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 indica

검색결과 720건 처리시간 0.029초

Biochemical Changes Induced due to Staphylococcal Infection in Spongy Alphonso Mango(Mangifera indica L.) Fruits

  • Janave, Machhindra Tukaram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167-174
    • /
    • 2007
  • Spongy Alphonso mangoes were found to be infected with Staphylococcus bacteria. A Gram positive Staphylococcus strain was isolated from spongy pulp and identified from CABI Bioscience, UK, by partial 16S rDNA sequence analysis and by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through IMTECH, Chandigarh, India. Although identification by both of these methods indicated the organism belonged to same genus, different species names were given. Changes in total phenolics, reducing, and non-reducing sugars, respiration rate, total carotenoids, peroxidase(POX), and catalase activities were monitored during ripening of these fruits. The climacteric rise in spongy fruits was marked by an increase in respiration rate and a decrease in sugar content. Total phenolics content increased in spongy fruits as compared to ripe non-spongy fruits. Development of corky white tissue in spongy fruits was associated with about a 2.5-fold reduction in total carotenoids and a concomitant increase in lipoxygenase-mediated, $\beta$-carotene co-oxidation. A marked decrease in soluble protein content and about a 1.5-fold increase in POX activity was observed. Maximum POX activity was confined to 50-70%$(NH_4)_2SO_4$ fraction. The intense dark bands visible after POX specific substrate staining of the Native gel indicated a high expression of isoenzymes of POX in spongy fruits. Similarly, changes in levels of catalase activity were also observed in spongy fruits. The results suggest that infection of Alphonso mangoes with Staphylococcus bacteria affects the normal ripening processes of the fruit interfering with the carbohydrate and carotenoid metabolism. Also, the studies indicate the expression of POX and catalase enzymes as a plant defense response to microbial invasion.

  • PDF

유전적 유사성으로 보아 멀구슬나무와 천련은 동일종 (Melia toosendan and M. azadarach are a single species due to their genetic similarity)

  • 김회원;연승우;김기중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36-44
    • /
    • 2015
  • 한약재 천련자로 유통되는 중국 식물과 우리나라에도 분포하는 멀구슬나무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중국남서부지역에서 천련자(Melia toosendan)로 채취하는 재료와 중국 남동부, 한국, 인도 등지에서 심고 있는 멀구슬나무(M. azadarach), 그리고 무환자나무과의 근연종들을 대상으로 핵 ITS, 엽록체 matK, rbcL, atpF-H, psbK-I, psbA-trnH 등 6개 마커의 염기서열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들 염기서열 자료를 계통분석한 결과 한약재 천련자로 알려진 식물과 멀구슬나무는 동일종으로 판단된다. 이 두 종은 학자들에 따라서는 동일종 또는 이종으로 처리하던 것으로, 본 연구자들의 유전자 비교분석결과는 동일종으로 취급하는 것이 보다 타당함을 지지한다. 또한, 다양한 이명으로 세계 각지에서 기재된 멀구슬나무에 가장 가까운 종은 약재로 잘 알려진 님나무(Azadirachta indica)로, 이 종은 이전에 멀구슬나무속으로도 처리된 바 있다.

Effect of the aeration rate and agitation speed on heteropolysaccharide-7 production by Beijerinckia indica

  • 진혁;양재균;정정한;조영수;이동수;신명교;이진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192-195
    • /
    • 2002
  • Effect of aeration rate and agitation speed on cell growth and the production of heteropolysaccharide-7 (PS-7) by Beijerinckia indica was investigated. Aeration rate and agitation speed in a 7L bioreactor ranged from 0.5 to 1.5 vvm and from 300 to 500 rpm, respectively. Higher agitation speed with an aeration rate of 0.5 vvm in the bioreactor resulted in maintenance of higher concentration of dissolved oxygen in the medium, which enhanced the production of PS-7. In this study with a 7L bioreactor, maximal production of PS-7 was 11.0 g/L and its conversion rate from 2% (w/v) glucose was 0.55 when the aeration rate and agitation speed were 1.0 vvm and 500 rpm, respectively. Proper aeration rate and agitation speed might enhance the production of PS-7 as well as reduce the time to reach maximal production.

  • PDF

A Comprehensive Review of Tropical Milky White Mushroom (Calocybe indica P&C)

