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검색결과 480건 처리시간 0.03초

건강한 소아에서 발생한 Prevotella intermedia에 의한 간농양 1예 (A Case of Pyogenic Liver Abscess Due to Prevotella intermedia in an Immunocompetent Child)

  • 김형석;은병욱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0권3호
    • /
    • pp.165-172
    • /
    • 2023
  • 건강한 소아에서 화농성 간농양은 선진국에서는 드문 질환이지만 진단과 치료가 늦어진다면 치명적일 수 있는 질환이다. 전세계적으로 화농성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Staphylococcus aureus이며 국내의 경우 Klebsiella pneumoniae가 가장 흔하지만, 혐기균에 의한 화농성 간농양도 매우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발열과 우상복부 통증을 주소로 응급실에 온 14세 남아가 우상복부 압통을 보이고 백혈구 상승, 빈혈, 간효소치 상승을 보여 조영증강 복부컴퓨터단층촬영을 시행한 결과 간농양을 진단하였다. 환자는 2주간의 경피적 도관 배액술과 4주간의 항생제 치료 후 완쾌되었다. 간농양 배양검사에서 혐기균이자 구강 상재균인 Prevotella intermedia가 확인되었으나 감염의 근원이 치아조직 감염이라는 증거를 찾지는 못하였다. 본 증례와 같이 건강한 소아에서도 화농성 간농양이 발생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고 진단적 접근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Incidental double duct sign: Should we be worried? Results from a long-term follow-up study

  • Lu Yao;Hoda Amar;Somaiah Aroori
    •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3-58
    • /
    • 2024
  • Backgrounds/Aims: Double duct sign (DDS) (dilated common bile and pancreatic duct) is synonymous with pancreatic head/peri-ampullary tumor (PHPAT). There is limited evidence on whether incidental DDS (I-DDS)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malignancy.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5-year outcomes of I-DDS. Methods: Patient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risk of malignancy. 'Low-risk' patients, including those with I-DDS between 2010 and 2015,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primary outcome was incidence of PHPAT within five years of identification of DDS. Histology results from endoscopic ultrasound-guided biopsy were considered diagnostic. Secondary outcomes were incidence of benign causes, extent of follow-up investigations, and clinical indicators of malignancy in patients with DDS. Results: Among 103 patients with DDS, 20 had I-DDS. Subsequent follow-up of these 20 patients found no patient with PHPAT, two (10%) patients with chronic pancreatitis, and 18 (90%) patients with no cause found.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for 'low-risk' patients was 7.3 years (range, 6-11 years). The mean number of follow-up investigations per patient was two (range, 0-9). Investigations included computed tomography (n = 27),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n = 23), endoscopy (n = 16), and ultrasound (n = 14). Patients with jaundice were more likely to have malignancy (p < 0.01). Those with abdominal pain were more likely to have a benign cause (p < 0.01). Hyperbilirubinemia and/or deranged liver enzymes and raised CA19-9 were more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PHPAT (p < 0.01). Conclusions: Patients with I-DDS have a low risk of developing PHPAT within five years.

MDCT에서의 Convolution Kernel 종류에 따른 공간 영역 필터링의 영상 평가 (Evaluation to Obtain the Image According to the Spatial Domain Filtering of Various Convolution Kernels in the Multi-Detector Row Computed Tomography)

