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E gene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Multiplex PCR for Simultaneous Detection of Aminoglycoside Resistance Genes in Escherichia coli and Klebsiella pneumoniae

  • Kim, Hyun Chul;Jang, Ji-Hyun;Kim, Hyogyeong;Kim, Young-Jin;Lee, Kyoung-Ryul;Kim, Yun-Tae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55-16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ultiplex PCR for the detection of aac(6')-Ib, aph(3')-Ia, and ant(2")-Ia; the genes that encode the most clinically relevant aminoglycoside modifying enzymes (AMEs) in Gram-negative bacteria. Clinical isolates of 80 E. coli and 23 K. pneumoniae from tertiary university hospital were tested by multiplex PCR. The most prevalent AME gene was aac(6')-Ib which was found in 22.3% of the isolates. Of the total 80 E. coli isolates, 1 isolate was found to contain both aph(3')-Ia and ant(2")-Ia simultaneouly. Of the total 23 K. pneumoniae isolates, 2 isolates were found to contain both aac(6')-Ib and aph(3')-Ia, and 1 isolate was found to contain both aac(6')-Ib and ant(2")-Ia simultaneously. Annual (2005~2009) analysis of isolates that contain the AME genes were of no correlation.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multiplex PCR in detecting AME genes was 94.4% (34 of 36 cases) and 100%, respectively. We suggest the multiplex PCR method we developed could be highly sensitive and specific in detecting the AME genes of E. coli and K. pneumoniae. This study could be the first published investigation in which the multiplex PCR method detects aac(6')-Ib, aph(3')-Ia, and ant(2")-Ia genes.

  • PDF

Biological Effects of Allium monanthum Extracts on Lipid Metabolism, Anti-oxidation and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Rats Fed a High-Fat Diet

  • Yoon, Kwang Ro;Ryu, Jae Kuk;Lee, Eu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37-346
    • /
    • 2013
  • This study is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substances involved in obesity prevention, lipid metabolism, and immune regulation.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a high-fat diet for 10 weeks. Allium monanthum extracts (AME) were administered orally to obesity-induced rats, and their lipid-lowering, antioxidative and various types of biological effects related to the immune system were examined. Blood free fatty acid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decreased as the dose of AME increased. Tota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the blood decreased as the dose of AME increased. The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the liver of the AME-treated groups were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concentrations were lower in the plasma and liver of all AME-treated groups than the control group. Plasma AST and ALT activiti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reatment groups. IL-$1{\beta}$ and IL-6 concentrations in the liver tended to decrease as the dose of AME increased. TNF-${\alpha}$ and IL-10 concentrations did now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Lower expression levels of TNF-${\alpha}$, Apo-B and Apo-E genes were found in the AME-treated group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ME may show positive effects in lipid lowering, antioxidation and anti-inflammation.

충청지역의 임상검체로부터 분리된 대장균에 Aminoglycoside-Modifying Enzymes 확산 (Spreading of Aminoglycoside-Modifying Enzymes among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in Chungcheong Province)

  • 성지연;권필승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36-142
    • /
    • 2020
  • 세균의 항균제 내성율은 지난 몇십년 동안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며 mobile genetic elements를 통한 항균제내성인자들의 전파는 다제내성세균의 출현 및 확산을 가중시켰다. 본연구에서는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aminoglycoside에 비감수성 대장균 33주를 대상으로 mobile genetic elements를 통해 전파될 수 있는 aminoglycoside 내성인자를 조사하였다. 16S ribosomal RNA methyltransferases (RMTases)와 aminoglycoside-modifying enzyme (AME)유전자가 PCR과 D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검출되었다. 그 결과 aac(3')-II 유전자(54.5%)를 포함하고 있는 균주가 제일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aph(3')-Ia 유전자(18.2%)가 많았고 aac(6')-Ib 유전자(15.2%)를 포함하는 균주도 있었다. RMTase 유전자는 본 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aac(3')-II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18균주 중 17균주가 gentamicin에 내성을 보였으며 이중 16균주는 tobramycin에도 내성을 보였다. aac(6')-Ib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5균주는 모두 tobramycin에 내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AME 유전자를 획득하는 것은 사람에서 분리된 대장균이 aminoglycoside에 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기전 중 하나임이 확인되었다. 사람으로부터 분리된 세균을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항균제 내성인자를 조사하는 것은 내성세균의 확산을 막는데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산균에 의해 변화된 황기-포스트바이오틱스 다당류가 대식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stragalus membranaceus-postbiotics Polysaccharide Changed by Lactic Acid Bacteria on Macrophage)

