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BI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9초

원문만 패류양식어장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춘계와 하계의 군집구조 및 건강도 평가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ic Assemblages during Spring and Summer in the Shellfish Farming Ground of Wonmun Bay,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정래홍;서인수;최민규;박상률;최병미;김미향;김연정;윤재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908-926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ic assemblages in Wonmun Bay,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The total number of species and mean density were 170 species and $1,269\;indivuduals/m^2$, respectively. The major dominant species were the bivalve Theora fragilis ($230{\pm}446\;indivuduals/m^2$) and the polychaetes Lumbrineris longifolia ($180{\pm}339\;indivuduals/m^2$), Sigambra tentaculata ($124{\pm}153\;indivuduals/m^2$), Paraprionospio patiens ($104{\pm}293\;indivuduals/m^2$) and Capitella capitata ($82{\pm}223\;indivuduals/m^2$). Community statistics [cluster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tional scaling (NMDS) ordination] revealed that the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in the study area was classified into three station groups for both seasons. Several biotic indices based on macrobenthic communities have been developed to assess the ecological quality of coastal ecosystems. In this study, the ecological status was assessed by four biotic indices Shannon's H', the AZTI Marine Biotic Index (AMBI), multivariate-AMBI (M-AMBI) and the Ecological Conservation Index (ECI). The ecological statuses of the macrobenthic communities in Wonmun Bay were poorer in the summer than in the spring.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three biotic indices ( i.e.; Shannon's H', M-AMBI and ECI ) were better correlated with bottom dissolved oxygen than the AMBI in Wonmun Bay.

하계 무안만 조하대 저서동물군집 특성 및 AZTI의 해양생물지수(AMBI)와 수질평가지수(WQI)를 이용한 건강성 평가 (Characteristics of Macro Benthic Community in the Subtidal Zone of Muan Bay on Summer and Health Assessment by using AZTI Marine Biotic Index (AMBI) and Water Quality Index (WQI))

  • 오준호;이경선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1-28
    • /
    • 2022
  • 저서동물은 저서환경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시자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안만 조하대의 환경 및 저서동물의 분포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수질평가지수(WQI)와 저서생물지수(AMBI)를 이용하여 저서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하였다. 현장채집은 2019년 하계 무안만 조하대의 10개 정점에서 이루어졌다. 무안만 조하대는 상부지역이 하부지역에 비해 세립한 입도특성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높은 유기물 함량을 보였다. 일부 정점에서 오염지표종인 Musculista senhousia, Theora fragilis and Lumbrineris longifolia과 같은 종들도 우점을 나타내고 있었다. 군집분석결과 무안만 조하대는 상부, 중부, 하부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유기물 함량과 저서건강성 평가지수(WQI 및 AMBI)와의 상관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무안만 조하대의 저서생태계는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저서동물이 균등하게 분포하지 않고, 기회종이 출현하고 있어 조하대의 유기물 부하량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거제한산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춘계와 하계의 군집구조 및 건강도 평가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ic Assemblages at Spring and Summer in Geoje-Hansan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정래홍;서인수;최병미;최민규;윤상필;박상률;나종헌;윤재성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7-41
    • /
    • 2016
  • 본 연구는 거제한산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건강도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형저서동물의 채집을 위한 현장조사는 2013년 5월(이하 춘계)과 8월(이하 하계)에 실시하였다. 거제한산만에서는 총 300종 $7.6m^{-2}$과 75,760개체(1,994개체 $m^{-2}$)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고, 다모류가 110종과 49,955개체(1,315개체 $m^{-2}$)의 밀도를 나타내 가장 우점하는 생물이었다. 거제한산만의 주요 우점종은 다모류의 긴자락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longifolia, $299{\pm}164$개체 $m^{-2}$), Aphelochaeta monilaris($100{\pm}57$개체 $m^{-2}$), 이매패류의 종밋(Musculista senhousia, $91{\pm}96$개체 $m^{-2}$) 및 다모류의 꼬리대나무갯지렁이(Praxillella affinis, $80{\pm}696$개체 $m^{-2}$)등이었다. 출현 종과 개체수의 자료를 근거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한 결과,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크게 내만역(산달도 인근 양식어장) 정점군과 수로역(한산도에서 추봉도 해역) 정점군으로 대별되었다. 거제한산만의 건강도를 평가한 결과, 수로역의 정점군과 비교해 내만역에 위치한 산달도 인근 양식어장 정점군에서 환경질이 상대적으로 불량하였다. 또한 3개의 생물 평가지수(다양도 지수, M-AMBI 지수 및 환경보전도 지수)는 AMBI 지수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마산만 저서생태계를 중심으로 연안해역 건강성 평가를 위한 저서생물지수의 적용 (Application of Biotic Indices to Assess the Health Condition of Benthic Community in Masan Bay, Korea)