  • 이후민;유병규;권대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1권1호
    • /
    • pp.71-81
    • /
    • 2008
  • CT 영상은 커널의 종류와 재구성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관심 영역의 CT감약계수 및 노이즈는 정밀도에 영향을 준다. 커널의 종류에 따른 노이즈, 공간분해능 및 MTF를 측정하여 영상을 평가하였다. 다중채널CT 스캐너를 이용하여 팬텀 및 복부를 스캔 하였고, 커널은 B10(very smooth), B20(smooth), B30(medium smooth), B40(medium), B50(medium sharp), B60(sharp), B70(very sharp), B80(ultra sharp)으로 재구성하여 물, 공기, 간의 실질 조직, 근육, 지방 부위를 ROI 기능을 이용하여 평균의 CT감약계수와 표준편차인 노이즈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영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CT 감약계수는 물($1.1{\sim}1.8\;HU$), 공기($-998{\sim}-1,000\;HU$)이고, 물에서의 노이즈($5.4{\sim}44.8\;HU$), 공기($3.6{\sim}31.4\;HU$)이다. 인체에서 간 실질 조직과 지방, 근육의 CT 감약계수와 노이즈를 커널에 따라 측정하였다. 지방의 CT 감약계수($-2.2{\sim}0.8\;HU$), 간의 실질 조직에서 CT감약계수($60.4{\sim}62.2\;HU$), 노이즈($7.6{\sim}63.8\;HU$), 근육의 CT감약계수($53.3{\sim}54.3\;HU$), 노이즈($10.4{\sim}70.7\;HU$) 사이에서 분포하였고, 커널이 높아질수록 노이즈도 증가하였다. 영상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검사부위에 따라 노이즈를 감소하기 위해 적절한 커널을 선택하여 CT 검사를 하여야 한다.

  • PDF

간 이식편의 체적 예측을 위한 2점 이용 간 분리 (Liver Splitting Using 2 Points for Liver Graft Volumetry)

  • 서정주;박종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9B권2호
    • /
    • pp.123-126
    • /
    • 2012
  • 본 논문은 생체간이식 전에 복부 MDCT(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영상에서 간 이식편의 체적을 간단하고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하여 좌간과 우간을 나누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알고리즘은 기증자와 수혜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시스템과 의료진의 상호작업을 최소화 하여 의료진이 수술 전 이식편의 판단을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간이 추출된 영상에 좌간과 우간을 나눌 수 있는 2점(중간 정맥(MHV: Middle Hepatic Vein) 내부의 한 점과 좌우문맥(PV: Portal Vein) 분지부에서 한 점)을 선택한다. 선택된 중간정맥 내부의 점을 이용하여 중간정맥을 자동 인식한 후 중간정맥을 기준으로 절개선을 결정하여 문맥 분지부의 한 점을 연결하는 절개면을 형성한다. 좌간과 우간의 체적과 간 전체에 대한 좌우간의 비율을 계산한다. 계산된 체적의 정확성을 입증하기 위해 진단 방사선과 의사가 수동으로 처리하여 계산한 체적과 함께 수술 중 획득한 실측무게와 비교하였다. 실측무게와 수동으로 예측된 체적 사이의 오차에 대한 평균${\pm}$표준편차는 $162.38cm^3{\pm}124.39$이고, 실측무게와 2점을 이용하여 예측된 체적과의 오차에 대한 평균${\pm}$표준편차는 $107.69cm^3{\pm}97.24$이다. 실측무게와 수동으로 예측된 체적의 상관관계는 0.79이고, 실측무게와 2점을 이용하여 예측된 체적의 상관관계는 0.87이다. 그리고 2점을 선택한 후 좌우간을 분할하여 체적을 계산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수술실에서 실시간으로 처리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한 데이터세트($149.17pages{\pm}55.92$) 당 처리 시간의 평균${\pm}$표준편차는 $57.28sec{\pm}32.81$이다.

MDCT의 관전압, 관전류, 슬라이스 두께 변화에 따른 팬텀의 선량 분포 측정 (Dose Measurements using Phantoms for Tube Voltage, Tube Current, Slice Thickness in MDCT)

  • 이창래;전성수;남소라;조효민;정지영;김희중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8권3호
    • /
    • pp.139-143
    • /
    • 2007
  • 본 연구는 MDCT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파라미터 변화에 따른 환자선량을 측정하고 평가 하고자 하였다. MDCT 파라미터의 다양한 변화에 의한 환자선량은 MDCT (GE light speed plus 4 slice, USA)와 model 2026C electrometer (RADICAL 2026C, USA), 그리고 head와 body의 CT선량 표준팬텀(standard polymethylmethacrylate)을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그 결과 환자선량 $CTDI_w$ 값은 관전압과 관전류가 증가할수록 선형적으로 증가하였고 beam collimation이 증가 할수록 감소하였다. 따라서 관전압, 관전류는 환자의 피폭선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슬라이스 두께는 영향이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임상의 전형적인 MDCT 복부 scan에서 120 kVp, 180 mAs, 20 mm collimation과 0.75 pitch의 조건하에 $CTDI_w$$CTDI_{vol}$의 측정값은 각각 20.2 mGy, 26.9 mGy이었고 스캔 길이가 271.3 mm인 환자의 DLP와 유효선량은 각각 $729.1\;mGy{\cdot}cm$, 10.9 mSv였다.

