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 cordata

Search Result 22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오대산 국립공원 진고개 Eco-bridge 식재계획 (Eco-Bridge Planting Plan in Chingogae of Odaesan National Park)

  • 이경재;최송현;강현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21-231
    • /
    • 1996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발로 인해 고립된 생태계를 잇는 Eco-bridge의 식재계획을 제시하는데 있다. Eco-bridge는 생물의 이동을 위해 생태계를 연결하는 통로로써 양쪽의 식생을 연결하기 위해 진고개길 양쪽으로 6개 조사지를 선정하고 16개 조사구(각 조사구는 100m$^{2}$)를 조사하였다. Eco-bridge 식재계획을 위한 조사, 분석결과 진고개지역식생은 신갈나무에서 서어나무, 까치박달, 물푸레나무, 피나무 등으로 천이가 진행될 것이다. 유사도 분석에서는 인접한 조사지간의 유사도가 높아 식생연속성이 뚜렷하였다. 종수 및 개체수분석에서 식재계획 최종단계 목표는 교목층 100m$^{2}$당 목본 약 15종내외로 교목층 10~12주, 아교목층 17~18주, 관목층 100여주의 밀도를 유지해야 할 것이다. 식재수종은 주변 출현수종을 중심으로 까치박달, 층층나무, 신갈나무 등 교목 12종, 개회나무, 딱총나무, 당단풍 등 아교목 및 관목 12종을 선발하였다.

  • PDF

반야봉지역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구상나무림-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Banyabong Area -Abies koreana Forest-)

  • 김갑태;김준선;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5-31
    • /
    • 1991
  • 지리산 반야봉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구상나무의 생육현황과 구상나무림의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구상나무가 생육하고 있는 지역에 37개의 방형구(10$\times$1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고사한 구상나무는 상층수관의 큰 나무들에서 발견되었으며, 개체수의 비율로는 12.81% 이었다. 유묘의 개체수도 매우 적은 수였다. Cluster 분석한 결과 세 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성은 구상나무와 털진달래가 비교적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구상나무와 쇠물푸레, 까치박달, 조릿대 및 층층나무 등의 수종들과는 높은 부의 상관을 보였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H')는 1.9796-2.750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본 조사지의 구상나무림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쇠퇴원인의 구명과 이에 대한 처방이 필요하며 신갈나무, 당단풍, 쇠물푸레, 까치박달, 층층나무, 조릿대 등을 제거해야 한다.

  • PDF

백두대간 태백산지역 당골계곡의 산림군락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he Danggol Valley in Taebaeksan Area, the Baekdudaegan)

  • 조현서;김갑태;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5-62
    • /
    • 2005
  • 태백산지 역 당골계곡의 산림군집구조 파악을 위해 45개의 방형구$(10m\times10m)$를 설치하여 산림식생생육현황을 조사하였다. 이 지역은 3개의 군집(낙엽송 우점군집, 물푸레나무-까치박달 우점군집, 거제수나무-신갈나무 우점군집) 으로 분류되었으며,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회나무와 철쭉: 병꽃나무와 철쭉, 회나무; 당단풍과 산겨릅나무; 신갈나무와 피나무 등은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당단풍과 피나무, 부게꽃나무; 신갈나무와 부게꽃나무; 잣나무와 회나무; 쇠물푸레나무와 함박꽃나무, 거제수, 고로쇠나무 등의 수종 간에는 녁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본 조사지의 종 다양도는 $0.7932\~1.2077$로 나타났다.

조사료원으로서 땅두릅(Aralia cordata Thunberg) 잎+줄기, 잎, 줄기 및 뿌리의 화학적 조성 및 반추위내 건물소화율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Ruminal Dry Matter Digestibility of Leaves+Stems, Leaves, Stems and Roots of Aralia cordata Thunberg as a Roughage Sources)

  • 김용익;이형석;김용국
    • 농업과학연구
    • /
    • 제26권1호
    • /
    • pp.58-64
    • /
    • 1999
  • 반추동물사육을 위한 농산부산물의 조사료로써 새로운 개발 및 재활용을 위하여 이른 봄 새싹은 식물(나물)으로 이용하나 그 후 성장한 부위는 특별한 용도 없이 폐기되는 땅두릅의 잎과 줄기, 잎, 줄기 및 뿌리의 화학조성분을 분석하고 이들의 반추위 내 건물 소화율을 측정하여 부위별 수치를 비교하였다. 1. 땅두릅의 단백질 함량은 잎과 줄기(9.7%), 잎(12.4%), 줄기(5.1%) 그리고 뿌리(3.8%)로 나타났고(P<0.05), 각각의 조지방 함량도 3.05, 3.7%, 1.3% 및 2.1%로 나타났다(P<0.05). 2. 조섬유의 함량은 잎(15.0%) 및 뿌리(12.3%)가 줄기(40.3%)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3. 중성세제 섬유소 함량은 잎(30.2%)이 줄기 및 뿌리(60.0% 및 50.8%)보다 낮게 나타났으며(P<0.05), 산성세제 섬유소 함량은 잎(21.4%) 및 뿌리(18.3%)가 줄기(49.6%)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4. 칼슘함량은 잎(2.4%)이 줄기나 뿌리(0.97% 및 0.69%)보다 높았다. 그러나 인의 함량은 모두 유사한(0.25%, 0.19 및 0.35%) 경향이었다. 5. 시간별로 12, 24, 48 및 72시간 동안의 반추위 건물 소화율은 잎(38.9%, 65.9%, 79.8% 및 82.4%)과 뿌리(38.9%, 59.8%, 77.6% 및 78.5%)가 줄기(31.1%, 44.1%, 49.5 및 52.6%)보다 높았으며 잎의 소화율은 알팔파건초의 소화율(37.4%, 48.8%, 67.8% 및 71.8%)보다도 높았다. 그리고 소화율이 비교적 낮은 줄기의 소화율도 아카씨나무 파쇄물(12.6%, 18.2%, 21.6% 및 24.3%)보다도 월등이 높았다.

