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방제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초

AMPK 활성화를 통한 중금속 유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비파엽의 세포 보호 효과 (Cytoprotective effect of Eriobotrya japonica L. against the iron-induced oxidative stress through AMPK activation)

  • 김민진;김영은;박선빈;배수진;박광일;박선동;김영우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9-109
    • /
    • 2024
  •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ytoprotective effect of Eriobotrya japonica L. (EJ) extract against Arachidonic acid (AA)+iron-induced oxidative stress. Methods : To confirm the cytoprotective effect of EJ against AA+iron-induced oxidative stress in HepG2 cells, it was evaluated by MTT assay, immunoblot anaylsis, and Calcein-AM/propidium iodide (PI) staining. Additionally, the mechanism of action of the cytoprotective effect was evaluated through molecular mechanisms. Results : EJ (100 ㎍/mL) inhibited Arachidonic acid (AA)+iron-induced cell death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t also inhibited AA+iron-induced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ROS production. EJ activated the LKB1-AMPK signaling pathway. Conclusions : In conclusion, EJ has the ability to protect liver cells from oxidative stress, indicating that it is related to AMPK-LKB1 signaling pathways.

온라인 드론방제 관리 정보 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online drone control management information platform)

  • 임진택;이상범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93-198
    • /
    • 2021
  • 최근 4차 산업에 대한 관심으로 농업 분야의 벼농사에서 농민의 방제에 대한 요구수준이 증가하고 농업용 방제 드론의 관심과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고농도의 농약을 살포하는 농업용 방제 드론 제품의 다양화와 드론 국가자격증 취득으로 인한 방제사의 증가로 인하여 드론 산업 분야에서 농업 분야가 급성장하고 있다. 세부 사업으로 농약 관리, 방제사 관리, 정밀살포, 방제 작업 물량 분류, 정산, 토양관리, 병충해 예찰 및 감시 등으로 방대한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효과적인 플랫폼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 분석알고리즘, 영상 분석 알고리즘, 생육 관리 알고리즘, AI 알고리즘 등 이를 통합하고 빅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델과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국내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농업 분야에서의 관리자와 농민 요구도를 만족하고 드론을 활용한 농업용 드론방제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정밀 AI 방제를 실현화시키기 위하여 온라인 드론 방제 관리 정보 플랫폼을 제안하고 실증 실험을 통하여 종합 관리 시스템 개발의 토대를 제시하였다.

벼 무경운재배(無耕耘栽培)에 있어서 효과적(效果的)인 사마귀풀(Aneilema keisak Hassk) 방제(防除) (Control of Spiderwort(Aneilema keisak Hassk) in No-tillage Rice)

  • 권오도;신해룡;박태동;구자옥;임재석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0-107
    • /
    • 1996
  • 벼 무경운재배시(無耕耘我培時) 가장 효과적인 사마귀풀 방제(防除)를 위해서 담수표면직파(湛水表面直播)와 어린모 이앙재배에서 수종(數種) 제초제(除草劑)를 공시하여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담수표면지파(湛水表面直播)에서 파종전 사마귀풀의 제초효과(除草效果)은 butachlor, pretilachlor, pretilachlor/pyrazosulfuron, bensulfuron/thiobencarb 처리에 서 7 이상으로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벼 약해(藥害)는 1정도로 경미하였다. 2. 입모수(立毛數)는 무처리의 49개/$m^2$에 비해 공시 제초제 처리에서는 6개/$m^2$ 이상이었다. 3. 파종 후 40일에 방제가(防除價)은 butachlor, pretilachlor, pretilachlor/pyrazosulfuron, bensulfuron/thiobencarb 처리에서는 95% 이상이었으나 pyrazosulfuron/molinate 처리는 23.5%로 매우 낮은 방제가(防除價)을 보였다. 4. 파종후 30일 부터 70일까지 공시제초제처리의 벼 초장은 무처리에 비해 약간 짧은 경향이나 $m^2$당 경수는 월등히 많았으며 백미수량은 무처리에서 63kg/10a였으나 pyrazosulfuron/molinate를 제외한 공시 제초제처리 공히 450kg/10a 이상이었다. 5. LGC40863은 30g ai/ha 수준 이상에서 사마귀풀 엽기에 관계없이 90% 정도, 50g ai/ha 수준 이상에서는 거의 완전 방제(防除)가 가능하였다. 6. 어린모 이앙재배에서 이앙후 15일경에는 LGC40863 30g ai/ha 수준으로 사마귀 풀의 방제(防除)가 가능하였고, 무효분얼기(無效分蘖期) 처리에서도 LGC40863 50g ai/ha 수준이면 2,4-D나 bentazon 보다 월등히 양호하였다.

