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L function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21초

뇌졸중 환자의 낮병원 프로그램이 도구적·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ADL·K-IADL and Quality of life in Day Hospital Program for Stroke Patients)

  • 박창식;송병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267-277
    • /
    • 2012
  • 본 연구는 낮병원 프로그램을 받은 뇌졸중 환자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삶의 만족도 중 어떤 항목이 도구적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만족도에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지 인과 관계 분석을 하였다. 국립재활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실험군 41명과 대조군 41명을 선정하여 도구적 일상생활활동수행능력을 평가하고 삶의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도구적 일상생활활동수행능력 비교에서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높은 기능을 보였으며, 삶의 만족도 비교에서도 모든 항목에 대해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K-ADL과 K-IADL 및 삶의 만족도에 일반적인 특성 항목 중 어떤 항목이 영향을 주는지 알아 본 결과 K-ADL과 K-IADL 모두 연령, 경제상태 순으로 나타났으며, 삶의 만족도에서는 경제상태, 학력, 혼인상태, 직업유무, 일상생활시 조력자 유무 순으로 나타났다. K-ADL과 K-IADL에 삶의 만족도 항목 중 어떤 항목이 영향을 주는지 알아 본 결과 K-ADL은 통증, 사회기능, 정신건강, 신체적 역할 순으로 나타났으며 K-IADL에서는 신체적 역할제한이 가장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뇌졸중 장애인들이 병원에서 재활치료가 끝난 이후에 신체적 기능을 유지하고 이차 장애를 예방하며 사회통합과 삶의 만족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지속적인 재활치료가 강조되어야함을 알 수 있었다.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이용이 기능상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the Functional Status Changes of LTC(Long-Term-Care) Services)

  • 현경래;이선미
    • 한국노년학
    • /
    • 제32권2호
    • /
    • pp.593-609
    • /
    • 2012
  • 이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시행 4주년을 맞이하는 현 시점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자의 기능상태 변화와 그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8년 8~9월 당시 장기요양 등급(1~3등급)을 받은 수급자 가운데 1년 후인 2009년 8~9월에도 장기요양 인정조사를 받은 17,652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2009년의 기능상태가 2008년과 비교해 전체 항목에서 개선되었으며, 특히 일상생활기능, 행동변화, 재활, 수단적 일상생활기능, 인지기능, 그리고 간호처치 항목 순으로 개선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대상자의 기능상태 변동요인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먼저 시설서비스를 이용한 경우 1등급에서는 재활, 2등급에서는 일상생활기능 항목의 기능상태가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재가서비스 중 방문요양 급여를 이용한 경우 1등급에서는 일상생활기능, 2등급에서는 일상생활기능과 재활, 3등급에서는 일상생활기능, 인지기능, 행동변화 항목에서 기능상태가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또한 주·야간보호 급여를 이용한 경우는 1등급에서 일상생활기능, 수단적 일상생활기능, 행동변화, 재활, 2등급에서는 행동변화, 그리고 3등급에서는 인지기능, 행동변화 항목에서 기능상태가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끝으로 단기보호 급여를 이용한 경우는 3등급에서만 행동변화 항목의 기능상태가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통해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자는 그들의 등급과 이용하는 장기요양 서비스에 따라 기능상태 개선 효과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자들의 실질적인 기능상태 개선을 위해서는 수급자의 건강 및 기능상태 등에 대한 객관적이고 포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 맞춤형 서비스제공체계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표준급여모형의 급여종류를 수급자의 종합적인 상황을 반영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것은 물론,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에 수급자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작성인력의 전문성 등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Effects of a Group Exercise Program for the Upper Extremities on Sensory and Motor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Case Series

  • Ko, Myung-Sook;Jeon, Yong-Jin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9-6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n upper extremities group exercise program based on motor learning in chronic stroke patients and to assess improvements in upper sensory motor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Five chronic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for the duration of 25 weeks. On the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motor area functioning in 4 of the subjects. In process area functioning,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3 of the subjects.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assess sensorimotor area and ADL changes in chronic stroke patients to reduce medical cost and assess for positive psychological changes.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KWOMAC 항목간의 상관관계 연구 (Study on the correlation of KWOMAC Index(pain, stiffness, physical function) with knee Osteoarthritic patients)

