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E-albumin

검색결과 316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 of Level of Concentrate Supplement on Blood Biochemical Changes and Testosterone Level in Crossbred (Bos indicusi×Bos taurus) Calves

  • Santra, A.;Agarwal, N.;Kamra, D.N.;Pathak, N.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6호
    • /
    • pp.881-885
    • /
    • 1999
  • A growth study was conducted for 238 days in twenty crossbred cattle calves to observe the effect of dietary concentrate supplement on blood biochemical changes and serum testosterone levels. The calv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 B, C and D) of five animals each. Calves of groups A and B were fed 60% and 30% concentrate, respectively, supplying equal amount of protein along with wheat straw. The calves in group C received 30% concentrate in their diet for 1 to 119 days of experiment and 60% concentrate during 120~238 days of experiment and vice versa in group D. Mean DM and TDN intak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A than group B, C or D, resulted in higher daily growth rate in the former group. Blood glucose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A where as blood urea, hemoglobin, total protein, albumin, and globulin levels remained unchanged among the groups. Serum testosterone level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age of the animals but the level remained same in the animals of group A, B, C and D. A 30% concentrate diet does not have any severe advers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crossbred cattle.

경기 일부 지역 중년기 농촌주민의 고혈압에 따른 건강상태와 식생활관련 건강행동의 비교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nd Dietary Health Practice with or without Hypertension of Middle-aged Rural Adults in Kyunggi Province)

  • 이승교;박양자
    •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1-143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health status and diery health practice of middle-aged rural adults with or without hypertension. Eighty three subjects (mean age : 55.6$\pm$11.9), were composed of 22 males and 61 females. Data collection includes serum and urine collections for health status and the questionnaire including dietary habit of salt, sugar, dietary fiber and fat intake for dietary health practi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subjects were composed 23 persons of under 55 year-old group and 19 persons of over 65 year-old group. Of the 83 subjects, 28.9% were recognized hypertension and 33.7% were measured hypertension by systolic blood pressure. In the aspects of dietary health practice, hypertension group showed that smoking and weight control practice and were significantly low score, alcohol and dietary fiber intake were high score. Hypertension group showed higher frequency in diabetes mellitus and lower in gastrointestinal complain and liver disease. than normal blood pressure group. Serum, TG, bilirubin, BUN and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hypertension than normal blood pressure group. The mean values of serum albumin and urinary creatinine excretion in hypertension group werw significantly lower. The consciousness of health status was lower in hypertension group and also attributed to worse personal feeling health by modified CMI test.

  • PDF

위암환자의 피로와 영양상태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and Nutritional Status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 김경희;한영인;손수경
    • 종양간호연구
    • /
    • 제5권2호
    • /
    • pp.87-96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and nutritional status in gastric cancer Design. A correlational and crossectional study design was used. Method: Fatigue was measured using the Revised Piper Fatigue Scale. The parameters for nutritional status consisted of BMI, Hb, Hct, total protein, albumin and lymphocyte count. Result: The mean score of fatigue was $94.31{\pm}22.08(mean\;average\;4.48{\pm}1.00)$. The subdimensional scores of fatigue revealed $34.15{\pm}8.76$ for behavior/severity, $22.00{\pm}7.93$ for cognitive/mood, $21.67{\pm}5.56$ for sensory, and $20.81{\pm}6.69$ for affective. And the level of BMI, Hb, & Hct were under the normal ranges. In the ancillary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fatigue scores by the groups of present diet(F=3.343, P=.026). Age, types of treatments, period after diagnosis and weight change were related to nutritional status.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atigue and nutritional status(r=-.371, P=.004). Conclusion: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and nutritional status, nurses can identify the risk group most vulnerable to fatigue and malnourishment in order to provide appropriate interventions for them.

  • PDF

정형외과 수술 후 섬망 발생요인 분석 (Predictors of Delirium in Patients after Orthopedic Surgery)

  • 정미혜;윤선옥;박정희;추순옥;오소영;김미영
    • 임상간호연구
    • /
    • 제17권3호
    • /
    • pp.443-454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of delirium in patients after orthopedic surgery. Methods: Participants were 121 orthopedic surgery patients from one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located in Seoul. The instrument of Delirium Observation Screening Scale (DOS) developed by Schuurmans et al. (2003) was utilized.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st, 2010 to March 31st, 2011 and analyzed using SPSS 12.0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delirium in patients after orthopedic surgery was occurred in 9 (7.4%) out of 121 patients. Several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the delirium occurrence age, admission route, preadmission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preadmission hearing aid use, preadmission walking degree, diagnosis, type of surgery, Intensive Care Unit (ICU) stay after surgery, restraint, drainage tube, time of admission to surgery, preoperative albumin and preoperative sodium. Preadmission ADL, preoperative sodium and time of admission to surgery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delirium occurrence. Conclusion: Study results may help nurses predicting and detecting delirium early and providing preventive measures to the patients with high risk of delirium after orthopedic surgery.

