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JCC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3초

비인강암의 임상적 특성 (Clinical Characteristics of Nasopharyngeal Cancer)

  • 심윤상;이원종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1-87
    • /
    • 1996
  • We studied the clinical charcteristics of 265 cases of nasopharyngeal carcinomas diagnosed at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over a span of 8 years from Jan. 1987. Male were 187 and Female were 78 and male: female ratio was 2.4 : 1. The age distribution ranged from 2nd decade to 9th decade evenly and mean age was 46.1 years old. Histopathologically squamous cell carcinoma (WHO type 1, 2, 60.8%) were 161 cases and undifferentiated carcinoma (WHO type 3, 39.2%) were 104 cases. Main symptoms and signs were neck mass 199 cases (75.1%), ear symptoms 126(47.5%), nasal symptom 101 (38.1%). The distribution of anatomical subsites were posterior wall 75 (24.7%), lateral wall 175 (72.8%), Inferior wall 15 (2.5%). Tumor staging by AJCC classification, 1992, distributed with stage I 3 cases (1.1%), stage II 5 cases (1.9%), stage III 24 cases (9.1%), stage IV 233 cases (87.9%).

  • PDF

유암(乳巖)환자 치험1례(例)에 대한 임상보고 (A case report of breast cancer)

  • 김성란;유동열
    • 혜화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9-195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just oriental treatments to the breast cancer. Methods: A 37-year-old woman had breast cancer of stage II according AJCC staging system, but she dosen't want be operated for a tumor. So, she was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acuputure, moxa, patch made from herb medicine and depletion for four weeks. In herbal theraphy sihosogansan and saengmaksan. The patch made from herb medicine is put on the skin of the cancer. Depletion is done on the breast cancer, too. In acuputure theraphy, Sojangjeonggyeok(小腸正格) was used. In Moxa theraphy Chungwan, Kwanwon were used. Results: After oriental medicine for 27 days, she was on the mend about the size, complexion, solidity and pain of the breast cancer.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breast cancer is improved if only oriental treatments. But after this, further approach and studys on the breast cancer.

  • PDF

Introduction of a New Staging System of Breast Cancer for Radiologists: An Emphasis on the Prognostic Stage

  • Jieun Koh;Min Jung K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0권1호
    • /
    • pp.69-82
    • /
    • 2019
  • In 2017, the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nnounced the 8th edition of its cancer staging system. For breast cancer, the most significant change in the staging system is the incorporation of biomarkers into the anatomic staging to create prognostic stages. Different prognostic stages are assigned to tumors with the same anatomic stages according to the tumor grade, hormone receptor (estrogen receptor; progesterone receptor) status, and HER2 status. A Clinical Prognostic Stage is assigned to all patients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rapy used; in contrast, a Pathologic Prognosis Stage is assigned to patients in whom surgery is the initial treatment. In a few situations, low Oncotype DX recurrence scores can change the prognostic stage. The radiologists need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biologic factors that can influence cancer staging.

직장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보조 화학요법과 보조 화학방사선 병용요법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and Chemoradiation for Rectal Cancer)

