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S VDL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MOB 장치가 AIS VDL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김병옥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3-175
    • /
    • 2013
  • 최근 AIS 기술을 적용한 MOB(Man Overboard)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국제적인 기술표준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기술기준도 아직까지 마련되어 있지 않다. MOB가 사용하는 주파수가 AIS 주파수와 동일하기 때문에 AIS VDL(VHF Data Link)에 미치는 영향이 파악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AIS 기술을 적용한 MOB가 AIS VDL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기술기준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 PDF

AIS 통신부하 관리를 위한 실시간 메시지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al-time Message Analysis for AIS VDL Load Management)

  • 이상재;정중식;김민엽;박계각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256-261
    • /
    • 2013
  •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는 지난 10년간 해상에서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이에 따라 AIS에서 사용하는 VHF 대역의 데이터 링크에서 통신량도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AIS 디이터 트래픽의 증가는 AIS 서비스 통신품질의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국내 주요항만에서 AIS 통신량의 현황분석을 통하여 통신증가의 문제점을 지적한 바는 있지만 이에 대한 대책을 제시한 연구결과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해상에서 AIS 기지국 장치에서 제공하는 메시지를 이용하여 AIS 기지국의 통신슬롯의 점유율을 분석하는 분석방법과 그 분석정보를 이용한 AIS 기지국의 자동 제어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IS-ASM 기반 신규 서비스 도입을 위한 선행 연구 (Preliminary Researches for the Deployment of New AIS-ASM Services)

  • 김건웅;박계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515-1521
    • /
    • 2013
  • AIS는 해양안전 분야의 핵심서비스이다. 그 중 바이너리 메시지를 전달하는 6번 메시지와 8번 메시지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에 MSC는 2010년 AIS-ASM 사용에 대한 권고를 발표한 바 있다. AIS-ASM을 통한 해양안전정보 제공은 해양사고 예방이나 안전 제고 등에 기여할 수 있지만, 새로운 서비스가 VDL에 추가 부하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서비스 도입 절차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AIS-ASM 서비스 분석을 통해 각 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해 확장되어야 하는 기능 또는 체계들을 정리하고, 지속적으로 수집한 AIS 정보 분석을 통해 현행 AIS 운용 환경을 관찰한 결과를 소개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신규 AIS-ASM 서비스 도입을 위해 수행하여야 하는 선결 연구주제들을 정리한다. VDL 활용 감시시스템, 비정상 AIS 기기 감지 및 제거, 해양안전서비스 가치분석 등이 요구된다.

지능형 해양교통 안전망 구축을 위한 조사 (The study for Installation an intelligent AtoN AIS)

  • 최영종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년도 공동학술대회
    • /
    • pp.535-537
    • /
    • 2009
  • 대형원료 운반선(원유선, 광탄선 등)의 해양오염사고를 줄이기 위하여 주요항로 및 통항로 상의 천수구역, 긴급 위험물 및 위험지역에 기존 AIS Base Station을 활용한 가상항로표지(Virtual AtoN AIS)를 설치하여 일반선박(소형)의 통항에는 장애물로 작용하지 않고 대형선의 AIS, ECDIS 및 레이더상에 위험요소임을 알려준다.

  • PDF

해상 초단파 대역 데이터 교환 시스템을 위한 다중 접속 방식의 성능 분석 연구 (Performance Analysis of Multiple Access Protocol for Maritime VHF Data Exchange System (VDES))

  • 윤창호;조아라;김승근;임용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839-2846
    • /
    • 2014
  • AIS VDL의 과부하 방지와 새로운 해상 데이터 교환 (VDE)을 위해 VHF 대역 채널이 WRC-12에서 할당되었고, ITU-R M. 1842-1을 통해 VDE 시스템의 기술 특성이 권고되었다. ITU-R M. 1842-1에서 다중 접속 방식으로 AIS class B용 CS-TDMA를 권고하고 있으나, 선박의 속도에 따른 전송주기의 적용은 고부하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려는 VDES에 비효율적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트래픽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활성 선박국의 수에 따라 전송 주기를 결정하기 위해 모의시험을 수행하였다. 모의시험에서 수신 패킷의 수, 수신 성공률, 채널 이용률, 수신 충돌률 등의 다양한 성능을 분석하여, 활성 선박국의 수에 따라 전송 주기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성능 지표를 제시한다.

공항내 지상이동감시를 위한 DGPS 및 STDMA 연구 (A Study on DGPS and STDMA for SMGCS)

  • 유창선;남기욱;김종철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1-99
    • /
    • 2001
  • 오늘날 위성항법, 위성통신을 이용한 항공항법감시의 새로운 변화 가운데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 VDL(VHF Digital Link) Mode 4로 채택된 STDMA (Self-organized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해양분야에서는 선박위치 자동인식시스템(AIS) 및 선박운행관리시스템(VTS)에서 2002년부터 적용될 예정이고, 항공분야에서는 향후 몇 년후에는 ADS-B, SMGCS에서 응용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STDMA를 이용한 SMGCS구현을 위한 기술개발로서 사전에 측지된 기준국으로부터 실시간으로 GPS 보정값을 생성, 전송하도록 하는 실시간 DGPS기술과 동기신호에 따라 시분할 다중접속을 구현한 소프트웨어 기반의 TDMA기술을 구현하였으며 이를 연구원내에서 차량이동 실험을 수행하여 다수의 이동국간에 측위값을 상호전송함으로써 각각의 위치를 실기간으로 파악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