Biomarkers for Evaluating the Inflammation Status in Patients with Cancer

  • Guner, Ali;Kim, Hyoung-Il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9권3호
    • /
    • pp.254-277
    • /
    • 2019
  • Inflammation can be a causative factor for carcinogenesis or can result from a consequence of cancer progression. Moreover, cancer therapeutic interventions can also induce an inflammatory response. Various inflammatory parameters are used to assess the inflammatory status during cancer treatment. It is important to select the most optimal biomarker among these parameters. Additionally, suitable biomarkers must be examined if there are no known parameters. We briefly reviewed the published literature for the use of inflammatory parameters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cancer. Most studies on inflammation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host characteristics, effect of interventions, and clinical outcomes. Additionally, the levels of C-reactive protein, albumin, lymphocytes, and platelets were the most commonly used laboratory parameters, either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laboratory parameter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e immune parameters are classically examined using flow cytometr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techniques. However, gene expression profiling can aid in assessing the overall peri-interventional immune status. The checklists of guidelines, such as STAndards for Reporting of Diagnostic accuracy and REporting recommendations for tumor MARKer prognostic studie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studies to investigate the inflammatory parameters. Finally, the data should be interpreted after adjusting for clinically important variables, such as age and cancer stag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nursing diagnoses of pediatric patients hospitalized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a single-center retrospective study in South Korea

  • Sung-Yoon Jo;Kyung-Sook Bang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9권3호
    • /
    • pp.218-228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n pediatric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in a children's hospital over the past 5 years, with a specific focus on comparing the features observed between Crohn's disease (CD) and ulcerative colitis (UC). Additionally, it aimed to examine the nursing diagnoses given to patients.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Korean pediatric patients under 18 years of age who were diagnosed with IBD and hospitalized at a children's hospital in Seoul, South Korea, from January 2017 to December 2021. Results: The number of pediatric patients diagnosed with IBD steadily increased. This finding was particularly prominent for CD patients, the majority of whom were male. Pediatric patients with CD had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abdominal pain and perianal lesions, while pediatric patients with UC had a higher rate of bloody stool. Laboratory findings indicated that CD patients had higher levels of inflammatory markers and lower albumin levels than UC patients. The nursing diagnoses given during hospitalization mostly related to safety and protection, physical comfort, and gastrointestinal functio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Korean pediatric IBD patients, enabling early detection and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nursing care should not only address patients' physical needs but also their psychosocial needs.

Infliximab: 불응성 크론병 치료법으로서의 유용성과 Top-down 관해 유도 요법으로서의 가능성 (Infliximab: The Benefit for Refractory Crohn Disease and Top-down Induction Therapy in Severe Crohn Disease)

