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EX

검색결과 1,144건 처리시간 0.024초

근광장 측정에서 방사선 사진술의 정확도 (The Accuracy of the Radiographic Method in Root Canal Length Measurement)

  • 조은영;박창서
    • 치과방사선
    • /
    • 제28권2호
    • /
    • pp.471-489
    • /
    • 1998
  • For the successful endodontic treatment, root canal should be cleaned thoroughly by accurate mechanical and chemical canal preparation and sealed completely with canal filling material without damaging the periapical tissues. The accuracy of the root canal length measurement is a prerequisite for the success of the endodontic treatment, and the root canal length is often determined by the standard periapical radiographs and digital tactile sense. In this study, the accuracy and the clinical usefulness of Digora/sup (R)/, an intraoral digital imaging processor and the conventional standard radiographs were compared by measuring the length from the top of the file to the root apex. 30 single rooted premolars were invested in a uniformly sized blocks and No.25 K-file was inserted into and fixed in each canal. Each block was placed in equal distance and position to satisfy the principle of the bisecting angle and paralleling techniques and Digora/sup (R)/ system's image and standard periapical radiographs were taken. Each radiograph was examined by 3 different observers by measuring the length from top of the file to the root apex and each data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bisecting angle technique,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the Digora/sup (R)/ system and standard periapical radiograph was 0.002 mm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0.341 mm which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ystems(p>0.05). Also, in the paralleling technique,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system was 0.007 mm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0.323 mm which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ystems(p>0.05). 2. In Digora/sup (R)/ system,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the bisecting angle and paralleling technique was -0.336 mm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0.472 mm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echniques(p<0.05). Also, in the standard periapical radiographs,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the bisecting angle and paralleling technique was 0.328 mm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0.517 mm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techniques(p<0.05). 3. In Digora/sup (R)/ system and the standard periapical radiograph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ment using the bisecting angle technique and the actual length(p<0.0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ment using the paralleling technique and the actuallength(p>0.05). In conclusion. the determination of the root canal length by using the Digora/sup (R)/ system can give us as good an image as the standard periapical radiograph and using the paralleling technique instead of the bisecting angle technique can give a measurement closer to the actual canal length. thereby contributing to a successful result. Also. considering the advantages of the digital imaging processor such as decreasing the amount of exposure to the patient. immediate use of the image. magnification of image size. control of the contrast and brightness and the ability of storing the image can give us good reason to replace the standard periapical radiographs.

  • PDF

연결고정, 인접면 접촉강도 및 치관길이에 따른 엔도포어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국소의치의 광탄성 응력 분석 (A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OF FIXED PARTIAL DENTURES WITH ENDOPOREIMPLANTS ACCORDING TO SPLINTING, CONTACT TIGHTNESS, AND CROWN LENGTH)

  • 정회열;최민호;김유리;조혜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25-442
    • /
    • 2004
  • Statement of problem: A difficulty in achieving a passive-fitting prosthesis can be overcome by individual crown restoation of multiple implants. But individualized crown has another difficulty in control of contact tightness and stress distribution. Purpose: This in vitro study is to evaluate the stress distribution and the magnitude in the supporting tissues around Endopore implants with different crown lengths, interproximal contact tightness, and the splinting effects. Material & methods: Three Endopore implants($4.1{\times}9mm$) were placed in the mandibular posterior edentulous area distal to the canine and photoelastic model was made with PL-2 resin(Measurements Group, Raleigh, USA). Restorations were fabricated in two crown lengths: 9, 13 mm. For non-splinted restorations, individual crowns were fabricated on three custom-milled titanium abutments. After the units were cemented, 4 levels of interproximal contact tightness were evaluated: open, ideal($8{\mu}m$ shim stock drags without tearing), medium($40{\mu}m$), and heavy($80{\mu}m$). For splinted restorations, 3-unit fixed partial dentures were fabricated. This study was examined under simulated non-loaded and loaded conditions(6.8 kg).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was carried out to measure the fringe order around the implant supporting structure. Results: 1. When restorations were not splinted, the more interproximal contact tightness was increased among the three implants, the more stress was shown in the cervical region of each implant. When crown length was increased, stresses tended to increase in the apex of implants but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stress fringes. 2. When nonsplinted restorations were loaded on the first or third implant, stresses were increased in the apex and cervical region of loaded implant. Regardless of interproximal contact tightness level, stresses were not distributed among the three implants. But with tighter interproximal contact, stresses were increased in the cervical region of loaded first or third implant. 3. When the nonsplinted restorations were not loaded, there were little stresses on the supporting structure of implants, but low level stresses were shown in the splinted restorations even after sectioning and soldering. 4. With splinted restorations,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stresses between different crown lengths. When splinted restorations were loaded, stresses were increased slightly on the loaded implant, but relatively even stress distribution occurred among the three implants. Conclusions: Splinting the crowns of adjacent implants is recommended for Endopore implants under the overloading situation.