  • PDF

3마리의 개에서 발생한 단일 간외성 문맥전신 단락 증례 (Single Extrahepatic Portosystemic Shunt in 3 Dogs: CT Findings and Progress)

  • 이희천;지창무;문종현;조규완;김영기;강병택;정동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488-493
    • /
    • 2012
  • 두 마리의 말티즈견 (2살 중성화 암컷, 4개월 암컷)과 한 마리의 페키니즈견 (10살 수컷)이 구토, 식욕부진, 두위하강과 침흘림 등의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신체검사, 혈액검사, 방사선검사, 초음파, 컴퓨터단층촬영이 진단을 위해 실시되었다. 실험실 검사에서 높은 간수치, 담즙산 수치, 암모니아 농도가 세 마리 모두에서 확인되었다. 두 마리의 환축에서 방사선검사 상 소간증이 확인되었다.복부 초음파 검사에서 세 마리 모두 문맥전신 단락이 많이 의심되어 컴퓨터단층촬영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모두 단일 간외성 문맥전신 단락으로 확인되었다. 진단 후 세마리는 모두 수술적인 방법을 통해 단락 혈관에 아메로이드 링을 적용하였다. 본 증례보고는 세 마리의 개에서 발생한 단일 간외성 문맥전신 단락 증례에 대한 임상적, 영상학적인 특징들을 잘 나타내고 있으며, 컴퓨터단층촬영이 문맥전신단락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 유용한 진단기법임을 잘 나타내고 있다.

카르복시테라피 후 발생한 급성 신우신염 및 근육염 : 증례 보고 (Acute pyelonephritis and myositis after carboxytherapy : A case report)

  • 선경훈;허준호;황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417-421
    • /
    • 2018
  • 카르복시테라피(Carboxytherapy)는 메조테라피(mesotherapy)와 방법, 치료 조건 및 결과 면에서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중요한 차이점은 카르복시테라피는 이산화탄소 가스를 피부 바로 아래의 피하층으로 주입하는 반면 메조테라피는 비타민, 미네랄, 그리고 약물의 혼합물을 주입한다는 것이다. 메조테라피의 합병증으로 혈종, 파누스육아종, 봉와직염, 농양 등 이전에 많은 사례들이 보고되었으나, 카르복시테라피는 피하 및 얕은층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고, 이산화탄소는 주입 1주일 안에 흡수되기 때문에 부작용이 거의 보고 되지 않았다. 3일전과 2주전에 한의원에서 카르복시테라피를 받은 29세 여자 환자가 고열, 근육통, 심한 요통 및 엉덩이 부위부터 아래쪽 흉벽까지 피하 기종을 주소로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컴퓨터 단층 촬영을 시행하였으며, 즉시 영상의학과에 판단을 의뢰하였다. 바늘에 의한 손상으로 인한 급성 복막염을 배제할 수 없어 즉각적인 광범위항생제를 투여하였으며, 판독 결과 근육염과 바늘 손상으로 인한 신우신염이 확진되었다. 신우 신염의 경우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패혈증까지 진행할 수 있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 할 수 있다. 따라서 만일 바늘에 찔리거나 침을 맞은 후에 환자가 늑골척추부위나 허리에 통증이 있는 경우 응급의학과 의사는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신속한 초기 평가가 필요하다.