  • 이지현;이해정;박성은;최연호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1권1호
    • /
    • pp.28-35
    • /
    • 2008
  • 목 적: 종양 괴사 인자(TNF-${\alpha}$)에 대한 단 클론 항체인 infliximab으로 소아의 난치성 크론병에서의 치료와 관해 유도 치료제로서의 효과에 대한 치료 경험을 보고 하고자 한다. 방 법: 2001년 3월부터 2007년 8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크론병으로 진단 받은 소아 청소년 중 기존 약제에 관해 유도되지 않는 불응성 크론병(스테로이드 의존성 포함)과 중증 활성 크론병을 가진 16명에서 infliximab (Remicade$^{(R)}$) 5 mg/kg를 관해 유도(0, 2, 8주) 주입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8주 간격의 유지 치료를 시행하였고 누공성 크론병의 경우 누공의 상태에 따라 비정기적으로 주입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특징 및 치료 전 후의 질병 활성도, Hct, ESR, CRP, albumin을 paired t 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16명의 남녀비는 13/3이고 중앙 연령은 13세 (21개월~15세)였다. 투여 적응증은 불응성 크론병 7명(스테로이드 의존성 3명 포함), 중증 활성형 크론병의 관해 유도 7명, 누공성 크론병 2명이었다. Infliximab 투여 횟수는 평균 5.19${\pm}$3.41회(3~15회)였고 크론병 진단 후 infliximab 치료 시행까지의 기간 중앙값은 6.5개월(1개월~54개월)이었다. 환자들의 infliximab 투여 전PCDAI (pediatric crohn disease activity index)는 평균 34.19${\pm}$14.96이었으며 마지막 투여 후 2~4주 이내 PCDAI는 6.88${\pm}$10.31로 투여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p=0.000). 다른 혈액학적 표지자로 ESR (p=0.000), serum albumin (p=0.016), CRP (p=0.009)가 투여 전후로 의미 있는 호전을 보였으며 적혈구 용적률 (hematocrit)의 호전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75). 고식적인 치료에 관해 유도 되지 않았던 난치성 환자 4명 중 2명에서 관해 유도가 가능하였으며 스테로이드 의존성 환자 3명 중 2명에서 스테로이드 중단 1명에서 스테로이드 감량이 가능하였다. 누공이 동반되거나 중등도 이상의 크론병에서 스테로이드를 포함하는 다른 면역 조절제 사용 전에 top-down 요법을 시행한 7명 모두에서 6주 이내에 관해가 되었다. 난치성 누공 치료에서도 10명 중 9명에서 호전되었다. 결 론: Infliximab을 사용하여 소아 불응성 크론병에서 관해 유도와 유지 및 스테로이드 감량 또는 중단이 가능하였으며 중등도 이상의 크론병에서 top-down 관해 요법으로도 비교적 효과적이었다. 앞으로 장기간의 추적 관찰을 통한 효과 판정 및 부작용 관찰을 요한다.

  • PDF

상부 위암에 대한 근위부 위절제술 뜻 위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의 영양상태와 삶의 질 비교 (Assessment of Nutrition Status and Quality of Life after Curative Resection in Patients with Upper Gastric Cancer: Comparison of Total Gastrectomy and Proximal Gastrectomy)

  • 이현수;박종현;최훈;김재희;민락기;이상일;노승무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3호
    • /
    • pp.152-157
    • /
    • 2005
  • 목적: 상부위암의 치료로 위전절제술이 보편적으로 시행된다. 그러나 초기 의 상부위암에 대한 적절한 절제범위는 지금까지도 논쟁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상부위암의 치료에서 위전절제술 및 비절제 루앙와이식 식도공장문합술을 시행한 환자와 근위부 위절제술 및 식도위문합술을 시행한 환자의 영양상태와 삶의 질을 각각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상부위암으로 근치적 수술을 시행받고 재발이 없는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위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가 25명, 근위부 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가 25명이었다 그 중 위전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8명과 근위부 위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4명은 사망, 조사 거절 등의 이유로 연구에서 제외되었다. 영양상태는 체중, 알부민, 혈색소, 총 단백량을 통해 조사되었다. 위 장관기능과 삶의 질은 Cuschieri grade, modified Visick grade로 조사되었다. 결과: 연령과 수술 전 알부민의 차이를 보정하고 비교하였을 때 근위부 위절제술은 위전절제술에 비해 낮은 체중장소(P=0.038), 알부민 증가(P=0.49)와 modified Visick grade에서의 좋은 결과(P=0.016)을 보였다. 그러나 수술 전과 후의 혈색소변화(P=0.165), 총단백량변화(P=0.435)와 Cuschieri grade (P=0.064)에서 양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근위부 위절제술은 낮은 체중감소와 증가된 알부민 양을 보여 영양상태가 비교적 좋았고 더 좋은 modified Visick grade을 보여 위전절제술에 비해 더 나은 삶의 질을 나타내었다.

  • PDF

경관급식 중인 입원환자의 영양상태 평가와 영양 보충제 투여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utritional Assessment and the Effects of Enteral Nutritional Supports of Tube Feeding In-patients)