  • 최진우;서진영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9권4호
    • /
    • pp.339-348
    • /
    • 2007
  • In this work,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three benthic biotic indices (BPI, AMBI, BIBI) which indicates the health condition of benthic communities in Masan Bay, Korea where anthropogenic impacts have been concentrated. Also we evaluated the usefulness of these benthic indices and some problems if they were applied to the Korean coastal waters. For this we used the macrozoobenthos data collected using van Veen grab ($0.1\;m^2$) at 21 sites in Masan Bay in February and August 2004. Based on the BPI values, two stations in the inner bay were found in a very hard polluted condition and three stations in the middle bay were also in a highly polluted condition. Only one station located in the bay mouth was in a normal condition. The inner bay stations showed very high AMBI values (${\geq}5.0$), indicating a highly polluted condition. The bay mouth station was assessed in a moderately polluted condition. The overall BIBI values in Masan Bay were in the range between 1.0 and 3.0. The inner bay stations showed low BIBI values (${\leq}2.0$) in the severely degraded condition. The bay mouth station with high BIBI value over 3.0 was assessed as a normal condition. All three benthos indices showed that macrozoobenthic communities in the inner bay were in a seriously polluted condition all year round, and macrobenthic faunas in the bay mouth seemed in a bad healthy condition (slightly polluted) based on AMBI during summer season. These three benthic biotic indices showed the similar assessment result, and thus we consider that each of them is a useful tool for the assessment of coastal benthic ecosystems under the organic enrichment in sediment.

한국의 북극 생물다양성 국제협력사업 참여 전략 (Korea's Strategy for Participating in Arctic Biodiversity International Cooperation Projects)

  • 강성룡;윤지현;장인영
    • 생태와환경
    • /
    • 제55권4호
    • /
    • pp.390-397
    • /
    • 2022
  • 북극 이사회 산하 "북극동식물보전 워킹그룹"은 북극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생물자원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모니터링, 평가, 정책, 전문가 그룹 활동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정부들과 북극원주민들에게 전달한다. 북극 동식물보전 워킹그룹의 주요업무는 모니터링, 평가, 전략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모니터링 사업은 "환북극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해양, 담수, 육상, 연안) 프로그램", 평가 사업은 "북극생물다양성평가", 전략 사업은 "북극철 새이니셔티브"이다. 우리나라는 2013년 북극 이사회 옵서버 국가 지위 획득 후 2015년부터 북극철새이니셔티브 사업에 직접 참여하고 있다. 북극철새이니셔티브는 북극에서 번식하는 철새들이 이용하는 전 세계 이동경로 상의 서식지를 보전하고 불법 사냥을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철새 이동경로상의 옵서버 국가들이 직접적으로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북극협력사업 참여를 위한 우선순위 선정 시 기존에 참여하고 있는 북극 철새이니셔티브와 국내 공공기관들이 운영 중인 북극 관련 아카데미 프로그램을 활용해 "CAFF 청년 프로그램" 참여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천수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춘계와 하계의 군집구조 및 건강도 평가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ic Assemblages at Spring and Summer in Cheonsu Bay, West Coast of Korea)

