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SV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교육용 임베디드 네트워크 실습 장비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Embedded Network System)

  • 김대희;정중수;박희정;정광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23-2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임베디드 네트워크 기술 교육용 시스템 설계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교육용 임베디드 네트워크 실습장비는 사용자가 인터넷 환경에서 네트워크 구성과 임베디드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실습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설계 및 구현되었다. 네트워크 기술 교육용 시스템 설계를 임베디드 환경에서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바탕으로 제시하였다. 개발 환경으로는 PXA255를 CPU로, 디버깅 환경은 ADSv1.2를, RTOS는 uC/OS276를, 개발 언어는 C언어를 사용하였다. 교육 환경으로는 Ping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실습생으로 하여금 컴파일 및 로딩이후 데모 동작을 우선 실행하도록 하였다. 이후 이의 데모 기능의 프로그래밍 기술을 교육하기 위해 단계별로 교육시키도록 하였다. 즉, ARP 프로그래밍 기법을 다룬 후 IP 기반위에서 ICMP 프로그래밍 기법의 프로그래밍을 완성하도록 하였다.

UC/OS을 사용하여 IEEE 802.11 무선 맥 프로토콜 에뮬레이션의 설계 및 개발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IEEE 802.11 Wireless MAC Protocol Emulation Using UC/OS System)

  • 왕지엔;박지민;정중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5-246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UC/OS 시스템을 사용하는 IEEE802.11 무선 MAC프로토콜의 처리과정중탐색, 인증, 결합 과정을 이더넷으로 동작하는 하드웨어 위에 에뮬레이션하였다. 에뮬레이션 환경은ADSv1.2을 사용하고, RTOS는UC / OS를, 사용언어는 C언어를 활용하였다. 검증과정으로는 이더넷으로 구동되는AP와 단말 하드웨어에 각각PC를 하이퍼 터미널으로 접속하여 탐색, 인증, 결합과정에 해당하는 절차를 수행하였다.

  • PDF

명료발화와 보통발화에서 파킨슨병환자 음성의 켑스트럼 및 스펙트럼 분석 (Characteristics of voice quality on clear versus casual speech in individuals with Parkinson's disease)

  • 신희백;심희정;정훈;고도흥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0권2호
    • /
    • pp.77-8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Parkinsonian speech, with respect to different utterance conditions, by employing acoustic/auditory-perceptual analysi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5 patients (M=7, F=8) with Parkinson's disease who were asked to read out sentences under different utterance conditions (clear/casual). The sentences read out by each subject were recorded, and the recorded speech was subjected to cepstrum and spectrum analysis using Analysis of Dysphonia in Speech and Voice (ADSV). Additionally,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of the recorded speech was conducted with respect to breathiness and loudness. Results indicate that in the case of clear speech,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epstral peak prominence (CPP), and a decrease in the L/H ratio SD (ratio of low to high frequency spectral energy SD) and CPP F0 SD values. In the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a decrease in breathiness and an increase in loudness were noted. Furthermore, CPP was found to be highly correlated to breathiness and loudness. This provides objective evidence of the immediate usefulness of clear speech intervention in improving the voice quality of Parkinsonian speech.

식도발성화자 음성의 spectral & cepstral 분석 (Spectral and Cepstral Analyses of Esophageal Speakers)

  • 심희정;장효령;신희백;고도흥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6권2호
    • /
    • pp.47-5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pectral versus cepstral measurements in esophageal speakers. The comparison between the measurements in thirteen male esophageal speakers w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of thirteen normal speakers using the sustained vowel /a/. The mai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a) the CPP and L/H ratio of the esophage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b) the CPP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pectral parameters such as jitter, shimmer, NHR and VTI, and (c) the ROC analysis showed that the threshold of 10.25dB for the CPP achieved a good classification for esophageal speakers, with 100% perfect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us, it was known that cepstral-based acoustic measures such as CPP, may be more reliable predictors than other spectral-based acoustic measures such as jitter and shimmer. And it was found that cepstral-based acoustic measures were effective in distinguishing esophageal voice quality from normal voice quality.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baseline related to speech characteristics in voice rehabilitation with laryngectomees.