  • PDF

TWINSPAN과 DCCA에 의한 중왕산(中旺山)의 삼림군집(森林群集)과 환경(環境)의 상관관계(相關關係) 분석(分析) (The Analysis of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of Mt. Jungwangsan by TWINSPAN(Two-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 and DCCA(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Ordination)

  • 송호경;권기원;이돈구;장규관;우인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3호
    • /
    • pp.247-254
    • /
    • 1992
  • 중왕산(中旺山) 삼림군집(森林群集)의 종(種) 조성(組成)과 입지(立地)와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TWINSPAN과 DCCA를 사용(使用)하여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중왕산(中旺山)의 삼림(森林) 식생(植生)은 Quercus mongolica-Tilia amurensis, Quercus mongolica-Rhododendron schlippenbachii, Quercus mongolica-Kalopanax pictus, Quercus mongolica-Carpinus cordata, Quercus mongolica-Cornus controversa, Betula costata, Fraxinus mandshurica, Ulmus laciniata군집(群集)으로 구분(區分) 할 수 있다. 주요(主要) 군집(群集)들과 환경(環境) 요인(要因)들과의 관계(關係)로 보면 Ulmus laciniata, Betula costata, Fraxinus mandshurica 군집(群集)은 Quercus mongolica 그룹보다 해발고(海拔高)가 맞은 계곡부(溪谷部)에, 그리고 $Mg^{{+}{+}}$, 전질소(全窒素), $Ca^{{+}{+}}$ 등(等)의 양료(養料)가 많은 곳에 주로 분포(分布)하고 있다. Quercus mongolica-Kalopanax pictus 군집(群集)은 해발고(海拔高)가 높고 $Ca^{{+}{+}}$, C.E.C., $Mg^{{+}{+}}$, 전질소(全窒素) 등(等)의 양료(養料)가 많은 곳에 주로 분포(分布)하고 있으며, Quercus mongolica-Rhododendron schlippenbachii 군집(群集)은 반대로 신갈나무 그룹중에서 해발고(海拔高)는 낮고 $Ca^{++}$, C.E.C., $Mg^{++}$, 전질소(全窒素) 등(等)의 양료(養料)가 적은 곳에 주로 분포(分布)하고 있다. 그리고 Quercus mongolica-Carpinus cordata 군집(群集)과 Quercus mongolica-Cornus controversa 군집(群集)은 위의 두 군집(群集)의 중간(中間) 부분(部分)에 주로 분포(分布)하고 있다. 군집(群集)의 분포(分布)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환경(環境) 요인(要因)들은 해발고(海拔高)와 지형(地形) 조건(地形條件)이다.

  • PDF

보리새싹 함유 녹즙의 항산화력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f Anti-oxidant Analysis to Vegetable Juice Containing Barley Sprouts)

  • 유인식;백청목;정미연;권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48-253
    • /
    • 2017
  • 본 연구는 보리새싹 함유 녹즙의 항산화력 분석을 위한 목적으로 수행 하였다. 실험에 사용 된 시료는 충북 진천군 소재의 CSJ 회사로 부터 공급 받아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Polyphenol, Flavonoid 함량 분석결과 어성초발효새싹녹즙은 $1.075{\pm}0.174mg/mL$, $2.736{\pm}0.187\;quercetin\;mg/mL$, 유기민들레는 $1.048{\pm}0.173mg/mL$, $2.685{\pm}0.245\;quercetin\;mg/mL$, 칸앤락 $1.013{\pm}0.083\;mg/mL$, $3.624{\pm}0.237\;quercetin\;mg/mL$, 브로콜리혼합즙은 $1.494{\pm}0.255mg/mL$, $3.826{\pm}0.286\;quercetin\;mg/mL$, 보리새싹은 $1.043{\pm}0.220mg/mL$, $1.990{\pm}0.223\;quercetin\;mg/mL$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검출되었다. 항산화능 실험결과 DPPH에 대한 어성초발효새싹녹즙 전자공여능은 81.97%로 나타났으며, ABTS assay 방법에 의한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브로콜리혼합즙, 어성초발효새싹녹즙, 유기민들레, 칸앤락, 보리새싹 순으로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Ascorbic acid $100{\mu}g/mL$와 비교할 때 그 효과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통계처리는 SPSS24을 이용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p<0.05) 향후 제품들의 기능성 부재료로 사용하여 제품화하면 건강기능성 음료로서의 가치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Gap 모델을 이용한 광릉삼림군락의 천이에 대한 모의 실험 (Simulation of Forest Succession in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with Gap Model)

