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E저해

검색결과 367건 처리시간 0.029초

용매에 따른 뽕잎과 오디의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ulberry Leaf and Fruit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 주민정;권중호;김현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42-448
    • /
    • 2009
  • 뽕잎과 오디를 물, 50% 에탄올, 100% 에탄올 용매를 이용하여 microwave로 추출하여 이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뽕잎과 오디의 전자공여작용의 측정결과 모두 용매별 차이를 보였으며, 물과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65.22{\sim}81.77%$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Tyrosinase는 $20.25{\sim}21.13%$로 20% 내외의 결과를 보였으며 용매별 차이는 없었다. SOD 유사활성 측정결과 뽕잎과 오디 모두 에탄올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물 추출물의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ACE 저해작용의 경우 모든 추출물에서 뽕잎보다 오디의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전자공여작용, tyrosinase저해작용, SOD 유사활성 모두 물과 50% 에탄올 추출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나, ACE 저해 작용의 경우 100% 에탄올 추출구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의 증가에 따라 그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뽕잎과 오디 추출구의 경우 SOD 유사활성,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 ACE 저해활성, 아질산염 소거작용에서는 낮은 결과를 보였지만 어느 정도의 활성을 보였으며, 우수한 전자공여작용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추출 시 시료의 양이나 추출물의 농도를 조금씩 높여 준다면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미강과 솔잎, 강황 분말을 첨가한 현미에 배양한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Phellinus linteus on Brown Rice added Rice Bran, Pine Needle and Tumeric Powder)

  • 박효숙;전태욱;최한석;김중만;김명곤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1-116
    • /
    • 2011
  • 본 연구는 미강과 솔잎, 강황을 첨가한 현미에 배양한 상황버섯균사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아질산염소거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 ACE 저해활성 및 혈전 용해 활성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상황버섯 배양물의 전자공여능은 에탄올 추출물 보다 물추출물에서 더 낮았다.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물추출물 보다 에탄올 추출물로 부터의 상황 버섯 배양물에서 가장 높았다 특히, 솔잎 첨가물 처리시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의 pH 1.2에서 약 70%였다. 상황버섯 배양물의 Tyrosinas 저해활성은 에탄올 추출물 보다 물추출물에서 가장 높았고, 저해율은 솔잎 첨가된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ACE 저해활성은 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에서 매우 낮은 효과가 있었다. 혈전용해활성은 미강과 솔잎 그리고 강황에서 유사하게 높았다. 특히 미강 첨가시 그 활성이 plasmin 보다 약 5% 증가되었다. 그러므로, 유용 성분 분리 및 정제와 같은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기능성 물질의 천연소재로써 식품 및 화장품 산업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미강과 솔잎, 강황 분말을 첨가한 현미에 배양한 장수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Fomitella fraxinea on Brown Rice added Rice Bran, Pine Needle and Tumeric Powder)

  • 박효숙;전태욱;최한석;김중만;김명곤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5-110
    • /
    • 2011
  • 본 연구는 현미에 미강, 솔잎 그리고 강황을 첨가한 장수버섯 배양물의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 ACE 저해활성 및 혈전용해 활성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전자공여능은 에탄올 보다 열수를 이용한 추출물에서 더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솔잎첨가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고 소거활성은 거의 50%였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열수이용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고 미강, 솔잎 그리고 강황 첨가에 의한 저해율은 장수버섯 열수 추출물에서 각각 72.49%, 87.34% 및 82.75%를 보였다. ACE 저해효과는 모든 물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매우 낮은 효과가 있었다. 혈전용해 활성은 미강, 솔잎, 강황에서 유사하게 높았다. 특히 미강 그리고 강황이 첨가 되었을 때 활성이 plasmin보다 약 10% 증가 되었다. 따라서 동물 실험과 같은 추가 연구가 진행 후, 천연소재로서 식품 및 화장품 산업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천연 숙성 멸치액젓 Peptide의 생리활성 (Biofunctionality of Peptides Purified from Naturally Fermented Anchovy Sauce)

  • 박종혁;김상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120-1125
    • /
    • 2003
  • 숙성기간(1, 3 및 3년)이 다른 멸치액젓으로부터 추출한 peptide는 정제과정에서 숙성 1년의 멸치액젓은 3개, 숙성 3년의 멸치액젓은 4개, 숙성 5년의 멸치액젓은 5개의 peak를 각각 나타내었다. 숙성기간이 길수록 멸치액젓의 Peptide는 저분자화 되었으며, gel chromatography상의 후반부에 나타났다. 숙성기간이 다른 멸치액젓으로부터 추출한 peptide들의 생리활성 (항산화, 항암, ACE 저해활성)은 숙성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였다. 특히 항산화 및 항암활성은 $IC_{50}$/이 각각 34 및 44 $\mu\textrm{g}$/mL인 3년 숙성 peak 3이 제일 높았으나, ACE 저해활성 은 $IC_{50}$/이 32 $\mu\textrm{g}$/mL인 1년 숙성 peak 3이 제일 높았다. 천연 숙성 멸치액젓의 저분자 peptide는 뛰어난 생리활성을 갖고 있음이 밝혀졌으나 구조분석 등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닭 쓸개 methanol 추출물의 생리기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hysiolog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Methanol Extract from Chicken Bile)