  • 윤숙영;김성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855-864
    • /
    • 1996
  • 신경외과 및 신경과에 입원하여 경관급식 중인 환자에 대하여 영양상태를 평가하고자 식이조사 및 생화학적 혈액분석을 행하였고, 또한 그 중 영양 섭취량이 부족한 성인 경관급식 환자들을 대상으로 경관 유동식의 보충에 따른 영양상태의 개선 효과를 실험하였다. 본 연구의 비위관 경관급식 환자는 전체 83명 (남 49명, 여 34명)으로 96.4%가 의식상태가 저하되어 있었으며, 경관급식 기간이 6주 이상인 환자가 37.3%이었다. 경관급식 투여방법은 모두 Bolus 투여법 이었으며, 튜브의 종류는 16~18Fr.의 Silicon관 및 Polyvinyl chloride 관을 사용하였다. 식이종류는 표준경관 유동식으로는 병원조제용 혼합 유동식과 상업용 유동식을 이용하였고, 설사나 구토 등의 부작용과 낮은 적응도에 의해 표준경관 유동식을 전 유동식, 미음 등과 병행하거나, 전 유동식만으로 처방하기도 하였다. 경관 유동식의 1일 투여 열량은 남자가 평균 1589.1kcal, 여자는 1315.0kcal였고, 열량대 질소의 비율은 139:1로 양호하였다. 1회 투여용량은 평균 353.4ml로, 350m1이상이 37.3% 에 이르렀으며 용량별 열량은 평균 0.77kcal/m1이었다. 생화학적 조사결과 전체 환자 중 36.1~75.9%가 각 검사치에서 영양결핍 상태이었으며, 특히 혈청 iron은72.3%, hemoglobin은 73.5%, hematocrite치는 75.9%가 결핍상태를 보였다. 열량 및 단백질 섭취량과 생화학적 검사치와는 양( + )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연령은 혈청 albumin 및 혈청 transferrin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경관급식 기간은 total potein, 혈청 albumin, hemoglobin, hematocrite, 총 임파구수 등과 양( + )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경관급식 기간이 길어질수록 열량 및 단백질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7. 경관 유동식 보충투여군과 대조군에 대한 0주와 6주의 생화학적 변화상태 비교에서 total protein, 혈청 iron, 총 임파구수가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p<0.05), 영양보충 투여군은 혈청 transferrin, 혈청 iron, 총 임파구수가 기간이 경과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경관급식 환자들에 대해 경관급식기간을 고려하고, 식이처방 및 유동식의 종류에 적합한 튜브를 선택해야하며, 적절한 투여용량을 결정하는 등 투여방법과 투여경로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경관급식 초기단계에는 질병으로 인한 체내 신진대사의 증가나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 또는 구토나 설사 등의 부적응 등으로 적절한 영양섭취가 어려운 상태이므로 영양판정을 통하여 영양소 요구량을 계획하여 유동식을 보급함으로서 부작용은 줄이며 적절한 영양을 공급하여 영양 결핍에 대처하여야 한다.

  • PDF

결핵으로 입원한 환자의 병원내 사망과 관련된 인자 (Predictors on In-hospital Mortality Following In-hospital Diagnosis of Tuberculosis)

  • 신수린;김창환;김성은;박용범;이재영;모은경;김철홍;엄광석;장승훈;김동규;이명구;정기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3호
    • /
    • pp.233-238
    • /
    • 2006
  • 배 경: 근치적 항결핵제의 유용에도 불구하고, 결핵으로 사망하는 환자는 증가하고 있다. 다제내성결핵과 HIV 감염이 높은 사망률과 관련되어 있지만, HIV 감염률이 낮은 지역에서는 다른 요소들이 사망과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결핵으로 입원한 환자에서 병원내 사망과 관련된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1월 1일부터 2004년 12월 31일까지 한림대학교 병원에 결핵으로 확진되어 치료한 신환에서 사망한 환자 27명과 호전되어 퇴원한 환자 중 나이와 성별을 짝지은 54명을 대조군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결 과: 사망군의 평균 나이는 $60{\pm}16$세이며, 남자가 70%였다. 대조군에 비해 사망군에서 혈색소, 알부민과 콜레스테롤이 유의하게 낮았으며(p <0.05), 혈액요소질소, AST, C-reactive protein는 유의하게 높았다(p <0.05). 사망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결핵의 기왕력은 차이가 없었으며, 방사선학적 중증도, 동반질환, 내원시 호흡곤란, 응급실을 통한 입원과 초기 중환자실 치료가 유의하게 높았다(p <0.05).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알부민과 초기 중환자실 치료가 독립적으로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밝혀졌다(p <0.05). 결 론: 심한 영양결핍을 동반한 중증 결핵 환자는 사망에 고위험군으로 결핵 환자의 조기 발견 및 치료에 개선이 필요하며, 효율적인 공공 보건 교육, 검진정책과 환자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