  • Subbiah, Krishnamoorthy Akkanna;Balan, Venkatesh
    • Mycobiology
    • /
    • 제43권3호
    • /
    • pp.184-194
    • /
    • 2015
  • A compressive description of tropical milky white mushroom (Calocybe indica P&C var. APK2) is provided in this review. This mushroom variety was first identified in the eastern Indian state of West Bengal and can be cultivated on a wide variety of substrates, at a high temperature range ($30{\sim}38^{\circ}C$). However, no commercial cultivation was made until 1998. Krishnamoorthy 1997 rediscovered the fungus from Tamil Nadu, India and standardized the commercial production techniques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This edible mushroom has a long shelf life (5~7 days) compared to other commercially available counterparts. A comprehensive and critical review on physiological and nutritional requirements viz., pH, temperature, carbon to nitrogen ratio, best carbon source, best nitrogen source, growth period, growth promoters for mycelia biomass production; substrate preparation; spawn inoculation; different supplementation and casing requirements to increase the yield of mushrooms has been outlined. Innovative and inexpensive methods developed to commercially cultivate milky white mushrooms on different lignocellulosic biomass is also described in this review. The composition profiles of milky white mushroom, its mineral contents and non-enzymatic antioxidants are provided in comparison with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and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Antioxidant assay results using methanol extract of milky white mushroom has been provided along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compounds that are responsible for flavor profile both in fresh and dry mushrooms. Milky white mushroom extracts are known to have anti-hyperglycemic effect and anti-lipid peroxidation effect. The advantage of growing at elevated temperature creates newer avenues to explore milky white mushroom cultivation economically around the world, especially, in humid tropical and sub-tropical zones. Because of its incomparable productivity and shelf life to any other cultivated mushrooms in the world, milky white mushroom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satisfying the growing market demands for edible mushrooms in the near future.

신안산 손바닥선인장의 생리활성 검정 (Antimicrobial Activities, Antioxidant Effects,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Extracts of Prickly Pear, Opuntia ficus indica)

  • 조인경;서경순;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53-958
    • /
    • 2009
  • 신안산 손바닥선인장 butanol 추출물과 methanol 추출물이 10균주 중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강하였으나, 젖산균 및 효모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부위별 항균활성은 줄기 추출물이 열매 추출물 보다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손바닥선인장의 butanol 추출물의 최소저해 농도는 세균은 100 mg/mL 이었고, 효모와 젖산균은 500 mg/mL이었다.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열 안정성은 $100^{\circ}C$에서 30분 가열시에도 항균활성이 거의 감소되지 않아 열에 안정한 물질로 확인 되었다. 손바닥선인장 butanol 추출물에 함유된 항균활성 물질의 pH 안정성은 산성인 pH 3과 알칼리인 pH 9 에서도 항균활성이 감소되지 않아 산과 알칼리에서도 안정한 물질로 확인되었다. 손바닥선인장의 추출물별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는 열매와 줄기 모두 water, methanol, butanol, ethyl-acetate 및 diethylether 순으로 나타냈고, 시료 부위별로는 줄기가 열매에 비해 항산화성 활성이 높게 나타냈다. 손바닥선인장의 폴리페놀함량은 열매가 520.57 mg%로 줄기 203.26 mg% 보다 2배정도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수종 야초류의 카드뮴 내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admium Tolerance of Some Native Herb Plants)

  • 장주연;장윤영;배범한;이인숙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5호
    • /
    • pp.309-313
    • /
    • 2001
  • 카드뮴 내성 식물을 선별하기 위하여 5종류의 야초류의 카드뮴 내성검정을 실시하였다. 카드뮴 용액에 14일간 노출된 야초류의 발아율, 유식물의 뿌리와 지상부의 생장율, 생체량을 측정하였다. 어저귀와 털비름의 발아율은 모든 농도에서 90%이상으로 나타났으나 자귀풀과 물피, 식용피는 15 mgCdSO₄ /L에 노출되었을 때부터 감소하기 시작했다. 뿌리와 지상부의 길이 생장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모두 감소하였으며, 생체량의 경우 물피, 식용피, 털비름은 대조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어저귀와 자귀풀은 60 mgCdSO₄ /L에 노출되었을 때부터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어저귀, 자귀풀, 털비름의 EC/sub 50/(Effective Concentration 50%)은 뿌리성장에서는 54 mgCdSO₄ /L, 77.5 mgCdSO₄ /L ,44.5 mgCdSO₄ /L이고, 지상부 성장에서는 114 mgCdSO₄ /L, 73.5 mgCdSO₄ /L, 38.6 mgCdSO₄ /L였으며, 생체량에서는 107.5 mgCdSO₄ /L, 67.5 mgCdSO₄ /L, 60 mgCdSO₄ /L였다. 야초류 간의 카드뮴에 대한 sensitivity는 뿌리 > 생체량 > 지상부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저귀가 카드뮴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 PDF

잡초(雜草) 종자(種子)의 휴면타파(休眠打破)에 대한 화학물질(化學物質)과 토양(土壤) 내(內) 종자매몰(種子埋沒)의 효과(效果) (Effects of Several Chemicals and Burial of Seeds into the Soil on Dormancy-breaking of Weed Species)