  • 김연숙;신현영;정원비;하은지;구자평;신지영;유광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7-29
    • /
    • 2024
  • To increase industrial applicability of Astragalus membranaceus (AM) as immunostimulating materials, hot-water extract (AME) was prepared from AM and fermented with Kimchi-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sakei & Leuconostoc mesenteroides) to prepare fermented AM-postbiotics (FAME). Although FAME prepared from AM-postbiotics did not show a significant enhancement in macrophage stimulating activity compared to non-fermented AME, crude polysaccharide (FAME-CP) fractionated by EtOH precipitation from FAM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acrophage stimulating activity than AME-CP. Compared to AME-CP, FAME-CP showed dramatic changes in component sugar an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FAME-CP was a polysaccharide with a major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113.4 kDa containing Man (44.2%), Glc (19.3%), Gal (10.2%), GalA (10.2%), and Ara (7.4%) as sugar components. FAME-CP with enhanced macrophage stimulatory activity not only increased expression levels of mRNA genes encoding macrophage-activated factors (iNOS, TNF-α, MCP-1, IL-6, and COX-2), but also led the nuclear translocation of activated p65 and c-Jun. In conclusion, crude polysaccharide from AM-postbiotics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could increase industrial applicability as a functional material with enhanced immunostimulating activity than AME-CP.

Restriction Analyses of PCR Amplified Partial SSU Ribosomal DNA to Distinguish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from Other Fungi Colonizing Plant Roots

  • Lee, Jae-Koo;Tae, Moon-Sung;Eom, Ahn-Heum;Lee, Sang-Sun
    • Mycobiology
    • /
    • 제31권2호
    • /
    • pp.68-73
    • /
    • 2003
  • Roots of Glycine max and Miscanthus sinensis and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various field sites at Goesan, Chungbuk in Korea. Microscopic observations of the roots indicated high colonization rates of both arbuscular mycorrhizal fungi(AMF) and other fungi. The partial small subunit of ribosomal DNA genes were amplified with the genomic DNA extracted from their roots by nested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with universal primer NS1 and fungal specific primers AM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RFLP) was analyzed using the combinations of three restriction enzymes, HinfI, AluI and AsuC21. Nucleotides sequence analysis revealed that ten sequences from Miscanthus sinensis and one sequence from Glycine max were close to those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lso, 33% of total clones amplified with NS31-AM1 primers from M. sinensis and 97% from G. max were close to Fusarium oxysporum or other pathogenic fungi, and they were successfully distinguished from AME Results suggested that these techniques could help to distinguish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from root pathogenic fungi in the plant roots. Especially, DNA amplified by these primers showed distinct polymorphisms between AMF and plant pathogenic species of Fusarium when digested with AsuC21.

다제내성 Acinetobacter baumannii 의 항생제 내성 유전자 분석 (An Analysis of the Antibiotic Resistance Genes of Multi-Drug Resistant (MDR) Acinetobacter baumannii)