음성 신호 분류에 따른 장애 음성의 변동률 분석, 비선형 동적 분석, 캡스트럼 분석의 유용성 (The Utility of Perturbation, Non-linear dynamic, and Cepstrum measures of dysphonia according to Signal Typing)

  • 최성희;최철희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6권3호
    • /
    • pp.63-72
    • /
    • 2014
  • The current study assessed the utility of acoustic analyses the most commonly used in routine clinical voice assessment including perturbation, nonlinear dynamic analysis, and Spectral/Cepstrum analysis based on signal typing of dysphonic voices and investigated their applicability of clinical acoustic analysis methods. A total of 70 dysphonic voice samples were classified with signal typing using narrowband spectrogram. Traditional parameters of %jitter, %shimmer, and signal-to-noise ratio were calculated for the signals using TF32 and correlation dimension(D2) of nonlinear dynamic parameter and spectral/cepstral measures including mean CPP, CPP_sd, CPPf0, CPPf0_sd, L/H ratio, and L/H ratio_sd were also calculated with ADSV(Analysis of Dysphonia in Speech and VoiceTM). Auditory perceptual analysis was performed by two blinde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ith GRBAS. The results showed that nearly periodic Type 1 signals were all functional dysphonia and Type 4 signals were comprised of neurogenic and organic voice disorders. Only Type 1 voice signals were reliable for perturbation analysis in this study. Significant signal typing-related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acoustic and auditory-perceptual measures. SNR, CPP, L/H ratio values for Type 4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other voice signals and significant higher %jitter, %shimmer were observed in Type 4 voice signals(p<.001). Additionally, with increase of signal type, D2 value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more complex and nonlinear patterns were represented. Nevertheless, voice signals with highly noise component associated with breathiness were not able to obtain D2. In particular, CPP, was highly sensitive with voice quality 'G', 'R', 'B' than any other acoustic measures. Thus, Spectral and cepstral analyses may be applied for more severe dysphonic voices such as Type 4 signals and CPP can be more accurate and predictive acoustic marker in measuring voice quality and severity in dysphonia.

모음 유형과 표준문단의 문장 위치가 음성장애 환자의 청지각적 및 켑스트럼 및 스펙트럼 분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vowel types and sentence positions in standard passage on auditory and cepstral and spectral measures in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 최미현;최성희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81-90
    • /
    • 2023
  • 청지각적 평가 및 음향학적 분석은 음성평가를 위해 임상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해오고 있다. 본 연구는 음성장애 환자의 청지각적 및 음향학적 측정 시 말 과제 효과를 조사하고자 한다. 음성장애로 진단받은 총 22명의 환자로부터 모음연장발성(/a/, /e/, /i/, /o/, /u/, /ɯ/, /ʌ/)과 연속구어('가을'표준문단의 9개 하위문장)를 녹음하였다. 음성장애 평가 및 치료 경험이 있는 2명의 음성언어치료사가 맹검 및 무작위 음성 샘플을 사용하여 GRBAS('G', 'R', 'B', 'A', 'S')척도 및 CAPE-V('OS', 'R', 'B', 'S', 'P', 'L')를 사용하여 청지각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ADSV(analysis of dysphonia in speech and voice model)를 이용하여 켑스트럼 및 스펙트럼 측정치를 구하였다. 모음 유형에 따라 GRBAS 척도에서 'B'를 제외하고 청지각적 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CAPE-V에서는 'OS', 'R', 'B'에 영향을 미쳤다(p<.05). CPP 및 L/H ratio 는 모음 유형과 문장 위치의 영향을 받았다. 표준문단의 CPP값은 모든 모음에서 'G', 하위 9문장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 관계가 나타났고, 특히, /e/모음(r=-.739)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두 번째 문장의 CPP는 모든 모음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CAPE-V는 말 자극에 따라 GRBAS보다 청지각적 평가에 더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B' 척도, CPP, L/H ratio는 모음 유형과 자음을 포함한 문장 위치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음성 장애 환자의 음성 평가에서 모음을 사용할 때는 /a/뿐만 아니라 ' 기식성'음질과 음향적으로 상관성이 높은 /i/모음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또한 /e/모음은 한국 표준문단 '가을' 및 하위 문장들과 음향적으로 상관성이 높았으므로 문단 대신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음성장애 신호들이 대부분 비주기적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CPP와 함께 표준문단 중 가장 음향적으로 상관성이 높은 두 번째 문장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말과제가 청지각적 평가 및 음향학적 측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임상적 증거를 제공하며, 이는 음성장애 환자의 음성 평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