  • PDF

연교의 항산화 효과 연구 (Anti-oxidant effect of forsythia suspensa on cellular damage in the chronic disease)

  • 김영은;김민진;배수진;박선빈;박선동;박광일;김영우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1-61
    • /
    • 2024
  • Objectives : This study induced oxidative stress in HepG2 cells by treating them with AA+iron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orsythia suspensa extract on this stress, as well as elucidated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its hepatoprotective effects. Methods : To confirm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FSE, HepG2 cells were induced with AA+iron to induce oxidative stress, followed by MTT assay. Additionally, the effect of FSE in reducing the increased ROS levels and mitochondrial damage induced by AA+iron in HepG2 cells was confirmed using FACS. Furthermore, western blot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FSE. Results : FSE increased the decreased cell viability induced by AA+iron. Additionally, FSE normalized the expression of apoptosis-related proteins induced by AA+iron. The elevated ROS levels in HepG2 cells induced by AA+iron were reduced by FSE, and the increase in Rh123-negative cells induced by AA+iron was attenuated by FSE. Moreover, FSE activated the protein expression of AMPK and its related phosphorylating enzymes, LKB1 and ACC. Furthermore, FSE activated YAP and its upstream phosphorylating enzyme, LATS1. Conclusions :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FSE has an inhibitory effect on oxidative stress induced by AA+iron and may have potential hepatoprotective effects.

Quinclorac 함량감소(含量減少)를 위한 혼합처방(混合處方)의 가능성(可能性) 연구(硏究) (Tank-mix Feasibility Reducing the Application Rate of Quinclorac)

  • 구자옥;한성욱;천상욱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4-18
    • /
    • 1993
  • Quinclorac의 사용량(使用量) 감소(減少)는 물론 잔유량(殘留量) 저하(低下)를 위하여 기존(旣存)의 화본과(禾本科) 속간(屬間) 선택성(選擇|生)을 갖는 molinate 및 propanil과의 혼합처방(混合處方)의 가능성(可能性) 여부를 밝히고자 온실내(溫室內) pot시험(試驗)으로 수행되었으며 피 3-4엽기(葉期)에 quinclorac 0.038. 0.075, 0.150 및 0.300kg ai/ha에, molinate는 0.190, 0.380, 0.750 및 1.500kg ai/ha을, propanil은 0.263, 0.525, 1.050, 및 2.100kg ai/ha을 각각 혼용(混用) 조합(組合)하여 경엽처리(莖葉處理)한 후 생체중(生體重)의 방제가(防除價)에 의한 상호작용(相互作用)을 해석하였다. Quinclorac과 molinate 조합처리(組合處理)에서 각 단제(單劑)의 방제가(防除價)는 표준량(標準量)에서 각각 78.1%, 26.2%에 지나지 않았으며, 조합처리(組合處理)의 방제가(防除價)는 quinclorac 0.300kg과 molinate 0.750kg 이상이 되어야만 85% 이상 방제가(防除價)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quinclorac과 molinate 조합처리(組合處理)에서 최소한의 상가적(相加的) 효과(效果)를 기대할 수 있었다. Quinclorac과 molinate 조합처리(組合處理)에서 각 단제(單劑)의 방제가(防除價)는 표준량(標準量)에서 각각 98.1%, 61.7%로서 두 약제간(藥劑間) 대등(對等)한 정도의 방제력(防除力)을 보였으며 조합처리(組合處理)에 있어서도 Quinclorac 0.150kg만 처리하고 propanil의 모든 처리수준(處理水準)이 첨가(添加)됨으로써 85% 이상의 방제가(防除價)를 보였다. 따라서 quinclorac과 propanil의 조합(組合)에서 부분적(部分的)으로 협력적(協力的)인 상호작용(相互作用)이 있었다. 결국 quinclorac 사용량(使用量) 감소(減少)를 위한 조합중(組合中) quinclorac과 propanil의 조합(組合)이 quinclorac과 molinate의 조합(組合)보다 더 협력적(協力的)인 상호작용(相互作用)을 나타냈다.

