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P breakdown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1초

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 근육중 IMP의 분포확인 및 저장중 ATP분해생성물의 변화 (Indentification of IMP in the Muscle of the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and Changes of ATP Breakdown Products during Storage)

  • 박춘규;김우준;강훈이;강태중;신석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0-148
    • /
    • 1994
  • 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의 사후에 근육의 ATP 분해경로를 검토하기 위하여 1989년 4월 우리나라 남해안의 충무 근해에서 양식중인 시료를 채취하여 근육의 엑스분을 조제하고 핵산관련 물질을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와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IMP를 동정하였으며, 또한 우렁쉥이 근육을 $0^{\circ}C$$20^{\circ}C$에 저장하면서 ATP 분해 생성물의 경시변화를 살펴보았다. 근육의 엑스분 중에서 IMP가 분포 확인되었다. 그리고 저장중의 일부 시료에서 Ado가 확인되었고, 모든 시료에서 IMP가 검출되어 Ado와 IMP분해 경로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ATP 관련물질은 사후 저장 초기단계에서 AMP는 급격히 감소하고, Ino는 빠른 속도로 증가되었지만 Ado와 IMP는 미량으로써 큰 증감현상을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변화는 우렁쉥이 근육중에 AMP deaminase 활성은 있으나 미약하여 여러 해산 무척추동물에서처럼 Ado 분해경로를 가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우렁쉥이 근육의 ATP는 해산 무척추동물 중의 새우${\cdot}$게류, 갯가재 등의 갑각류 근육에서처럼 Ado경유와 IMP경유의 양쪽 분해경로를 같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mproving Breakdown Voltage Characteristics of GDAs using Trigger Voltage

  • Lee, Sei-Hyu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권4호
    • /
    • pp.646-652
    • /
    • 2010
  • This paper investigates a method to improve the breakdown voltage characteristics of a gas discharge arrester (GDA) for a surge suppressor. The middle electrode is inserted between two terminal electrodes. Voltage application to the electrode synchronized and amplified by the impulse voltage decreases spark overvoltage from 45% to 57.6%. The decrease is caused by higher voltage slope, as opposed to applied impulse voltage (by 5.5 to 6.2 times). In addition, the GDA model using ATP-Draw was used to analyze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GDAs. The test and simulation results agree to within 2% when the trigger source was used.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육의 사후 조기 변화 -1. 사후 조기 변화와 온도 의존성의 관계- (Early Changes after Death of Plaice, Paralichthys olivaceus Muscle -1.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anges after Death and Temperature Dependency-)

  • 김육용;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89-196
    • /
    • 1992
  • 고급 횟감으로 많이 소비되고 있는 넙치의 사후 조기 변화의 온도 의존성을 검토하여 횟감의 신선도 연장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찾아서 산업에 이용하고자, 각종 저장 온도에 넙치를 저장하면서 사후 경직도, 근육중의 ATP 관련 물질의 분해 및 유산의 축적 정도 그리고 K값 등의 온도 의존성 및 이들의 상관 관계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후 경직의 개시 시간은 $0^{\circ}C$$-3^{\circ}C$ 저장보다 $-5^{\circ}C$$10^{\circ}C$ 에서 연장되었고, 저장 온도가 낮을수록 경직도가 높았으며 완전 경직의 유지 시간도 길었다. 2. ATP 분해 속도는 $-3^{\circ}C$ 에서 가장 빨랐으며 다음으로 $0^{\circ}C$ 였고, $5^{\circ}C$$10^{\circ}C$에서는 ATP 분해 속도가 상당히 억제되어 약 35시간을 전후하여 전부 분해되었다. 3. 유산 축적량의 온도 의존성은 ATP 분해 속도의 온도 의존성과 약간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즉, $-3^{\circ}C$ 저장에서 가장 높은 반면, $5^{\circ}C$ 저장에서v 가장 낮았다. 4. 경직의 진행과 ATP의 분해, 경직의 진행과 유산의 축적 그리고 ATP의 분해와 유산의 축적사이의 상관 계수(r)는 각각 -0.981946, 0.965044 및 -0.964728이었다. 5. 신선도 지표인 K값이 $20\%$에 달하는 시간은 저장 온도별로 $10^{\circ}C$ 22시간, $5^{\circ}C$ 71시간, $^{\circ}C$ 96시간 그리고 $-3^{\circ}C$ 240시간으로, ATP 분해 속도의 온도 의존성과 반대의 결과였다 6. 경직의 진행 속도, ATP 분해 속도, 유산의 축적 그리고 K값의 온도 의존성을 Arrhenius식을 이용하여 구한 결과, 반응 속도는 $-3^{\circ}C$에서 현저히 촉진되었으며, 다음으로$0^{\circ}C$ 그리고 $5^{\circ}C$$10^{\circ}C$에서 지연되었으나 K값의 반응 속도는 이와 반대였다. 7. Arrhenius식에서 구한 $Q_{10}$값, 활성화 에너지(Ea) 및 반응 속도 상수를 비교해 볼 때, 경직의 진행 속도, ATP 분해 속도 및 유산 축적의 온도 의존성은 K값의 온도 의존성과 상반되었다.