  • 황보각;배성수
    • PNF and Movement
    • /
    • 제2권1호
    • /
    • pp.1-12
    • /
    • 2004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correlation of pain, stiffness, and physical function by analyizing the KWOMAC socre of the patients with degenerative knee OA, is the most common disease among senior population. Method : 100 degenerative knee OA patients, diagnosed at the hostpital or clinic located in Degu and Kyung-buk province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ult : This study results in following conclusions. 1. Degenerative knee OA patients complained the pain going up or down stairs, stiffness after getting up in the morning. immediately. 2. They also had significant difficulty ascending or decending stairs, getting in or out of car, rising from sitting, doing chores. 3. There was the high correlation among pain, stiffness, physical function. Conclusions : It may provide information to assess the ADL of knee OA patients and the exercise, outcome for their independent life effectly.

  • PDF

호흡 강화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호흡기능 및 체간조절 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n Respiratory Strength Training on Respiratory Function and Trunk Control in Patient with Stroke)

  • 김민환;이완희;윤미정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4권5호
    • /
    • pp.340-347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respiratory function, trunk control, and function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through respiratory muscle strength training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Methods: Eighteen subjects who were six months post strok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wo groups: experimental (n=10) and control (n=8). Both groups received physical therapy for five sessions, 30 minutes per week, during a period of six weeks.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n additional respiratory muscle strength training program, in which the threshold PEP device was used for 30 minutes per day, three days per week, during a period of six weeks. Results from pretest-posttest control were evaluated by pulmonary function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at one second (FEV1), FEV1/FVC, peak expiratory flow (PEF), capacity of cough, trunk control, and functional ADL. Results: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FEV1, PEF of pulmonary function (p<0.05), cough function (p<0.05), and trunk control (p<0.05) was observed among the groups. Conclusion: Respiratory muscle strength training improves pulmonary function, capacity of cough, and trunk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spiratory muscle strength training is feasible and suitable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뇌졸중 환자의 양측 상지기능과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Both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 왕현아;이순영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3-123
    • /
    • 2014
  • The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pper extremity's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in stroke patients. The participants were 112 stroke patients who underwent occupational therap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olows. MFT of both unaffected upper limbs and affected upper limb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otal MBI score. The all area of MFT on the affected upper limb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ub-item of MBI. And finger manipulation area of MFT on the unaffected upper limb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ub-item of MBI.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MBI, both unaffected upper limbs and affected upper limbs total sco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sub-items of MBI, the function of affected upper limbs by MFT were MBI all sub items exculsive bowel, bladder control and the function of unaffected upper limbs by MFT were personal hygiene, bathing, feeding, toilet, bowel & bladder control, chair/bed transfer of MBI sub items. Above results show that ADL is highly correlated with affected upper limbs and unaffected upper limbs function in the stroke patients.

An investigation of factors influencing the participation of stroke survivors in social and leisure activities

  • Ahn, Si-Nae;Hwang, Sujin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7권2호
    • /
    • pp.67-71
    • /
    • 2018
  • Objective: Participation restrictions are serious problems that stroke survivors experience while reintegrating into family, work, community, and social situations after participating in rehabilitation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participation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s well as social and leisure activities of individuals with hemiparetic stroke.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The study involved 96 participants who were diagnosed with a first stroke 6 months before the study (58 men, 38 women; $60.3{\pm}14.3years$). The Berg Balance Scale, Modified Barthel Index, Manual Function test, and Activity Card Sort were used to assess static and dynamic balance function, upper limb function, level of independence, and their level of participation within the community. A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factors affecting participation in ADL, social and recreational activities. Results: The Activity Card Sort scor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Manual Function test and Modified Barthel Index scores (p<0.05).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was affected by the level of independence.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was affected by the balance function and level of independence of the participant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hown that participation restrictions are affected by upper limb function, balance function, and the level of independence in individuals with hemiparetic stroke.