디지털 스캔을 이용하여 제작된 임플란트 수술가이드의 정확도 (Accuracy assessment of implant placement using a stereolithographic surgical guide made with digital scan)

  • 정승미;방정환;황찬현;강세하;최병호;방일흠;전형태;안성훈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11-119
    • /
    • 2015
  • 목적: 인상재와 석고모형을 사용하지 않고 디지털 영상 만을 사용하여 제작된 수술가이드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수술의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상하악 부분 무치악 모델 6개 세트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모델을 환자 구강구조로 간주하고 부분 무치악 모델을 Trios 구강스캐너로 디지털 인상을 채득하였다. 수술가이드의 정확도 평가를 위해 제작된 Reference plate를 모델의 교합면에 고정한 상태로 CBCT를 촬영하였다. CBCT에서 얻은 영상과 디지털 인상에서 얻은 영상을 정합하고 정합한 영상에서 임플란트 식립위치를 진단하고 수술가이드를 디자인하였다. 제작된 수술가이드를 이용하여 부분 무치악 모델에서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시술 후, 시술 전과 동일한 방법으로 CBCT를 촬영하여 시술 전 컴퓨터 소프트웨어에서 측정한 수치와 시술 후 CBCT촬영하여 소프트웨어상에서 측정한 시술 후 수치 사이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거리오차가 임플란트 상단 X축에서 0.27 mm, Y축에서 0.29 mm 였으며, 임플란트 하단(Apex)부위에서는 X축에서 0.11 mm, Y축에서 0.14 mm 평균각도오차가 X축에서 $0.26^{\circ}$, Y축에서 $0.26^{\circ}$ 였다. 평균수직오차는 +0.44 mm로 시술 전 계획한 높이보다 평균 0.44 mm 더 위로 임플란트가 식립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인상재와 석고모형을 사용하지 않고 디지털 영상 만을 사용하여 제작된 수술가이드를 사용하여 임플란트를 시술할 경우 계획한 임플란트 식립 위치와 방향으로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압입자 첨단마모에 따른 나노압입곡선의 변화 및 이의 보정기법 (Variation of Nanoindentation Curve due to Wear of Indenter Apex and Its Correction Method)

  • 이윤희;김용일;박종서;김광호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9-137
    • /
    • 2013
  • 나노압입시험기의 힘교정과 압입자에 대한 3차원 형상 관찰 및 분석이 본 연구에서 진행되었다. 표준분동으로 교정한 마이크로밸런스로 나노압입시험기에서 발생시킨 하중을 측정하여 측정치와 발생치의 비로 압입하중을 교정하였고, 나노압입시험의 시작점인 초기 접촉 하중도 확인할 수 있었다. 삼각뿔 압입자를 원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분석한 결과 비교적 사용이력이 없는 압입자 A와 마모된 압입자 B의 첨단곡률반경은 각각 $19.71{\pm}3.03$ nm와 $1043.94{\pm}50.91$ nm로 결정되었다. 완벽한 삼각뿔 압입자 형상과 중첩하여 압입자 A와 B의 첨단무딘깊이(bluntness depth)를 1.22 nm와 64.56 nm로 결정하였고, 용해실리카 기준시편에 수행한 나노압입시험 결과를 살펴본 결과 두 압입자의 압입하중-변위곡선들이 무딘깊이 차이만큼 수평축으로 서로 어긋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평 이동을 통해 보정된 압입곡선의 분석을 통해 개별 압입자 면적함수에 대한 고려없이 1.11 % 이내에서 동일한 용해실리카의 나노경도를 결정할 수 있었다.