  • PDF

전기자극이 넙치육의 사후조기의 물리화학적 및 물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Physicochem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Plaice, Paralichthys olivaceus Muscle at Early Period after Death)

  • 이남걸;양무희;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3-30
    • /
    • 1995
  • 횟감용 활어의 육질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전기자극 처리가 사후 조기의 횟감용 어육의 물리화학적 및 물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기자극시킨 경우에 사후경직의 진행이 촉진되었으나, 전기자극 시간에 따른 사후경직 진행속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한편, 전기자극 시간이 길어질수록 최고 경직 이후의 저하속도가 빨랐다. 치사직후의 어육 중의 ATP함량은 즉살에서 가장 높았으며, 전기자극 시간이 길어질 수록 ATP분해는 촉진되었다. ATP가 완전히 분해되는 시간은 전기자극 15초에서 16시간, 전기자극 35초에서 11시간, 전기자극 60초에서 5시간, 그리고 즉살에서 32시간이었다. 또, 분해속도 상수는 각각 $0.244hr^{-1},\;0.358hr^{-1},\;0.479hr^{-1},\;0.195hr^{-1}$이었다 어육 중의 유산량도 전기자극시키므로서 그 값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전기자극시간이 길어질수록 유산 축적량이 최대로 되는 시간이 짧았다. 유산 축적의 반응속도 상수는 15초 전기자극에서 $1.171hr^{-1}$, 35초 전기자극에서 $1.392hr^{-1}$, 60초 전기자극에서는 $1.635hr^{-1}$, 그리고 즉살에서는 $0.534hr^{-1}$이었다. 즉살시킨 경우의 치사직후의 파괴강도는 $1050.30\pm50.23g$이었으며, 파괴강도가 최고 값에 도달하는 시간과 그 값은 각각 15초 전기자극에서 2시간과 $1264.43\pm35.76g$, 35초 전기자극에서 0시간과 $1357.68\pm22.50g$이었다. 한편, 60초 전기자극에서는 치사직후에 $1012.18\pm57.36g$으로 즉살보다 그 값이 낮았다. 그리고, 전기자극시간이 길수록 최고 값에 도달한 후의 파괴강도의 저하속도가 빨랐다.

  • PDF

마취사 및 무방혈이 넙치육의 사후조기의 물리${\cdot}$화학적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esthesia Killing and non-Bleeding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laice, Paralichthys olivaceus Muscle at early Period after Death.)

  • 조영제;조민성;김상무;최영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89-594
    • /
    • 1997
  • 횟감으로 많이 생식되고 있는 넙치육의 사후조기의 물리화학적 변화를 억제시켜서 신선도의 유지기간을 연장시킬 목적으로, 마취사 및 무방혈이 사후조기의 넙치육의 물리화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후 넙치육의 경직개시 시간 및 완전경직 도달시간은 마취사${\cdot}$무방혈이 즉살${\cdot}$방혈보다 늦었으며, 최고 경직도도 마취사${\cdot}$무방혈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2. ATP 분해도 마취사${\cdot}$무방혈이 즉살${\cdot}$방혈 보다 억제되었다. 즉, 즉살${\cdot}$방혈에서는 저장기간 동안에 꾸준히 감소하여 35시간 후에 완전히 분해되었지만, 마취사${\cdot}$무방혈에서는 저장 22.5시간까지 분해가 억제되다가, 그 후로 급속히 분해되었다. 3. 육의 파괴강도는 즉살${\cdot}$방혈에서 저장 10시간 후에 최대값을 나타내고 그후로 급속히 저하하였으며, 마취사${\cdot}$무방혈에서는 저장 13시간 후에 최고값에 도달한 후에 20시간까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그후로 급속히 저하하였다. 4. 유산의 축적은 즉살${\cdot}$방혈에서는 저장기간을 통하여 꾸준히 증가하여 저장 20시간 후에는 최고값에 도달하였으며, 마취사${\cdot}$무방혈에서는 저장 15시간까지 유산의 생성이 억제되다가, 그후로 급격히 증가하여 저장 25시간 후에 최고값에 도달하였다.