  • 정래홍;서인수;이원찬;김형철;박상률;김정배;오철웅;최병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4호
    • /
    • pp.272-286
    • /
    • 2014
  • 본 연구는 천수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하고, 건강도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천수만 해역에서는 총 224종/$5.2m^2$과 1,940개체/$m^2$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고, 다모류가 111종(평균 $22{\pm}11$종)과 31,525 개체(평균 $1,213{\pm}1,080$개체/$m^2$)의 밀도를 나타내 가장 우점하는 생물이었다. 천수만의 주요 우점종은 이매패류의 아기반투명조개(Theora fragilis), 다모류의 Heteromastus filiformis, 긴자락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longifolia), Mediomastus californiensis 및 옆새우류의 Eriopisella schellensis 등이었다. 출현 종의 개체수 자료를 기초로 다변량분석(집괴분석과 다차원배열법)을 실시한 결과, 천수만 해역의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크게 2개의 그룹(죽도를 중심으로 만의 안쪽해역 정점군과 만의 입구부해역 정점군)과 2개의 정점(춘계와 하계의 정점 2)으로 구분되었다. 한편 천수만의 건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Benthic Pollution Index(BPI)와 ATZI's Marine Biotic Index(AMBI)지수를 이용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BPI지수는 11(bad status, 가장 불량한 상태)~92(high status, 가장 양호한 상태)의 범위를, AMBI는 1.34(good status, 양호한 상태)~4.39(poor status, 불량한 상태)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천수만은 건강도 지수의 평균 값에 있어 BPI와 AMBI지수가 각각 중간 상태(moderate status, 불량과 양호한 상태의 전이단계)와 양호한 상태를 반영하고 있었다.

Al-Cr-Zr 분말형성에 미치는 밀링 온도의 영향 (Effect of Milling Temperature on Formation of Al-Cr-Zr Metal Powder)

  • 김현승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9-26
    • /
    • 2000
  • Al-Cr-Zr metal powders were prepared by cryo-milling(-75$^{\circ}C$),ambi-milling(25$^{\circ}C$) and warm-milling(200$^{\circ}C$) to investige the effect of milling temperature. The morphogical changes and microstructural evolution of Al-6wt.%Cr-3wt.%Zr metal powder ball milling were investigated by SEM, OM and XRD. The cryo-milling at -75$^{\circ}C$ caused the more refinement of powder particle size than ambi-milling and warm-milling. The partic morpholgy of Al-Cr-Zr metal powders changed changes into spheroidal particles at 25$^{\circ}C$and spherical particles at 200$^{\circ}C$The spherical particles were formed by agglomertion and contiuous wrapping of the spheroidal particles. The calculated Al crystallite size in Al-Cr-Zr metal powders by the Scherer equation were refined rapidly for short milling time -75$^{\circ}C$compared with milling at 25$^{\circ}C$ and 200$^{\circ}C$.

  • PDF

낙동강 하구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건강도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Status of Macrobenthic Animal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Busan, Korea)

  • 윤석현;이진우;오철웅;최병미;윤건탁;나종헌;서인수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3권2호
    • /
    • pp.73-88
    • /
    • 2021
  • The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status of macrobenthos assemblages were investigated in the subtidal area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Southern Coast of Korea. Benthic fauna samples were collected seasonally at 8 stations in the subtidal area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from February 2013 to October 2015. During the survey, a total of 380 species and 4,603 ind./m2 of macrobenthos in all sampling areas were collected. The major dominant species were the polychaetes Minuspio japonica, Pseudopolydora kempi, Heteromastus filifomis, Capitella capitata, the amphipod Grandidierella japonica and the bivalvia Arcuatula senhousia. Some species of polychaetes found in the study area consisted of opportunistic species that showed high densities when habitat condition was poor. On the other hand, macrobenthos assemblages in the study area were divided into brackish water and marine groups. Abundance was high in the brackish group, while the number of species and diversity index were high in the oceanic group. The three indices (AMBI, M-AMBI, and BHI) in the assessment of health levels based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number of species in macrobenthic were commonly shown to be in good condition in the group of oceanic stations, while relatively poor conditions were reflected in the group of brackish stations. Compared to other indices, the M-AMBI index of the three indices for health assessment was considered to be a relatively more suitable one to assess benthic ecological conditions.