대두 체세포배에서 전형성층 분화와 경단분열조직의 발달 (Procambium differentiation and shoot apical meristem development in somatic embryos of soybean (Glycine max L.))

  • 최필선;권석윤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0권1호
    • /
    • pp.55-58
    • /
    • 2013
  • 대두 미숙배 배양으로부터 체세포배를 얻기 위해 1 mg/L 2,4-D를 첨가한 MS배지에서 6 - 8주 동안 배양한 결과 2개의 자엽을 갖는 정상체세포배가 14%, 1개의 자엽을 갖는 비정상 체세포배가 37%, 합생자엽을 갖는 비정상 체세포배가 43% 그리고 생장이 멈춘 구형기 체세포배가 6%로 얻어졌다. 체세포배의 전형층은 하배축에서 원형모양으로 분화되어 자엽 절로 이어진 후 1개의 자엽은 1개 전형성층이, 2개의 자엽은 2개의 전형성층이 각 자엽으로 발달하였고, 합생 자엽의 경우 하배축에서 형성된 원형의 전형성층이 자엽까지 연결되어 있었다. 한편 2개의 자엽을 갖는 체세포배의 경우는 tunica-corpus층을 이룬 전형적인 유경조직을 이루고 있었으나 1개 또는 합생 자엽을 갖는 체세포배는 tunica-corpus층이 없고, dome모양이 없는 흔적만 남은 유경조직을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체세포배에서 전형성층의 분화는 자엽의 형성과 유경조직의 발달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상의 위험 징후와 하악 제3 대구치 발치 후 하치조신경 손상 (INFERIOR ALVEOLAR NERVE INJURY FOLLOWING REMOVAL OF MANDIBULAR THIRD MOLAR AND PANORAMIC RADIOLOGICAL RISK SIGN)

  • 이용인;김창수;홍종락;이준휘;신창훈;표성운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0권2호
    • /
    • pp.165-171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cidence of panoramic radiological risk signs related with mandibular third molar extr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risk signs and inferior alveolar nerve (IAN) injury after tooth extraction. Cases were defined as 1000 mandibular third molars extracted by surgical approach at Samsung Medical Center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2001 to December 2006. Seven radiological risk signs were assessed on the panoramic radiogram by three expert oral surgeons. Clinical demographic data and severity of IAN injury were examined on medical records. Bivariate analyses were complet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radiological risk signs and IAN injury. The radiological risk signs showed in 381 cases(38.1%). The incidence of each radiological risk signs were; interruption of IAN white line, 152 cases(15.2%); deflected roots, 141 cases(14.1%); darkening root, 119 cases(11.9%); diversion of IAN, 57 cases(5.7%) ; IAN narrowing, 37 cases(3.7%); root narrowing, 17 cases(1.7%); dark and bifid apex, 10 cases(1.0%). The incidence of IAN injury in cases with risk signs were: in the case of any sign, 3.6%; interruption of IAN white line, 2.6%; deflected roots 5.7%; darkening root. 3.4%; diversion of IAN, 5.7%; IAN narrowing, 3.7%; root narrowing, 5.9%; dark and bifid apex, 0%. No IAN injury was showed in 619 cases without risk sign (p<0.05). In conclusion, the presence of panoramic risk signs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for IAN injury during mandibular third molar extraction, whereas the absence of risk signs was associated with a minimal risk of nerve injury.