  • PDF

벼 직파재배에 있어서 잡초성벼 및 피 방제체계 확립에 관한 연구 - I. 담수표면산파 재배시 앵미와 피에 대한 oxadiazon, molinate, thiobencarb의 파종전 처리 효과 (Establishment of Control System of Weedy Rice(Oryza sativa) and Barnyardgrass(Echinochloa crus-galli) in Direct-seeded Rice - I. Effect of Oxadiazon, Molinate, Thiobencarb on Control of Red Rice and Barnyardgrass in Water-seeded Rice)

  • 양환승;김진기;경은선;김종석;마상용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6-115
    • /
    • 1998
  • 담수표면산파재배시 파종 7~10일전에 oxadiazon, molinate, thiobencarb를 처리하여 앵미와 피에 대한 방제 효과 및 재배벼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oxadiazon 처리구 중에 특히 72g ai/10a이상의 고약량구에서는 환경조건에 따라 초기 입모지연 등의 약해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으나, 이는 경시적으로 회복되어 그후의 생육에는 지장이 없었다. 따라서 약해에 대한 안전성면에서 60g ai/10a 이하가 적정량으로 생각된다. Molinate와 thiobencarb 처리구는 각각 225~400, 210~420g ai/10a 약량수준으로 처리하였는데 거의 약해가 없었다. 앵미에 대한 효과는 제초제의 종류 및 약량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oxadiazon의 경우는 처리량이 60g ai/10a이상에서 비교적 우수한 방제율을 나타냈다. Molinate와 thiobencarb는 약량이 증가되면서 앵미의 방제효과는 증가되었으며, 두 약제 모두 300g ai/10a이상의 약량에서 비교적 양호한 방제율을 나타냈다. 피에 대한 효과는 공시 제초제 모두 90~100% 범위의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실험을 실시한 모든 포장에서 공시한 3가지의 파종전 제초제를 처리하여 약해로 인한 수량감소를 보인 포장은 한군데도 없었다. 폿트실험에서 파종 1일 후 배수한 경우가 착근할 때까지 계속 담수상태를 유지한 경우보다 약해도 적고 입모수도 많았으며 초기생육도 양호하였다.

  • PDF

신규 benzenesulfonylurea 계 화합물 KSC-13906의 제초활성 (Herbicidal activity of a new benzenesulfonylurea compound, KSC-13906)

  • 황인택;최정섭;고영관;최용석;김만호;김대황;조광연
    • 농약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2
    • /
    • 1999
  • 유망한 신규 합성 제초제 후보화합물 KSC-13906의 제초 활성과 특성을 온실 시험과 야외 폿트 및 포장 시험을 통하여 조사한 결과, KSC의 살초 스펙트럼은 넓어 사마귀풀과 밭뚝외풀을 제외한 7초종(피, 올챙이고랭이, 물달개비, 너도방동사니, 올미, 올방개, 가래, 벗풀)에 대하여 $2.5{\sim}5$ g ai/ha의 처리량에서도 90% 이상 방제하였다. 또한 기존의 sulfonylurea계 제초제들과는 달리 특이적으로 3엽기까지의 피에 대한 방제효과가 우수하였다. 벼에 대한 약해시험 결과 직파벼 3엽기 이후, 벼 이앙 10일 이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야외 폿트 시험결과 $3{\sim}5$ g ai/ha로 5 DAT에 처리하였을 때 발생초종을 완전히 방제하였으며, 포장시험에서는 3 g ai/ha의 KSC-13906을 이앙 후 5, 10, 15일에 처리하여도 잡초방제효과는 모두 90% 이상으로 우수하였다. 특히 피에 대한 방제효과는 100%로 나타났으며, 대조약제 PYR의 21 g ai/ha와 유사한 잡초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다년생 잡초중에서 올방개에 대한 살초효과는 처리시기에 관계없이 탁월하였다. KSC-13906을 직파벼에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제형태를 변화시키거나 약해경감제를 사용하여 직파벼에 대한 안전성을 제고시키지 않으면 안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신규 시험화합물 KSC-13906의 직파벼에 대한 약해를 제거시킬 수 있다면 처리 폭이 넓은 강력한 신규 논제초제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관개방제의 효력예측을 위한 시뮬레이션 (Simulation of Chemigation Efficacy)