  • 이남혁;김현덕;양승용;성기승;한동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31-636
    • /
    • 2004
  • 닭 쓸개의 생리기능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TLC 및 HPLC를 이용하여 쓸개내 성분을 정성 및 정량 분석을 하였고, 항균활성,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및 ACE 저해능을 비교 검토하였다. TLC 및 HPLC에 의해서 분석한 결과 닭 쓸개의 담즙산 중에는 taurochenodeoxycholic acid와 taurocholic acid로 추정되는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이들의 함량은 taurochenodeoxycholic acid 가 5,893mg/100g, taurocholic acid는 385mg/100g이었다. 이들 추출물은 Bacillus cereus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creus 및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해서도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Escherichia coli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쓸개의 냉동 건조물 및 methanol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시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pH 1,2에서 측정한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있어서도 농도가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methanol 추출물이 냉동 건조물 보다 높게 나타났다.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ACE) 저해 작용에서도 methanol 추출물과 냉동건조물 모두에서 나타났으며, 첨가량을 증가시켰을 때 methanol 추출물의 작용이 냉동건조물의 경우보다 상승폭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닭 쓸개는 항균활성,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 그리고 ACE 저해능 등의 다양한 생리기능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기능성 식품 등의 소재로서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분리대두단백질 가수분해물의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저해효과 (Effect of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from Hydrolysate of Soybean Protein Isolate)

  • 백수연;도정룡;도건표;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8-13
    • /
    • 2010
  • 분리대두단백질의 가수분해물을 제조 시, 최적 가수분해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총 7종의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이용하여 효소선정, 효소농도, 가수분해시간 및 분리대두단백질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단백질의 함량 정도를 나타내는 280 nm의 흡광도 측정과 수율을 대신한 brix 측정, 가수분해물의 ACE 저해활성 등을 조사하였다. 분리대두단백질 분말에 증류수를 5%의 분산농도로 하여 분해효소 Alcalase 2.4 L을 1%(v/w) 첨가하여 $65^{\circ}C$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가수분해하였다. 가수분해를 마친 후 효소의 반응정지를 위하여 $80^{\circ}C$에서 5분간 열처리한 후, $4^{\circ}C$로 냉각하여 원심분리(7,000 rpm, 40 min) 하였다. 원심분리 한 상등액을 취하여 여과한 후, $60^{\circ}C$에서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냉동시켜, 진공 동결건조 하여 분리대두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다. 분리대두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수율은 38.32%를 나타냈으며, ACE 저해활성($IC_{50}$)은 $79.94 {\mu}g/mL$를 나타내었다.

메밀 가수분해물의 항고혈압, 항균 및 항곰팡이 활성 (Antihypertensive, Antimicrobial and Antifungal Activities of Buckwheat Hydrolysate)

  • 도정룡;허인숙;백수연;윤혜숙;조진호;김영명;김기주;김상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68-27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단메밀과 쓴메밀에 Viscozyme L과 Alcalase 2.4L 효소를 첨가하여 가수분해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항균, 항곰팡이, 항고혈압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효소를 첨가하지 않은 단메밀과 쓴메밀의 수율은 각각 7.92, 3.17%로 낮은 가수분해율을 보었으며 Viscozyme L을 첨가한 단메밀과 쓴메밀의 경우 18.70, 19.45% 그리고 Alcalase 2.4L을 첨가한 단메밀과 쓴메밀의 경우 24.65, 22.10%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다. 메밀 가수분해물을 E. coli, S. typhimurium, P. aeruginosa, B. subtilis, S. aureus 및 L. monocytogences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을 조사한 결과, Viscozyme L을 첨가한 단메밀 가수분해물이 L. monocytogences, S. typhimurium에 대해 3-7.2 mm의 clear zone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쓴메밀 가수분해물이 S. typhimurium에 대해 5.7 mm의 clear zone으로 낮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A. niger, M. miehei, P. rugullosum, A. oryzae, T. reesei 균주의 항곰팡이 활성은 Viscozyme L을 첨가한 단메밀 가수분해물이 T. reesei에 대해 3.7-12 mm의 clear zone으로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ACE 저해 활성은 효소를 첨가하지 않은 단메밀은 45.82%, 쓴메밀은 73.06%으로 나타났다. Viscozyme L을 첨가한 가수분해물의 경우 단메밀은 39.39%, 쓴메밀은 46.83%로 효소를 첨가하지 않은 메밀 가수분해물에 비해 낮은 ACE 저해활성을 보였다. 반면 Alcalase 2.4 L을 첨가한 가수분해물의 경우 단메밀 61.19%, 쓴메밀 94.48%로 가장 높은 AC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매생이 유래 올리고당의 추출 분리 및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저해능 분석 (Analysis of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Oligosacchride Extracted from Capsosiphon fulvescens)

