중요한 정보들이 축적되어왔다. 하지만 아직도 완전히 이해된 것은 아니며, 연령이나 성별, 임상증상의 발현율에 대한 다양한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자들이 경험한 125명의 HS 자반증 환아들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 이전의 다른 논문의 연구결과들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환아는 1992년 3월부터 2000년 4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방문하여 특징적인 자반과 복통이나 관절염 등의 임상증상을 통하여 HS 자반증으로 진단된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입원하거나 외래에 내원한 경우 모두 포함하였다. 결 과 : HS 자반증으로 진단된 환아는 남자 87명 여자 38명으로 구성되었고, 연령은 1세에서 14세에 걸쳐 분포하고 있었다. 계절에 따른 변화로 3월부터 5월까지 모두 56명(44.8%), 10월에서 12월까지 51명(32.8%)으로 나타났다. 자반은 모든 환아에서 관찰되었다. 복통은 88명(70.4%)에서 관찰되었으며, 위장관 출혈은 18명(14.4%)에서 관찰되었고, 관절염은 67명(53.6%)에서 관찰되었다. 모두 125명의 환아 중 신장 침범이 있는 환아는 48명으로 HS 자반증 환아 중 38.4%였다. 부고환염은 남아 87명 중 15명(17.2%)에서 발생하였다. 자반이 발생한 후 나타난 동반 증상 중 2명(1.6%)의 환아에서 경련이 발생하였으나 항경련제 치료없이 호전되었고, 두통이 11명(8.8%)의 환아에서 발생하였다. 결 론 : 결론적으로, HS 자반증은 전신적인 혈관염이기 때문에 자반 이외의 증상들이 선행할 수 있으며, 소아에서 설명할 수 없는 복통이나 관절염, 음낭 증상 등이 발생할 경우, 자반이 출현하기 전이라도 임상 각과에서 HS 자반증에 대해 의심해보고, 소아 신장 전문의와의 협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원위부 위암에서 위절제술 후 위재건술식에 따른 잔위기능 및 영양 증상학적 삶의 질 비교 (Comparison of the Results in Gastric Carcinoma Patients undergoing Billroth I and Billroth II Gastrectomiesy)

  • 김성근;김영균;허윤정;송교영;김진조;진형민;김욱;박조현;박승만;임근우;김승남;전해명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7권1호
    • /
    • pp.16-22
    • /
    • 2007
  • 목적: 하부 위암의 절제술 후 각각의 재건술에 따른 환자의 위배출시간과 영양상태, 덤핑 증후군의 발생정도를 비교하여 환자의 증상과 삶의 질을 개선하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6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원위부 위암으로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중 2003년 1월 한 달간 외래에서 술 후 6개월 이상 경과한 환자 1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위십이지장문합술을 받은 환자(이하 B-I군)는 51명, 위공장문합술을 받은 환자(이하 B-II군)는 71명이었다. 위배출검사는 동위원소 검사법을 이용하여 T1/2값을 얻어 비교하였고, 식사 횟수와 양, 체중감소 정도를 비교하였다. 수술 후 복부증상을 비교하였으며, 덤핑증후군은 Sigstad score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후 6개월의 T1/2값은 B-I군에서 지연되어 있었다($159.4{\pm}31.0min$). 12개월 후에는 B-I군의 위배출시간이 빨라져 B-I군과 B-II군 사이의 위배출 시간의 차이가 없어졌다. 식사 횟수는 각 군 간의 차이가 없었고 일회식사량은 수술 전과 비교해 보았을 때 6개월째는 각군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12개월에는 B-I군이 B-II군에 비해 식사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38). 수술 후 체중은 B-I군이 B-II군에 비해 체중감소가 의미있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P=0.023). Sigstad dumping score는 B-I군에서 6개월째에는 7.6점, 12개월째에는 3.4점으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덤핑 증후군의 빈도가 감소하나 B-II군에서는 시간의 경과해도 덤핑 증후군의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원위부 위암환자에서 근치적 수술이 가능한 한도에서는 Billroth I 술식이 체중감소가 적고, 복부 증상도 적게 나타났으며 덤핑증후군의 빈도도 낮아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B-II 술식보다 유용한 술식으로 생각된다.

  • PDF

96년도 상반기에 경상남도 중부지방에서 유행한 무균성 뇌막염에 대한 고찰 (Epidemics of Ascetic Meningitis in Kyoungsangnamdo from May to August, 1996)

  • 권오수;이경림;김원엽;정원조;마상혁;이규만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4권1호
    • /
    • pp.97-105
    • /
    • 1997
  • 목 적 : 무균성 뇌막염은 소아에서 많이 발병하는 질환으로 여름과 가을에 많이 호발하며 원인은 주로 장바이러스(enterovirus)로 알려져 있다. 감염된 환아들은 단기간에 증상이 좋 아지며 대부분 합병증 없이 회복된다. 이에 저자들은 1996년 5왈말부터 8월까지 마산지역을 중심으로 무균성 뇌막염이 유행하였던 바 뇌막염 환자 및 뇌막염 증상은 보이지 않으나 고열과 발진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에서 원인 바이러스를 규명하고 임상 증상과의 관계를 추구 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6년 5월부터 8월까지 마산파티마 병원에 무균성 뇌막염으로 진단된 환아 및 고열이 나면서 몸에 특징적인 발진이 생겨 바이러스 감염이라고 생각되었던 환아 155명중 57명에서 검체를 채취하여 (뇌척수액22례, 대변57례) 바이러스 배양과 장바이러스 (enterovirus) RNA의 검출을 시행하였다. 뇌척수액은 요추천자를 하여 무균 튜브에 채취하였고 대변은 면봉법으로 채취하여 무균 튜브에 넣어서 검사 전까지 $-30^{\circ}C$ 냉동고에 보관하여 검사실까지 운반시는 밀봉된 용기에 드라이아이스를 넣어 이송하였다. 채취된 뇌척수액과 대변에서 바이러스 분리를 시행하고 면역형광법을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동정하였다. 바이러스 배양에 사용한 세포주들은 human embryonal rhabdomyosarcoma(RD), African green monkey kidney(BS-C-1), human lung diploid(MRC-5), human cervix epidermoid carcinoma(HeLa)세포주였고 뇌척수액에서의 장바이러스 RNA는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결 과 : 1)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하여 입원하였던 환아는 155명이었으며 남녀의 비는 1.94:1로 남아가 많았고 연령분포는 생후 15일부터 15세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분포를 보였으나 주로 5세미만에서 발생하였으며(74.8%) 시기상으로는 1996년 5월부터 1996년 8월까지 환자가 발생 하였다. 2) 임상 증상은 전례에서 고열이 동반되었으며 그 외에 두통, 구토, 복통, 설사, 발진이 주된 임상 증상이었으며 발진은 4세 미만에서, 특히 18개월 이하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p<0.001). 3) 뇌척수액을 이용한 RT-PCR 결과는 22례 중 10례에서 양성의 결과가 나왔고 그중 3례에서 echovirus type 9이 분리되었다. 4) 대변검체가 의뢰된 환자 54례중 41례에서 바이러스가 분리되었으며 분리된 바이러스는 모두 echovirus type 9 이었다. 결 론 : 1996년도 상반기에 경상남도 중부 지방에서 유행한 무균성 뇌막염의 원인 바이러스와 같은 시기에 유행한 고열과 발진의 원인 바이러스는 동일한 바이러스로서 모두 echovirus type 9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