  • 심상인;이상각;강병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95-303
    • /
    • 1998
  • 잡초(雜草)의 휴면(休眠)은 불량(不良)한 외부조건(外部條件)에 적응하기 위한 기작으로서 잡초방제(雜草防除)에 있어서 많은 난점을 발생시킨다, 잡초종(雜草種)들의 발아(發芽)와 휴면(休眠) 현상을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 우점(優占)는 잡초(雜草)50여종의 잡초(雜草)에 대하여 화학물질(化學物質)처리와 종자매몰(種子埋沒)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KNO_3$, thiourea, KOH, $H_2O_2$ 등의 화학물질(化學物質)처리는 휴면타파(休眠打破)보다는 비휴면(非休眠) 종자(種子)의 발아촉진(發芽促進)에 효과가 있었다. 2. Pectinase는 강아지풀, 금강아지풀, 방동사니 대가리, 개구리자리 등의 휴면타파(休眠打破)에 효과가 있었다. 3. $GA_3$는 효과는 크지 않았으나 왕바랭이와 개여뀌, 개구리자리의 휴면타파(休眠打破)에 효과가 있었다. 4. 7주(週)이상 토양(土壤)에 매몰(埋沒)되었던 잡초종자(雜草種子)의 발아율(發芽率)은 크게 증가하였으며 변온(變溫)은 발아율(發芽率)에 상승작용(相乘作用)을 일으켰다. 그러나 매몰(埋沒)기간이 지속되면 발아율(發芽率)이 낮아져 이차휴면(二次休眠)에 들어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특히 마디풀과의 Persicaria속(屬)과 명아주과의 Chenopodium속의 식물은 토양(土壤) 매몰(埋沒)에 의한 휴면(休眠) 타파(打破)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 PDF

손바닥 선인장을 이용한 음료 제조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n preparation conditions of beverage using Opuntia ficus-indica stem)

  • 이기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02-509
    • /
    • 2013
  • 본 연구는 손바닥 선인장의 줄기를 이용한 겔상의 음료를 개발하고자 선인장 줄기의 추출특성을 모니터링 하였으며, 그 줄기 추출물을 이용하여 음료를 제조하고 그 음료의 관능적 품질을 반응표면분석에 의해 비교 조사하였다. 손바닥 선인장 추출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실험에서 수율에 대한 회귀식의 $R^2$(결정계수)는 0.95로서 유의수준 1%이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추출온도 $93.02^{\circ}C$, 추출시간 123 min 및 시료에 대한 물의 비율 22.57 mL/g에서 최대의 수율을 타내었다. 최적 조건으로 추출한 선인장 추출물과 xanthan gum, 당 및 감식초를 혼합하여 중심합성 실험계획에 따라 음료를 제조해 본 결과, 관능적 색상은 xanthan gum 함량이 0.38%, 당 함량이 7.91% 및 감식초 함량이 0.76%일 때, 관능적 향은 xanthan gum 함량이 0.30%, 당 함량이 7.06% 및 감식초 함량이 1.26%일 때, 관능적 맛은 xanthan gum 함량이 0.22%, 당 함량이 10.36% 및 감식초 함량이 0.90%일 때 각각 가장 높은 관능평점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전반적인 기호도는 xanthan gum 함량이 0.35%, 당함량이 10.83% 및 감식초 함량이 1.21%일 때 가장 높은 관능평점 3.92를 나타내었다. 손바닥 선인장 음료는 당산미가 조화를 이루는 겔상이 선호되었다.

백년초 분말을 첨가한 마카롱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acaron with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 김숙영;한기동;정인창;김기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32-340
    • /
    • 2017
  • 본 연구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닌 백년초 분말을 첨가(0%, 2%, 4%, 6%)한 마카롱을 제조하여 물리적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 및 관능적 특성을 실험하고,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이용가능성과 제조 적성을 조사하였다. 물리적 품질 특성은 백년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마카롱의 퍼짐성은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굽기 손실율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색도는 L 값과 b 값이 대조구에 비해 백년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a 값은 대조구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조직감에서 경도, 탄력성, 깨짐성은 백년초 분말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응집성과 점착성은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마카롱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등은 백년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평가는 색, 향미, 맛,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백년초 분말 4% 첨가구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지만, 맛과 조직감의 경우 6% 첨가구가 각각 5.45와 4.9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백년초 분말을 첨가한 마카롱 제조 시 백년초 분말의 첨가 적정량은 4%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백년초의 PC-12 신경세포 보호 및 콜린가수분해효소(cholinesterase) 저해 효과 (Effect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Ripe Fruits on Protection of Neuronal PC-12 Cells and Cholinesterase Inhibition)

  • 황정승;임성빈;이인일;김태락;김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86-91
    • /
    • 2016
  • 백년초를 80% (v/v) 에탄올-물 혼합용액으로 추출하여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산화방지능, 신경세포 보호효과, AChE 및 BChE 활성저해능을 평가하였다. 백년초 100 g FW당 총페놀 함량은 409.9 mg GAE,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72.2 mg CE이었다. 백년초(100 g FW)의 산화방지능은 ABTS, DPPH, ORAC법에서 각각 381.2, 298.2, 3,219.9 mg VCE였다. 백년초 추출물은 $H_2O_2$의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세포 내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신경세포 PC-12의 생존율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또한, 백년초 추출물은 AChE 및 BChE 활성을 저해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백년초의 세포 내 산화 스트레스 감소에 의한 신경 세포 보호능과 AChE 및 BChE 저해능이 확인 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백년초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 및 여러 가공품 개발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