진도-제주도 해역에 서식하는 저서다모류의 분포양상과 건강도 지수를 이용한 저서환경 평가 (Distribution Patterns of Polychaete Assemblage and Benthic Quality Status Estimated by AMBI in Jindo-Jejudo Subtidal Areas)

  • 김광배;정윤진;오정규;강훈;김동영;이동훈;임성률;손대선;마채우
    • 환경영향평가
    • /
    • 제30권4호
    • /
    • pp.203-21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저서다모류 군집의 구조와 생태학적 건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진도 해역과 제주도 해역에서 각 7개씩 총 14개 정점에서 2010년 8월부터 2012년 9월까지 총 5회에 걸쳐 반기별로 저서다모류 군집조사를 실시하였다. 저서다모류의 서식기질로서 퇴적물의 입도조성을 분석한 결과 진도 해역은 비교적 혼합질 퇴적상을 나타낸 반면 제주도 해역은 모래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14개 정점에서 출현한 저서다모류는 68종, 231 ind./m2 서식밀도를 나타내었으며, 진도 해역에서는 61종, 167 ind./m2, 제주도 해역에서는 62종, 295 ind./m2로 나타났다. 시기별로 출현종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제주도 해역에서 전반적으로 종수 및 서식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출현 서식밀도의 자료를 이용하여 우점종을 선정한 결과 진도 해역은 Heteromastus filiformis, Ampharete arctica, Prionospio sp., Sigambra tentaculata, Thelepus sp.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제주도 해역은 Amphicteis gunneri, Ampharete arctica, Prionospio sp., Spiochaetopterus costarum, Heteromastus filiformis 순으로 나타났다. 종조성과 정점 간 유사도에 근거한 집괴분석 결과 정점 5와 6을 제외한 정점에서 진도 해역과 제주도 해역으로 확연히 구분되었다. AMBI 분석 결과 1.2-3.4의 결과를 보였으며, 모든 정점에서 V등급 저서다모류는 출현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진도 해역과 제주도 해역은 지리적 위치 및 퇴적상에 따라 저서다모류 군집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시공간적인 큰 변동 없이 비교적 안정된 군집을 형성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Characterization of macro-benthic fauna for ecological health status of the Fosu and Benya lagoons in coastal Ghana

  • Armah, Frederick A.;Ason, Benjamin;Luginaah, Isaac;Essandoh, Paul 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5권4호
    • /
    • pp.279-289
    • /
    • 2012
  •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the Fosu and Benya lagoons in Ghana, based on the anthropogenic effect on the two lagoons. Salinity, oxygen, temperature, conductivity, turbidity and pH were measured, invertebrate richness and species densities were determined. The AZTI Marine Biotic Index (AMBI) and multivariate statistics were used to determine the different responses of fauna to pollution. The fauna were categorized into five ecological groups based on the degree of tolerance of the different species to pollution: disturbance-sensitive species; disturbance-indifferent species, disturbance-tolerant species, second-order opportunistic species; and first-order opportunistic species. The Fosu Lagoon supported more pollution tolerant species, whereas the Benya Lagoon had more species that were sensitive to organic enrichment under relatively unpolluted conditions. Chironomus sp., which is adapted to virtually anoxic conditions, was the most abundant in the Fosu Lagoon whereas Nemertea sp. was the most abundant in the Benya Lagoon. The numerical and relative abundance (%) of all 7 taxa in the Fosu Lagoon was 1,359 and 92.35%, respectively. The numerical and relative abundance (%) of all 34 taxa in the Benya Lagoon was 2,459 and 87.52%, respectively. Expectedly, the level of dissolved oxygen in the less saline Fosu Lagoon was higher than that in the more saline Benya Lagoon. The reduced photoperiod and photosynthetic activities of aquatic plants might account for this trend. There is a need to implement comprehensive monitoring and management initiatives for sustaining the ecological health of coastal lagoons in Ghana in order to support the many people that depend upon these ecosystems for their livelih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