개선된 Anti-cloche Filter와 BPF 그리고 오차가 없는 제곱근기를 사용한 SECAM Encoder와 Decoder의 설계 (Design of Digitalized SECAM Video Encoder with Modified Anti-cloche filter and SECAM Video Decoder with BPF and Error-free Square Root)

  • 하주영;김주현;강봉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511-516
    • /
    • 2006
  • 본 논문은 개선된 Anti-cloche filter를 사용하는 SECAM video encoder와 오차가 없는 제곱근기와 BPF를 사용하는 SECAM video decoder를 제안하고자 한다. SECAM video encoder는 ITU-R BT.470에 의해 지정된 Anti-cloche filter를 사용하지만, Anti-cloche filter가 가지는 특성이 주파수에 따라 매우 급격히 변하기 때문에 디지털회로의 설계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Anti-cloche filter의 주파수 특성이 좌우대칭이라는 점을 이용하여서 좌우대칭의 중심이 되는 주파수인 4.286MHz를 0MHz로 이동하여 Anti-cloche filter를 High Pass Filter(HPF)로 변환한다. 변환된 HPF는 Anti-cloche filter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설계가 비교적 용이하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시한 SECAM video decoder는 주파수 변조된 신호로부터 색차신호(Db, Dr)를 복원하기 위해서 오차가 없는 제곱근기와 두 개의 미분기 그리고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색상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고 CVBS(Composite Video Baseband Signal)로부터 색상신호와 밝기신호를 분리하기 위해서 BPF를 사용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Altera FPGA인 APEX20KE EP20K1000EBC652-3와 TV를 이용하여 실시간 검증을 수행하였다.

웨이블릿 DC 계수의 비트평면 치환방법에 의한 실시간 블라인드 워터마킹 및 하드웨어 구현 (Hardware Implementation of Real-Time Blind Watermarking by Substituting Bitplanes of Wavelet DC Coefficients)

  • 서영호;김동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3C호
    • /
    • pp.398-407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2차원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영상 압축방식에 적합한 블라인드 워터마킹 방식을 제안하고 VHDL(VHSIC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을 이용해서 하드웨어로 구현하였다. 워터마킹 알고리즘의 목적은 영상의 조작에 대해 영상의 무결성을 인증하고 조작이 가해졌을 경우에 조작 위치를 판별하는 것이다. 제안된 워터마크 방식은 동영상 압축 시 적용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따라서 양자화에 무관하고 실시간으로 삽입 및 추출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웨이블릿 도메인에서 주파수 특성상 최저파수 대역(LL4)은 공간영역의 변화에 대해 민감하지 않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여 LL4를 워터마크의 삽입영역으로 설정하였다. 워터마크 삽입 시 압축된 영상의 화질을 최대한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강인성을 지닐 수 있는 비트평면 조합을 LL4 부대역에서 선택하고 이를 워터마크 삽입 포인트로 결정한다. 비트평면에서 워터마크의 삽입위치를 알고 있고 값 변환이 아닌 값의 치환방식으로 워터마크를 삽입하므로 워터마크를 추출할 때에 원 영상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삽입위치가 노출되었을 때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워터마크를 블록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호화한 후 삽입하도록 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워터마킹 알고리즘은 일반적인 영상의 조작에 대해 강인성을 보였고 영상 및 비디오 압축기에서 전체 동작과 구조에 큰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이식이 가능하였다. 구현된 영상압축기와 워터마킹 하드웨어는 Altera의 APEX20KC EP20K400CF672-7 FPGA 디바이스에서 약 40%의 LSB를 사용하고 최대 약 60MHz에서 동작이 가능하였다.