외상성 간 손상 환자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Management of Traumatic Liver Injury)

  • 한선욱;이화수;배상호;강길호;김성용;백무준;이문수;김형철;조무식;김창호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19권1호
    • /
    • pp.21-27
    • /
    • 2006
  • Purpose: The liver is one of the most commonly injured organs by blunt or penetrating abdominal trauma. Patients with liver injury can be treated by using nonoperative or operative managem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tudy patients with traumatic liver injury who were treated by using operative management. Methods: Ninety-eight patients with traumatic liver injury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rom January 1995 to December 2004 at Soonchunhyang University Cheonan hospital.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nd demographic, clinical, operative, and postoperative data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Among the patients with operative management, the peak incidence was in the third and the fourth decades. The male-to-female ratio was 1.9:1. The most frequent injury mechanism was blunt trauma (85.7%).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was the diagnostic modality used most frequently. Severe liver injury above Grade III was seen in 80.6% of all patients, and long bone fracture was the most common combined injury. Patients were managed by using various techniques, including simple closure, liver resection, and perihepatic packing. Pulmonary complications were the most commo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35.7%). the overall mortality rate was 17.3%. Between the survival group and the expired group, the amount of transfusion for the expired group was statistically more than that for the survival group. Conclusion: Operative management is an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for hemodynamically unstable patients with severe traumatic liver injury. The amount of transfusion is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for survival.

외상성 횡격막 손상의 치료 (Management of Traumatic Diaphragmatic Rupture)

  • 김선희;조정수;김영대;이호석;송승환;허업;김재훈;박성진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5권4호
    • /
    • pp.217-222
    • /
    • 2012
  • Purpose: Diaphragmatic rupture following trauma is often an associated and missed injury. This report is about our experience with treating traumatic diaphragmatic rupture (TDR). Methods: From January 2007 to September 2012, 18 patients who had a diaphragmatic rupture due to blunt trauma or penetrating injury underwent an operation for diaphragmatic rupture at our hospital.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ir medical records, including demographic factors, initial vital signs, associated injuries, interval between trauma and diagnosis, injured side of the diaphragm, diagnostic tools, surgical method or approaches, operative time, herniated organs, complications, and mortality.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43 years, and 16 patients were male. Causes of trauma included motor vehicle crashes (n=7), falls (n=7), and stab wounds (n=5). The TDR was right-sided in 6 patients and left-sided in 12. The diagnosis was made by using a chest X-ray (n=3), and thorax or upper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n=15). Ten(10) patients were diagnosed within 12 hours. A thoracotomy was performed in 8 patients, a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in 4 patients, a laparotomy in 3 patients, and a sternotomy in one patient. Herniated organs were the omentum (n=11), stomach (n=8), spleen and colon (n=6), and liver (n=6). Eighteen diaphragmatic injuries were repaired primarily. Seven patients underwent ventilator care, and two of them had pneumonia and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There were no operative mortalities. Conclusion: Early diagnosis and surgical treatment determine the successful management of TDR with or without the herniation of abdominal organs. The surgical approach to TDR is chosen based on accompanying organ injuries and the injured side.

Nutcracker Syndrome를 위해 왼콩팥정맥에 삽입한 스텐트의 우심실 이동 - 1예 보고 - (Intracardiac Migration of a Renal Stent from the Left Renal Vein to the Right Ventricle during the Treatment of Nutcracker Syndrome - A case report -)

  • 김재범;최세영;박남희;금동윤;박훈;황은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1호
    • /
    • pp.100-103
    • /
    • 2010
  • 저자들은 nutcracker syndrome을 치료하기 위해 삽입한 스텐트가 심장내 우심실로 이동하는 드문 합병증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29세 여자환자가 측복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복부 컴퓨터단층촬영에서 좌콩팥정맥이 복부대동맥과 상장간막동맥 사이에서 눌리는 것(nutcracker syndrome)이 발견되었다. Nutcracker syndrome을 치료하기 위해 자가확장 스텐트를 좌콩팥정맥에 삽입하는데 다음날 스텐트가 심장 내 우심실로 이동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경피적 스텐트 제거를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여 심장수술로 제거하였다. 수술 후 6개월째 아무런 복부나 심장 증상없이 외래 추적관찰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