뇌졸중 환자에 대한 기능적 전기 자극치료를 병행한 거울치료가 상지 기능수행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irror Therapy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on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the Stroke Patients)

  • 이민재;구현모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23-130
    • /
    • 2018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irror therapy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to improve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 stroke patients. Method : Thirty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15 patients in each. All subjects received the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consisting of five 30 min sessions per week for 8 weeks, in addition to 30 min of mirror therapy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min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or the control group for each session. To measure the functions of the upper limb and performance capacities in ADL, the Fugl-Meyer Assessment (FMA), and Manual Function Test (MFT), Modified Barthel Index (MBI) were us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s. Results :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post-treatment FMA, MFT and MBI scores compared to their pre-treatment scores (p<.05). In addition, intergroup comparisons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cores of all assessmen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ose for the control group (p<.05). Conclusion :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mirror therapy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mproving upper limb motor function and ADL performance in stroke patients.

에비안스-함베르크 스트레칭이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단일 사례연구 (The Effects of Evjenth-Hamberg Stretching on Upper-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ubacute Stroke Patients)

  • 최현;조영남
    • 재활치료과학
    • /
    • 제3권1호
    • /
    • pp.47-55
    • /
    • 2014
  • 목적 : 본 연구는 에비안스-함베르크 스트레칭이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단일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K재활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만 39세 남성 뇌졸중 환자이다. 에비안스-함베르크 스트레칭을 4주간 주 5회 1일 1회 30분간 적용하여 중재 전후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을 비교하였다. 상지기능의 평가는 뇌졸중상지기능평가(manual function test; MFT), 운동활동측정표(motor activity log; MAL)를 사용하였고, 일상생활활동 평가는 기능적 독립 척도(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를 사용하였다. 결과 : 대상자는 중재 후 평가에서 MFT는 향상 없이 유지되었으며, MAL에서는 사용빈도와 움직임의 질에서 각각 3점씩 향상되었다. FIM은 73점에서 94점으로 21점이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에비안스-함베르크 스트레칭이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기존의 작업치료와 에비안스-함베르크 스트레칭을 적절히 활용한다면 환자의 기능 회복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재가급여 장기요양인정 노인들의 신체기능 상태 및 관련요인 (Physical Functioning and Related Factors in the Elderly People Admitted Long-term Home Care Insurance)

  • 윤석한;이광성;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338-2348
    • /
    • 2013
  • 본 연구는 재가급여 장기요양인정노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신체적 기능 상태를 평가하고 그에 관련된 요인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에 거주하고 있으면서 재가급여 요양자로 등록되어 있는 65세 이상 노인 618명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1년 12월 1일부터 2012년 3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표준화된 무기명식 면접조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조사대상자의 ADL에 대한 기능장애군의 분포는 45.6%로 나타났으며, IADL에 대한 기능장애군의 분포는 48.4%로 나타나 ADL보다 IADL에서의 기능장애 비율이 더 높았다. ADL과 IADL에서의 기능장애군에 속할 위험비는 여자보다 남자에서, 혼자 산다는 군보다 배우자나 자녀와 함께 산다는 군에서, 생활비조달을 자신이 한다는 군보다 자녀가 해 준다는 군에서, 의료보호군보다 건강보험군에서,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는 군보다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 외출을 자주 한다는 군보다 거의 하지 않는 다는 군에서, 취미활동을 자주 한다는 군보다 거의 하지 않는 다는 군에서,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다는 군보다 좋지 않다는 군에서, 신체의 부자유가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눈의 부자유가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귀의 부자유가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치아의 부자유가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요실금이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건망증이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재가급여인정노인들의 신체적 기능 상태는 ADL보다 IADL 기능이 더 감소되어 있었으며, ADL과 IADL 모두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건강상태의 다양한 요인이 관련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