  • Han, You-Young;Park, Seung-Tai;Kim, Joon-Ho;Lee, Chang-Seo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6호
    • /
    • pp.499-506
    • /
    • 1996
  • Forest stand development in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Korea, was simulated with a forest succession gap model of the JABOWA/FORET type, in order to predict climax species and characterime the trend of community structure along the succession. The model runs for a period or 1, 000 yr and is based on the averaged successional characteristics of 50 forest plote with an individual size or 1/12 ha gap consisted of the 15 major tree species. The total bimass and leafarea index have arrived at a steady state since about 200 yr and these values are smaller than that or field survey. Carpinus cordata, C. laxiflora, Quercus mongolica and Q. serrata were epected to be climax species that represent about 86% or total biomass in later stage and these results coincided with the previous succession studies from field survey in the area.

  • PDF

A Preliminary Study on Hypocholesterolemic and Hypoglycemic Activities of Some Medicinal Plants

  • Choi, Jae-Sue;Chung, Hae-Young;Young, Han-Suk
    • 생약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3-157
    • /
    • 1990
  • Total cholesterol level in mice with hypercholesterolemia was determined after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some medicinal plants. From the data obtained, it was suggested that the methanolic extract of Elaeagnus crispa, Ixeris dentata, Prunus davidiana, Eriobotrya japonice, Aralia elata and Phragmites communis produced a significant hypocholesterotemic effect. In the case of the extract of Saussurea diamantiaca, on the other band, the total cholesterol level was markedly increased. The methanolic extract of Ixeris dentata, Prunus davidiana and Phragmites communes also decreased the level of blood glucose in alloxan-diabetic male albino mice while that of Eriobotrya japonica, Allium tuberosum, Houttuynia cordata and Eucommia japonica did not produce this effect.

  • PDF

Potential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Activity of Natural Products in Cultured Murine Hepa1c1c7 Cells

  • Heo, Yeon-Hoi;Lee, Sang-Koo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7권2호
    • /
    • pp.38-44
    • /
    • 2001
  • NAD(P)H:quinone reductase (QR), known as DT-diaphorase, is a kind of detoxifying phase II metabolic enzyme catalyzing hydroquinone formation by two electron reduction pathway from quinone type compounds, and thus facilitating excretion of quinoids from human body. With the usefulness of QR induction activity assay system for the modulation of toxicants, in the course of searching for cancer chemopreventive agents from natural products, the methanolic extracts of approximately two hundreds of oriental medicines were primarily evaluated using the induction potential of quinone reductase (QR) activity in cultured murine Hepa1c1c7 cells. As a result, several extracts including Hordeum vulgare, Momordica cochinchinensis, Strychnos ignatii, Houttuynia cordata, and Polygala japonica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duce QR activity. In addition, the methylene chloride fraction of H. vulgare, one major dietary food source, showed potent induction of QR activity $(CD=6.4{\mu}g/ml)$. Further study for isolation of active principles from these lead extracts is warranted for the discovery of novel cancer chemopreventive agents.

  • PDF

Tree Species Preference and Inter-specific Difference of Foraging Maneuver, Trees and Location among Four Canopy-dwelling Birds at High-elevation Temperate Deciduous Forest in Mt. Jumbongsan

  • Park, Chan-Ryul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9권1호
    • /
    • pp.41-46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eal tree species preference and inter-specific difference of foraging behavior among four canopy-dwelling birds at forest dominated by Quercus mongolica, Acer pseudosieboldian and Carpinus cordata at 1,000 meters above sea level during breeding season of birds from 1995 to 1997 in Mt. Jumbongsan. Breeding birds were about 25 species and dominant birds were Erithacus cyane, Parus ater and Parus palustris. A relatively high number of bush-nesters can be a characteristic of breeding bird community at study area. Three gleaners (Tits, P. varius, P. palustris and P. ater) selectively preferred the trees irrespective of dominant tree species, whereas bark foragers (Nuthatch, Sitta europaea) utilized the dominant trees. The four birds showed significant inter-specific difference in use of foraging location, but the three tits did not show significant inter-specific difference in use of foraging maneuver and trees. Closely related tits may coexist with each other by inter-specific different use of foraging location determined by foliage structure and leaf arran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