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O theory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AMO모델에 의한 직원의 직무수행에 미치는 혁신적 리더십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ransformation Leadership on the Job Performance of Employees by AMO Model)

  • 이남;정기영;김형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41-50
    • /
    • 2020
  • 본 논문은 AMO 이론을 기반으로 한 실증적 분석 방법을 통하여 리더십 행동과 직원의 성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변혁적 리더십과 부하 직원의 직무 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리더의 능력(A), 직무동기(M) 및 기회(O)를 요인으로 선택하였고, 개인 차원에서는 자기효율성(O)과 내재적 동기(M)를 조직 차원에서는 팀 분위기(O)를 선택하여 연구 모형을 구축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507건의 유효 데이터를 확보하였고 SPSS23을 이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변혁형 리더가 종업원의 성과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종업원의 업무수행에 대한 리더의 행동을 이해할 수 있는 실증적 이론의 연구결과를 제공하고,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에도 시사점을 제시 하고 있다.

초등교사의 스마트기기 수업 활용의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tention using Smart Devices in Class)

  • 김영록;김재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35-42
    • /
    • 2014
  • 본 연구는 교사의 스마트기기 활용 실태 분석을 통해 스마트기기를 수업에 활용하려는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찾아보고, 영향 요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의 연구 모형을 토대로 확장 수정된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강원과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1,016명의 응답 내용을 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다. AMOS를 활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기기 수업 활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성과기대, 노력기대가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즉시접속성과 개방성은 성과기대와 노력기대에 각각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 of Environmental Responsible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 on Manufacturing Enterprise Green Technology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Tipanya, Noma;Li, Liang;Salma, Elaydi
    • Asia Pacific Journal of Business Review
    • /
    • 제6권2호
    • /
    • pp.1-26
    • /
    • 2022
  • This study uses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HRM) practice and ability, motivation, and opportunities (AMO) theory and corporate social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to explor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responsible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 (ER-HRM) on energy-intensive manufacturing's green technology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self-complet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managers of energy-intensive manufacturing in the Lao PDR.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98 managers of energy-intensive manufacturing for analysis. We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by smart PLS 3.0 to test the hypotheses in this research. The findings have shown a strong direct and positive impact of the environmental ability, motivation, and opportunity of ER-HRM practice on green technology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ability of ER-HRM practice has the highest influence on green technology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findings also prove the partial mediation of green technology innovation links ER-HRM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ER-HRM in energy-intensive manufacturing to achieve innovation and performance while reducing emissions.

장비정비정보체계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in Using Army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 배성오;정찬기
    • 정보화연구
    • /
    • 제10권2호
    • /
    • pp.181-195
    • /
    • 2013
  • 본 연구는 육군 장비정비정보체계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하는 것이다.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분해된 계획행동이론(DTPB: Decomposed Theory of Planned Behavior)이 군과 같은 비자발적 환경에서 정보체계 사용의도를 파악하는데 적절한 모델로 판단하였으며, 분해된 계획행동이론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설문조사는 육군 장비정비정보체계를 사용하는 266명의 군인 및 군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통계 패키지인 SPSS와 AMOS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 용이성은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와 상관의 영향은 주관적 규범에 유효하였으며, 자기 효능감은 지각된 행동통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장비정비정보체계의 사용을 촉진하고 향후 개발 전략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비자의 예기된 죄책감이 녹색소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80년대 이후 출생한 중국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nsumers' Anticipated Guilt on Green Consumption Intention: Focused on the Post-1980s Generation of China)

  • 전동매;이닝닝;경성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81-86
    • /
    • 2020
  • 본 연구는 소비 트렌드를 선도하는 80년대 이후 출생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소비자의 예기된 죄책감이 녹색소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지각된 효과성을 매개효과로 검증하였다. AMOS에 의한 가설점증 결과, 예기된 죄책감은 녹색소비의도와 지각된 효과성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효과성은 녹색소비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효과성은 예기된 죄책감과 녹색소비의도 간에 부분적인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죄책감이라는 친사회적 특징을 지닌 부정적 정서가 녹색소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녹색소비를 유도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 및 실무적으로 기여하는 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한계점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