  • 김현우;이중헌
    • KSBB Journal
    • /
    • 제28권2호
    • /
    • pp.131-136
    • /
    • 2013
  • The hydrolysates prepared with various enzyme digestion of Capsosiphon fulvescens were used to measure the inhibitory effects against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ACE). The commercially available enzymes such as Celluclast, Viscozyme, Lysing enzyme, Flavourzyme, Alcalase and Pectinex were used to digest C. fulvescens and produce hydrolysates. The maximum ACE inhibitory activity was observed using Alcalase hydrolysis (72.9%). The optimal conditions of Alcalase extraction were pH 8.0 and extraction time for 12 hr. The hydrolysates were fractionated using preparative-LC and anion-exchange chromatography on DEAE-cellulose and the fraction B and B-2 were isolated. The ACE inhibitory activity of fraction B-2 by anion-exchange chromatography was 82.6%. The molecular weight of fraction B-2 estimated using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was about 1 kDa. The monosaccharide composition of the fraction B-2 was determined to be mannose (1.1%), glucuronic acid (1.3%), galactose (1.3%) and glucose (96.3%).

울릉도 자생식물인 섬괴불나무(Lonicera morrowii A.Gray) 잎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leaf extract of Lonicera morrowii A.Gray, a plant native to Ulleungdo)

  • 이은호;박혜진;홍은진;술타노브 아크마존;김병오;정희영;강인규;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4호
    • /
    • pp.443-44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섬괴불나무 잎으로부터 phenol성 화합물의 생리활성 탐색을 통하여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인체에 무해한 용매인 열수와 ethanol로 추출 했을 때 열수는 3.53 mg/g, 40% ethanol은 2.82 mg/g의 TPC를 나타내었으며,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xanthine oxidase (XOas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α-glucosidase 억제효과 및 항균 활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섬괴불나무 잎의 열수와 ethanol 추출물 50-200 ㎍/mL TPC에서 농도의존적으로 DPPH 유리라디칼 소거활성 및 PF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50 ㎍/mL의 저농도에서도 모두 매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XOase 저해효과에서는 200 ㎍/mL TPC에서 열수와 ethanol 추출물이 각각 76.35, 99.83%의 높은 저해효과 나타냈으며, ACE 저해효과 또한 200 ㎍/mL TPC에서 열수와 ethanol 추출물 각각 79.06, 87.14%의 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α-Glucosidase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200 ㎍/mL TPC에서 열수와 ethanol 추출물 각각 80.45, 63.58%의 저해효과를 보였다. 생육저해환으로 항균활성을 측정 결과 열수 추출물 200 ㎍/100 μL TPC에서 H. pylori, P. acne균에 대해 각각 11.5, 18.5 mm의 clear zone을 형성 하였고, ethanol 추출물 200 ㎍/100 μL 농도에서는 P. acne균에 대해 10 mm의 clear zone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섬괴불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xanthine oxidase (XOas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α-glucosidase 억제효과 및 항균 활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멸치 액젓의 기능성 (The Functionality of Anchovy Sauce)

  • 김상무
    • 식품산업과 영양
    • /
    • 제8권3호
    • /
    • pp.9-17
    • /
    • 2003
  • 숙성 기간(1, 3 및 5년)이 다른 멸치 액젓으로부터 추출한 biocompound는 정제과정에서 숙성 1년의 멸치 액젓은 3개, 숙성 3년의 멸치 액젓은 4개, 숙성 5년의 멸치 액젓은 5개의 Peak를 각각 나타내었다. 숙성 기간이 길수록 멸치 액젓의 biocompound는 저분자화 었으며, gel chromatography상의 후반부에 나타났다. 숙성 기간이 다른 멸치 액젓으로부터 추출한 biocompound들의 생리활성(항산화, 항암, ACE 저해활성 )은 숙성 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였다 특히 항산화 및 항암활성은 $IC_{50}$/이 각각 34 및 44 $\mu\textrm{g}$/mL인 3년 숙성 peak 3이 제일 높았으나, ACE 저해 활성은 $IC_{50}$/이 32$\mu\textrm{g}$/mL인 1년 숙성 peak 3이 제일 높았다. 천연 숙성 멸치 액젓의 저분자 peptide는 뛰어난 생리활성을 갖고 있음이 밝혀졌으나 구조 분석 등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5년 숙성 멸치 액젓 분획 중 항산화활성이 높은 1-A-II-d와 1-A-III을 sequence analyzer로 분석한 결과 각각 glutamic acid및 lysine의 단일 아미노산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