  • 이강규;박경란;이익재;김익용;심광용;김대성;이종영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4호
    • /
    • pp.334-342
    • /
    • 2002
  • 목적 : 본 연구는 AJCC 병기 II기와 III기의 국소진행성 직장암으로 근치적 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각 병기에서 보조 화학요법 단독에 비해 화학방사선 병행요법이 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을 향상시키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AJCC 병기 II기와 III기의 직장암으로 근치적 절제술이 시행된 1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보조 치료방법에 따라 분류를 하면 화학요법 단독군이 72명이었고, 화학방사선 병행요법군은 72명이었다. 화학요법은 수술 후 UFT를 매일 경구복용하거나(중앙값 12개월) 5-FU를 기초로 한 항암제를 4주 간격으로 정맥주사하였고, 투여기간은 $1\~18$차례(중앙값 6차례)이였다. 방사선치료는 직장과 골반 내 영역 림프절 영역에 4,500 cGy를 조사한 후 수술 부위에 $540\~1,440\;cGy$ (중앙값 540 cGy) 추가조사를 시행하였다. 추적관찰 기간은 $20\~150$개월로 중앙값은 44개월이었다. 결과 : 5년 생존율은 화학요법 단독군과 화학방사선 병행요법군에서 각각 $60.9\%$$68.9\%$ (p=0.0915)였고,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56.1\%$$63.8\%$ (p=0.3510)로 두 군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병기별로 분석하였을 때 II기에서의 5년 생존율은 화학요법 단독군이 $71.1\%$, 화학방사선 병행요법군은 $92.2\%$로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379), 5년 무병생존율에서는 화학요법 단독군이 $57.3\%$, 화학방사선 병행요법군은 $85.4\%$로 두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482). III기에서는 5년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이 화학요법 단독군에서는 $52.0\%$$47.8\%$였고, 화학방사선 병행요법군에서는 $55.0\%$$49.8\%$로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4280, p=0.7891). 국소재발율은 화학요법 단독군이 $16.7\%$, 화학방사선 병행요법군은 $12.5\%$였고, 원격재발율은 화학요법 단독군이 $25.0\%$, 화학방사선 병행요법군은 $26.4\%$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II기에서 보조 화학요법에 방사선치료를 병행함으로써 보조 화학요법 단독 치료시와 비교하여 생존율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못했지만 국소재발율의 감소를 보였다.

사지와 체부에 발생한 편평상피 세포암의 치료 (Treatment of Squamous Cell Carcinoma in Extremity & Trunk)

  • 신덕섭;김범중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13
    • /
    • 2012
  • 목적: 편평상피 세포암 환자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전반적인 생존율과 예상 가능한 예후인자들에 따른 생존율을 비교하고 분석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11년 2월까지 본원에서 병리학적으로 진단된 사지와 체부에 발생한 편평상피 세포암은 151예였고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는 51예였다. 연구는 이 중 12개월 이상 외래추적이 가능하였던 4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4.4세였고, 남자와 여자는 각각 31명, 10명이었다. 수술은 광범위 절제 및 재건술(29예)과 절제연을 얻기 힘든 사지 말단부나 신경, 혈관계를 침범한 경우에 절단술(12예)을 시행하였다. 수술적 치료만 시행한 환자는 33예이고, 절제 후 항암화학치료 또는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환자는 8예가 있었다. 병기는 AJCC 분류에 따라 나누었으며 생존율은 Kaplan-Meier 법으로 계산하였고 군간의 생존율 비교는 Log-rank test를 이용하였다. 생존율과 관련된 예후 인자들로 원발 병소의 위치, 병인, 조직학적 분류, 병기, 수술방법, 추가 항암요법 여부를 조사하여 각각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 외래 추적은 평균 65.2개월(12-132개월)이었고 최종 추시 상 생존은 30예(73.1%)이었고 Kaplan-Meier에 의한 5년 생존율은 77%이었다. 전체 환자에서 총 3예(7.3%)의 국소 재발과 7예(17.0%)의 전이가 있었다. 국소재발 3예에서 재발시기는 평균 27개월(18-43개월)이었다. 원발 병소의 위치, 병인, 조직학적 분류, AJCC 분류에 따른 병기, 추가 항암요법에서 생존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절단술을 시행한 환자는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보다 생존율이 낮았다. 결론: 41예의 편평상피 세포암의 치료결과를 분석한 결과 5년 생존율이 77%이었고 예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인자 중에 수술 방법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진행된 병기의 비인강암에서의 선행보조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in Advanced Stage Nasopharyngeal Carcinoma)