상악 중절치 근관치료후 수복 방법에 따른 응력 분포의 유한 요소 분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STRESS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RESTORATION AFTER ROOT CANAL THERAPY)

  • 이재영;이정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9권2호
    • /
    • pp.549-567
    • /
    • 1994
  • Restoration of severly damaged teeth after endodontic treatment had been an interest to many dentists, and it is a fact that there have been lots of studies about it. In these days, although we have used Para-Post, pins, threaded steel post, cast gold post and core, and so on, as a method of restoration frequently, it has been in controversy with the influence of them on the teeth and surrounding periodontal tissue. In this study, we assume that the crown of the upper incisor have severly damaged, so, after the root canal therapy, 4 types of restoration had been carried out; 1) coronal-radicular amalgam restoration, 2) after setting up the Para-Post, restore with composite resin core only, 3) after setting up the Para-Post; restore with amalgam core, then cover with the PPM crown 4) after setting up the Para-Post, restore with composite core, then cover with the PPM crown. After restoration, in order to observe the concentration of stress at internal portion of the teeth and the sourrounding periodontal tissue, developing a 2-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of labiopalatal section, then loading forces from 3 direction - direction of 45 degrees from lingual side near the incisal edge, horizontal direction from labial height of contour, vertical direction at the incisal edge-were applied. The analyzed results were as follows: 1. Stress of the normal central incisor was concentrated on the dentin aroundpulp chamber, labiocervical portion of a tooth and root apex, but with the alveolar bone, in the case of load from the direction of 45 degrees from lingual side near the incisal edge showed remarkable concentration of stress: 2. Coronal-radicular amalgam technique -showed less concentration of stress on the root and surrounding periodontal tissue than the restoration with the Para-Post. 3. The von Mises equivalent stress on the Para-Post showed maximum value at root-core junction rather than both ends and model with PPM restoration with amalgam core showed the least concentration of stress. Only the force from horizontal direction showed large shear stress on internal portion of the root, root apex and alveolar bone. 4. PPM crown with composite core rarely showed the concentration of stress on root and periodontal tissue. 5. As for alveolar bone, remarkable shear stress was concentrated on labial and palatal side by horizontal load.

  • PDF

경직장초음파를 이용한 전립선 볼륨측정 시의 위치 연구: 전립선모형 제작과 실험 (Location Studies of Prostate Volume Measurement by using Transrectal Ultrasonography: Experimental Study by Self-Produced Prostate Phantom)

  • 김연민;윤준;변일균;이후민;김형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8권4호
    • /
    • pp.437-442
    • /
    • 2015
  • 전립선의 정확한 볼륨측정은 전립선암과 전립선비대의 진단, 치료 결정 및 예후 판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전립선암 선별검사에 사용하고 있는 혈청전립선특이항원(serum prostate-specific antigen)은 전립선의 볼륨과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기 때문에 이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볼륨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의 전립선 측정법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나 전립선 모형 별 측정법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모형의 팬텀을 제작하고 초음파를 이용하여 볼륨을 알아본 후 모형 별 측정위치를 찾아 새로운 측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초음파 검사를 통해 특징적인 전립선 모양 6개를 선정하였다. 이를 횡단과 종단영상을 참고하여 전립선 모형 6개를 제작하였다. 최적의 측정위치에서 각각 3회씩 반복측정 후 실제볼륨과 측정볼륨간의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p값은 0.05이하일 때 유의한 것으로 정하였다. Axial 영상에서 돌출부위를 제외하고 안쪽으로 두고, Longitudinal 영상에서는 base와 apex의 오목한 부분에 측정 점을 놓았을 때 실제 전립선 크기와 일치도가 높았다. 실제볼륨과 측정볼륨간의 유의성은 p값 0.156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립선 axial 영상에서 전립선 이행대의 돌출이 심할 경우 돌출부위를 배제하고 측정하는 것이 실제 볼륨에 가까웠다. 또한 longitudinal영상에서는 apex부분이 가늘고 길어질 경우에 끝부분이 아닌 안쪽으로 측정 점을 잡아 그 점을 기준으로 타원을 그려 볼륨을 측정하는 것이 실제 볼륨에 가장 가까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