  • PDF

냉각전에 생사의 차이가 넙치육의 사후조기의 물리$\cdot$화학적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fe or Death Condition before Cooling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laice, Paralichthys olivaceus Muscle at the Early Period after Death)

  • 조영제;이호수;유승균;김태진;이남걸;최영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23-528
    • /
    • 1998
  • 즉살 활어 수송방법을 확립시키기 위한 연구의 일부로, 냉각시키기 전에 활 넙치의 생사의 차이가 냉각저장 ($0^{\circ}C$)중에 넙치육의 사후조기의 물리$\cdot$화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냉각시키기 전에 살아있는 것이 마취사 시킨 것보다 경직개시시간 및 완전경직에 도달하는 시간이 빨랐다. 2. ATP 분해도 냉각시키기 전에 살아있는 것이 마취시킨 것보다 빨랐다. 즉, 냉각시키기 전에 살아있는 것은 냉각저장 17.5시간 후에 완전히 분해되었지만, 마취사 시킨 것은 20시간까지 서서히 감소하다가 그 후에 급속히 분해되어 30시간 후에 완전히 분해되었다. 3. 육의 파괴강도는 냉각시키기 전에 살아있는 것이 냉각저장 7.5시간후에 대조구보다 약 $26\%$증가하여 최대값을 나타내었으며, 마취사 시킨 것은 저장 20시간 후에 약 $22\%$만큼 증가하여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4. 유산의 증가는 냉각시키기 전에 마취사 시킨 것은 저장 10시간까지 유산생성이 억제되었으며, 그 이후로 증가하여 저장 25시간 후에 최대값에 도달하였다 한편, 살아있는 것은 유산의 증가가 빨라 저장 15시간 후에 최대 값에 도달하였다.

  • PDF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육의 사후 조기 변화 -3. 치사 방법이 ATP 관련 물질과 유산 함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arly Changes after Death of Plaice, Paralichthys olivaceus Muscle -3. Effect of Killing Methods on Changes in Content of ATP and Its Related Compounds and Lactate-)

  • 김재현;이남걸;김육용;이근우;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03-408
    • /
    • 1993
  • 횟감으로 많이 소비되고 있는 넙치를 시료로 치사 방법(즉살, 고민사, 마취사 및 전기 자극사)을 달리하여 치사시킨 후에 $5^{\circ}C$에 저장하면서 사후 조기의 생화학적 변화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사 직후의 어육중의 ATP 함량은 고민사에서 가장 낮았고 마취사에서 가장 높았으며, 치사후 저장중의 ATP 분해 속도는 전기 자극사, 고민사,즉살, 그리고 마취사의 순서였으며 각각 11시간, 15시간, 32시간, 그리고 40시간후에 ATP가 완전히 분해되었다 또, 분해 속도 상수는 각각 $0.429h^{-1},\;0.224h^{-1},\;0.195h^{-1}$, 그리고 $0.167h^{-1}$였다. 2. IMP의 최대 축적 시간과 함량은 전기 자극사 11시간과 $6.99{\mu}mole/g$, 고민사 20시간과 $6.12{\mu}mole/g$, 즉살 31.5시간과 $6.30{\mu}mole/g$, 그리고 마취사에서 40시간과 $6.40{\mu}mole/g$으로, 전기 자극사에서 IMP 생성이 가장 빨랐으며 그 함량도 높았다. 또, 반응 속도 상수는 각각 $0.591h^{-1},\;0.248h^{-1},\;0.165h^{-1}$, 그리고 $0.161h^{-1}$였다. 3. 어육중의 유산량의 변화는 치사 직후에 즉살에서 가장 낮았으며 저장중의 최대 축적량도 가장 낮은 $38.84{\mu}mole/g$이었지만, 전기 자극사와 고민사에서는 치사 직후에 어육중의 유산 축적량이 높았으며, 저장중의 최대 축적량도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 반응 속도 상수는 전기 자극사 $2.256h^{-1}$, 고민사 $1.123h^{-1}$, 즉살 $0.534h^{-1}$, 그리고 마취사 $0.526h^{-1}$였다.