  • 홍세미;우홍균;박찬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7권4호
    • /
    • pp.275-280
    • /
    • 1999
  • 목 적 :국소적으로 진행된 비인두암환자에서 선행보조 항암화학요법의 실행 용이성과 부작용의 정도를 평가한다. 대상 및 방법 : 77명의 조직학적으로 비인두암으로 확진 되고 이전에 치료를 받은 적이 없는 진행된 병기의 비인두암 환자들이 1984년부터 1996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선행보조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았다. 환자군의 병기분포는 다음과 같다. 1992년 AJCC 분류법에 따라 제 3 병기에 속하는 환자가 2명이었고 제 4병기에 속하는 환자가 75명이었다. 방사선치료 시행 전에 선행보조 항암화학요법으로 66명의 환자가 5-FU와 Cisplatin의 정맥 내 투여를 시행 받았고, 11명의 환자가 5-FU와 Carboplatin의 정맥 내 투여를 시행 받았다. 생존환자의 중앙추적기간은 44개월이었다. 결 과 :항암화학요법에의 반응율은 87$\%$였다. 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은 심하지 않았다. 3명의 환자만이 3도의 부작용을 경험하였다. 1명은 백혈구 감소증을 보였고 2명은 오심과 구토의 부작용을 보였다. 방사선에 의한 점막염도 심하지 않았는데, 10명의 환자에서 2도의 점막염이 발생하였다. 5년 생존율과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68$\%$와 65$\%$였다. 5년 무원격전이율은 82$\%$였으며 5년 국소 치유율은 75$\%$였다. 결 론 : 선행보조 항암화학요법이 진행된 병기의 비인두암 환자에 있어서 부작용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효과적인 치료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UICC/AJCC 제7판 위암 병기 분류법은 제6판 분류법에 비하여 예후 예측을 증진시키는가? (Does the New UICC/AJCC TNM Staging System (7th Edition) Improve Assessing Prognosis in Gastric Cancer Compared to the Old System (6th Edition)?)

  • 하태경;김현자;권성준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9권4호
    • /
    • pp.159-166
    • /
    • 2009
  • 목적: 제6판 UICC TNM 분류법과 비교하여 새로 개정될 제7판 분류법이 위암 환자들의 예후를 예측하는데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그 유용성과 함께 비교 분석한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6월부터 2006년 12월 사이에 한양대학교병원 외과에서 위암으로 수술 받은 1,633명을 대상으로 제6판 및 제7판(예정) UICC TNM 병기분류법에 따른 예후 예측과 관련된 사항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제7판 분류에 의한 T2와 T3 사이 생존율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N0, N1, N2, N3a, N3b 사이 생존율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제7판에 따른 병기 III와 병기 IV 사이의 생존율 차이는 유의하였으나 병기 Ia와 Ib사이, Ib와 IIa사이, IIa와 IIb사이, IIb와 IIIa 사이의 생존율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동일병기로 분류되었으나 구성요소의 차이에 따라 생존율의 동질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병기 IV를 제외하면 제6판보다 제7판에서 더 많았다. 결론: 제7판 분류법은 제6판 분류법에 비하여 너무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병기 사이의 생존율의 차별화나 동일 병기를 이루고 있는 서로 다른 인자로 구성된 경우들 사이에서의 생존율의 동질성 평가에서 부족하였다. 그러나 근치 인자와 비근치 인자를 같은 병기로 구분한 제6판의 병기 IV 분류 기준을 수정하여 서로 다른 병기로 분리 해 놓은 제7판에서의 변화는 적절하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 PDF

The Ratio-Based N Staging System Can More Accurately Reflect the Prognosis of T4 Gastric Cancer Patients with D2 Lymphadenectomy Compared with the 7th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Union for International Cancer Control Staging System

  • Hwang, Sung Hwan;Kim, Hyun Il;Song, Jun Seong;Lee, Min Hong;Kwon, Sung Joon;Kim, Min Gyu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6권4호
    • /
    • pp.207-214
    • /
    • 2016
  • Purpose: The utility of N classification has been questioned after the 7th edition of the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JCC)/Union for International Cancer Control (UICC) was published. We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ratio-based N (rN) classification with the overall survival of pathological T4 gastric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D2 lymphadenectomy.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222 cases of advanced gastric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gastrectomy between January 2006 and December 2015. The T4 gastric cancer pat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lymph node ratio (the number of metastatic lymph nodes divided by the retrieved lymph nodes): rN0, 0%; rN1, ${\leq}13.3%$; rN2, ${\leq}40.0%$; and rN3, >40.0%. Results: The rN stage showed a large down stage migration compared with pathological T4N3 (AJCC/UICC).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survival between rN2 and rN3 groups in patients with pT4N3 (P=0.013). In contrast, the difference in metastatic lymph nodes was not significant in these patients (${\geq}16$ vs. <15; P=0.177). In addition, the rN staging system showed a more distinct difference in overall survival than the pN staging system for pathological T4 gastric cancer patients. Conclusions: Our results confirm that rN staging could be a good alternative for pathological T4 gastric cancer patients who undergo D2 lymphadenectomy. However, before applying this system to gastric cancer patients who undergo D2 lymphadenectomy, a larger sample size is required to further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rN staging system for all stages, including less advanced stages.