  • 임진아;이규상;최연임;김종배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17-224
    • /
    • 2016
  • Acinetobacter baumannii는 병원환경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원내감염의 중요한 원인균으로 병원에서 집단감염 일으키고, 중증의 기저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감염되면 감염환자의 사망률이 다른 환자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천안시에 소재한 대학병원 두 곳의 진단검사의학과에 의뢰된 가검물에서 분리한 다제 내성 A. baumannii 85주의 항생제 내성률과 내성유전자 양상에 대해 조사하였다. Carbapenemase와 Class B ${\beta}$-lactamase의 생성균주를 선별하기 위하여 modified Hodge test (MHT)와 IMP-EDTA double-disk synergy test를 실시하였다. 항생제 내성을 유발하는 carbapenemases, 16S rRNA methylases, aminoglycoside-modifying enzymes (AMEs)을 확인하기 위하여 PCR을 시행 하였으며, A. baumannii가 분리된 두 대학병원간 분리균주의 유전학적인 근연도를 확인하기 위해 REP-PCR을 시행하였다. 실험결과 3균주를 제외한 82균주(96.5%)에서 $bla_{OXA-23-like}$$bla_{OXA-51-like}$이 검출되었다. $bla_{OXA-23-like}$ 유전자가 검출된 균주에서는 $bla_{OXA-23-like}$ 유전자 상부에 ISAba1 유전자가 확인되어 carbapenemase에 대한 내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Aminoglycoside에 대한 내성을 유발하는 16S rRNA methylase 유전자인 armA는 A병원에서 분리한 38균주 중 34균주(89.5%)에서, B병원에서 분리한 47균주 중 40균주(85.1%)에서 확인되었고, aminoglycoside modifying emzyme 유전자는 A병원 유래 38 균주 중 33 균주(70.2%)에서, B병원 유래 47균주 중 44 균주(93.6%)에서 aac(3)-IIa/ant(2")-Ia/aac(6')-Ib가 확인됨에 따라 천안지역에서 분리되는 대부분의 다제 내성 A. baumannii 균주는 acethyltransferase와 adenyltransferase를 동시에 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 결과는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분리된 MDR A. baumannii를 대상으로 한 보고서로서, 항생제 내성유형과 내성 유전자의 분포를 확인하여 MDR A. baumannii 균주에 의한 감염증의 치료 지침과 내성세균 확산 방지를 위해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살균제 carbendazim이 DNA, 유전자 및 염색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bendazim on DNA, gene and chromosome)

  • 이제봉;성필남;정미혜;신진섭;강규영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88-298
    • /
    • 2004
  • 광범위 보호 살균제인 carbendazim이 DNA, 유전자 및 염색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Ames가 개발한 미생물복귀돌연변원성시험, CHL (chinese hamster lung fibroblast cell) 세포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시험, DNA 손상시험 및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소핵시험을 수행하였다. Carbendazim $156\sim2,500{\mu}g/plate$ 농도로 직접법 및 대사활성화법으로 TA 1535, TA 1537, TA 98 및 TA 100에서 수행한 Ames test결과 음성 대조군(DMSO)과 유사한 colony수를 보여 유전자의 염기절단에 의한 결손이나 염기 치환을 일으키지 않았다. 염색체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기 위하여 CHL세포에 $2.0\sim32.0{\mu}g/mL$의 농도로 carbendazim을 처리하여 염색체이상시험을 수행한 결과 염색분체 절단과 같은 구조이상은 없었으나 염색체의 수에 변화가 관찰되어 수적 이상은 인정되었다. Carbendazim 25, 50 및 $100{\mu}g/mL$을 마우스에 처리하여 30분, 60분 및 120분에 DNA에 직접 노출시켜 DNA손상 시험을 수행한 결과 60분까지는 영향이 없었으나, 120분 노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22\sim27%$정도의 DNA이동거리가 증가하여 약간의 손상이 관찰되었으며, 세포에 노출시켰을 때도 중 농도와 저 농도에서 16%의 이동거리 증가와 120분 노출시켰을 때 $10%\sim26%$의 이동거리 증가가 있어 DNA에 직접 노출한 경우와 비슷하였다. Carbendazim 375, 750 및 1,500 mg/kg 농도로 투여한 소핵시험결과 음성으로 판단되었으며, 골수세포에 대한 세포독성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선 benzimidazole계 살균제 carbendazim이 DNA손상 및 염색체의 수적이상을 일으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계속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benzimidazole계 농약인 benomyl이나 carbendazim에 장기적으로 인체에 노출되었을 경우 유전물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만성독성성적과 노출량 등 구체적인 자료를 이용한 위해성평가를 수행하여야 보다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