  • PDF

대멸치의 건조 및 저장 중 ATP 관련화합물의 변화 (Changes of ATP Related Compounds of Large Anchovy During Drying and Storage)

  • 조영제;김태진;심길보;이호수;이남걸;최영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79-183
    • /
    • 2000
  • 원료 멸치의 ATP 관련화합물의 총량은 $36.0 {\mu}mole/g$이었으며 이 중 IMP와 hypoxanthin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20^{\circ}C$에서 냉풍 건조한 대멸치의 IMP함량은 건조 7.5시간째 $11.7 {\mu}mole/g$로 가장 높은 잔존량을 나타내었으며 건조온도에 따른 IMP의 감소는 $60{\circ}C$ 송풍건조, $40{\circ}C$ 송풍건조, 천일건조, $20{\circ}C$ 냉풍건조의 순으로 빠르게 진행되었다. 건조 대멸치를 저장하였을 때 ATP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건조 대멸치에 저장 중 ATP 관련화합물의 변화는 주로 IMP, HxR Hx의 함량 변화에 의하여 일어났고 ADP와 AMP는 미량 검출되었다. 포장방법에 따른 ATP 관련화합물의 변화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저장온도를 달리하였을 때 ATP 관련화합물의 변화가 현저하게 일어났다. 즉, $-25{\circ}C$에 저장하였을 때는 저장 60일째에도 IMP의 함량은 $8.88 {\mu}mole/g$ 이상이었으나, $5{\circ}C$에서는 저장 16일째 $0.83 {\mu}mole/g$로 현저하게 감소되었고 $25{\circ}C$에서는 $0.202 {\mu}mole/g$로 IMP의 잔존량이 차이를 나타내었다. 어육은 IMP에서 HxR이나 Hx로 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맛이 감소하기 때문에 IMP의 분해를 막아 IMP의 함량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동결저장 방법이 건조 대멸치의 품질유지에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 PDF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on the Post-Mortem Changes of Wild and Cultured Olive Flounder Muscle

  • Cho Young Je;Kim Tae Jin;Yoon Ho D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권2호
    • /
    • pp.161-166
    • /
    • 1999
  • The rigor-mortis progress of cultured olive flounder spiked at the brain started much faster than that of wild one. They attained full rigor state after 30 hrs at $0^{\circ}C$, 36 hrs at $5^{\circ}C$ and 50 hrs at $10^{\circ}C$ in the cultured flounder, while after 36 hrs at $0^{\circ}C$, 50 hrs at $5^{\circ}C$, and 60 hrs at $10^{\circ}C$ in the wild. ATP concentration in the muscle was around $5.9\mu mol/g$ for wild and $6.2\mu mol/g$ for cultured flounder. ATP breakdown progressed rapidly in $0^{\circ}C$ samples, followed by $5^{\circ}C$ and $10^{\circ}C$ samples. $Mg^{2+}$-ATPase activity of myofibrillar protein in the presence of 0.25mM CaCb was higher in cultured myofibri1lar protein than in wild one. $Mg^{2+}$-ATPase activities of myofibrillar protein increased during storage in samples stored at $0^{\circ}C$ and $5^{\circ}C$ while decreased in samples stored at $10^{\circ}C$. The level of breaking strength of muscle immediately after death was higher in the wild muscle than in the cultured muscle. The breaking strength reached maximum level at 10 hrs after death in both samples.

  • PDF

전기자극방법 및 저장온도가 한우 M. Semitendinosus muscle의 핵산관련물질 생성 및 분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and Storage Temperature on ATP-related Compounds of Korean Native Cattle M. Semitendinosus Muscles.)

  • 신현길;이용우;오은경;최도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3-347
    • /
    • 1994
  • 한우 7두를 일반적인 방법으로 도축하여 45분 이내에 400V/60Hz와 110V/60Hz에서 각각 1분간 고전압 및 저전압 전기자극후 각각의 전기자극 처리구와 대조구에서 M. Semitendinosus을 취하여 $5^{\circ}C$$15^{\circ}C$에서 3일간 저장하며 핵산 관련물질 함량을 조사하였다. 전기자극 처리 직후 근육내의 해당작용이 가속화되어 Adenosine triphosphate Adenosine diphosphate 및 Inosine monophosphate 함량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저전압 처리구는 고전압 처리구에 비하여 아데노신화합물의 분해와 이노신 화합물의 생성이 지연되었다. 전기자극후 저장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기자극이 육질에 미치는 영향은 감소되고 저장온도의 영향이 증가되었으며 48시간 후에는 저장온도가 ATP 분해산물인 이노신산 화합물의 함량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전기자극에 의한 것보다 커지고 Hypoxanthine 함량은 저장온도의 차이에 의해서만 유의차가 나타났다. 도살 후 72시간까지 고전압 전기자극 처리구와 $15^{\circ}C$로 저장한 저전압 전기자극 처리구의 이노신산 화합물 합량이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나(p<0.05), 전기자극이 우육의 풍미성분의 생성을 촉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