Treatment Outcome for Nasopharyngeal Carcinoma in University Malaya Medical Centre from 2004-2008

  • Ee Phua, Vincent Chee;Loo, Wei Hoong;Yusof, Mastura Md;Ishak, Wan Zamaniah Wan;Tho, Lye Mun;Ung, Ngie M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8호
    • /
    • pp.4567-4570
    • /
    • 2013
  • Background: Nasopharyngeal carcinoma (NPC) is the commonest radiocurable cancer in Malaysia.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treatment outcomes and late effects of radiotherapy for NPC patients treated in University Malaya Medical Centre (UMMC). Materials and Methods: All newly diagnosed patients with NPC referred for treatment to the Oncology unit at UMMC from 2004-2008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reatment outcomes were 5 years overall survival (OS), disease free survival (DFS), cause-specific survival (CSS), locoregional control (LRC) and radiotherapy-related late effects. The Kaplan-Meier method was used for survival analysis and differences in survival according to AJCC stage was compared using the log-rank test. Results: A total of 176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NPC were treated in UMMC during this period. Late presentation was common, with 33.5% presenting with T3-4 disease, 84.7% with N1-3 disease and 75.6% with AJCC stage 3-4 disease. Radical RT was given to 162 patients with 22.7% having RT alone and 69.3% having CCRT. The stipulated OTT was 7 weeks and 72.2% managed to complete their RT within this time period. Neoadjuvant chemotherapy was given to 14.8% while adjuvant chemotherapy was administered to 16.5%. The 5 years OS was 51.6% with a median follow up of 58 months. The 5 years OS according to stage were 81.8% for stage I, 77.9% for stage II, 47.4% for stage III and 25.9% for stage IV. The 5 years overall CSS, DFS and LRC were 54.4%, 48.4% and 70.6%, respectively. RT related late effects were documented in 80.2%. The commonest was xerostomia (66.7%). Other documented late effects were hearing deficit (17.3%), visual deficit (3.1%), neck stiffness (3.1%), dysphagia (3.4%), cranial nerve palsy (2.5%), pneumonitis (0.6%) and hypothyroidism (1.2%). Conclusions: The 5 years OS and LRC in this study are low compared to the latest studies especially those utilizing IMRT. Implementation of IMRT for NPC treatment should be strongly encouraged.

흉부 식도암의 병기 결정에 있어서 채골상 림프절 전이의 의미 (Significance of Supraclavicular Lymph Node Involvement on Determination of Clinical Staging for Thoracic Esophageal Carcinoma)

  • 우홍균;박찬일;하성환;김일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7권2호
    • /
    • pp.108-112
    • /
    • 1999
  • 목적 : 1997년에 개정된 AJCC 병기분류법에 의하면 흉부식도암의 쇄골상림프절전이는 원격전이로 분류된다. 연구자들은 다른 국소림프절전이와 쇄골상림프절전이의 임상적 양상의 차이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79년 6월부터 1992년 12월 사이에 임상적으로 절제가 불가능한 식도암 환자 289명이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이 중 25명의 환자에서 쇄골상림프절전이가 관찰되었다. 쇄골상림프절의 임상적 중요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소림프절전이 환자와 생존율 및 재발양상에 대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쇄골상림프절전이 환자의 생존중앙치는 7개월이었으며 2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12.0$\%$ 및 4.0$\%$ 였다. 국소 림프절전이 환자에서는 9개월, 17.0$\%$ 및 3.8$\%$ 였다. 두 군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은 관찰할 수 려었다. 또한 재발양상에 있어서도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흉부식도에서 발생한 식도암에서 쇄골상림프절로의 전이는 현재의 분류인 원격전이이기 보다는 국소림프절전이로 분류되어야 할 것이며, 향후 이에 대한 다기관공동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