  • 구영모;해롤드썸너;래리챈들러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1권1호
    • /
    • pp.10-20
    • /
    • 1996
  • 관개방제 기술의 변수 및 효력예측을 위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유화/산화액적의 부착율, 유충의 추계적 난보운동 및 무작위 농약흡수 이론을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밤나방 유충, Spodaptera frugiperda (J.E. Smith) (Lepidoptera : Noctuidae)을 이용한 방제효력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론치와 실험치는 서로 일치되었다. 방제율은 농약유효성분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크로포(chlorpyrifos) 약제의 표준 권고량인 670g[AI]/ha에서 완전방제가 예상되었다. 유화액적(emulsion)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산화액적(dispersion) 보다 작물잎 표면에 부착이 어려워 낮은 방제율을 나타내었다. 액적직경이 방제효력에 미치는 영향은 목화작물에 대하여 낮은 약제량에서 뚜렷하게 나타났고, 그 영향은 약제량이 증가할수록 목화 및 옥수수 모두에서 저하되었다. 엽형계수는 작물의 엽상구조에 따른 액적의 부착 및 계류에 미치는 영향을 의미한다. 고찰된 관계방제기술의 영향요소에 대한 이해는 농약사용의 감소 및 효력의 증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PDF

천연물 유래 d-Limonene의 가시박 방제효과 (Herbicidal Activity of d-Limonene to Burcucumber (Sciyos angulatus L.) with Potential as Natural Herbicide)

  • 최정섭;고영관;조남규;황기환;구석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63-272
    • /
    • 2012
  • 천연물에서 유래한 제초활성 후보물질 d-limonene에 대한 주요 문제 잡초와 환경위해 잡초인 가시박에 대한 살초력 평가를 통해 효율적 잡초 관리를 위한 친환경 잡초방제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d-limonene은 온실조건에서 발아전 토양처리 효과는 없었고, 경엽처리에서는 100kg ai $ha^{-1}$ 이상 농도에서 매우 우수한 방제효과를 보였으나, 작물에 대한 선택성은 전혀 없었다. 야생에서 왕성하게 생육하는 환경 위해잡초 가시박에 대해서도 140kg ai $ha^{-1}$ 이상 농도에서 살포물량에 비례하여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어 천연 생화학 제초제로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향후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산채밭의 잡초발생(雜草發生) 양상(樣相) 및 방제(防除)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Occurrence and Control of Weeds in Edible Wild Greens Field)

  • 이인용;박재읍;박태선;유갑희;유범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3-68
    • /
    • 1998
  • 산채류(山菜類)중 달래, 머위, 참취밭에 발생하는 일년생(一年生) 잡초(雜草)를 방제(防除)하기 위하여 napropamide 21.8% 유제(乳劑) nitralin 50% 수화제(水和劑) 그리고 pendimethalin 31.7% 유제(乳劑)를 약량별(藥量別)로 처리(處理)하였을 때 잡초방제(雜草防除) 효과(效果)와 산채류(山菜類)에 나타나는 반응(反應)을 조사(調査)하였다. 1. 시험포장(試驗圃場)에서는 피, 바랭이, 여뀌, 명아주, 털진득찰, 깨풀, 속속이풀, 닭의장풀 등 9종(種)의 잡초(雜草)가 발생(發生)하였으며, 그중 피, 바랭이, 여뀌, 명아주, 털진득찰 등이 우점(優占)하였다. 2. 잡초발생(雜草發生)의 다양화(多樣化) 정도(程度)를 나타내는 Simpson 지수(指數)는 0.26~0.30로 낮아 잡초발생(雜草發生) 초종(草種)이 다양(多樣)하였다. 3. 공시약제(供試藥劑)의 잡초방제(雜草防除) 효과(效果)는 napropamide유제(乳劑)(21.8%) 872g(ai/ha) 처리구(處理區)는 81.4%~85.6%이고, nitralin수화제(水和劑)(50%) 1,000g(ai/ha) 처리구(處理區)는 79.4%~82.8%, pendimethalin유제(乳劑)(31.7%) 634g(ai/ha) 처리구(處理區)에서는 86.8%~92.2%로서 작물별로 큰 차이가 없었다. 4. 공시약제(供試藥劑)에 대한 약제(藥劑)의 반응(反應)은 napropamide유제(乳劑)에서는 발아(發芽) 혹은 출아지연(出芽遲延)으로 인하여 생장(生長)이 억제(抑制)되는 1~3정도(程度)의 약해(藥害)가 나타났으며, nitralin수화제(水和劑)에서도 그 약해 증상과 정도가 napropamide유제(乳劑)와 유사(類似)하였으며 pendimethalin유제(乳劑)처리구의 달래와 머위는 생육지연(生育遭遲延)에 의한 1~2의 약해가 발현(發現)된 반면에 참취는 잎의 기형발현(畸形發現)으로 인한 2~3의 약해가 유발(誘發)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