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 anguilla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9초

Trichlorfon (TCF)의 약욕 투여에 따른 뱀장어 체내 약물 잔류량 및 약물동태학 연구 (Residue level and pharmacokinetics of trichlorfon in the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after bath treatment)

  • 조현호;정준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3-10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뱀장어에 대한 trichlorfon (TCF)의 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evel, MRL)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뱀장어를 대상으로 하여 trichlorfon (TCF) 노출에 따른 체내 잔류량 및 약물동태학적 분석을 실시했다. 28℃와 18℃ 에서 각각 30 ppm 및 150 ppm의 TCF를 30분간 약욕하여 이에 따른 체내 약물잔류농도를 LC-MS/MS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PK solver program 을 이용하여 혈청, 근육 및 간에서 TCF의 약동학 파라미터를 얻었다. 혈청, 근육 및 간에서 최고 농도(Cmax)는 25.87-357.42, 129.91-1043.73 및 40.47-375.20였고, 최고 농도 도달시간(Tmax)는 0.13-1.32 h, 1.17-3.34 h, 및 0.14-5.40 h이었으며, 배설 반감기 (T1/2)는 2.13-3.92 h, 5.30-10.35 h, 및 0.65-13.81 h이었다. 30 mg/L농도 투여군에서는 약욕 후 96시간이 지난 뱀장어의 혈청에서 TCF가 검출되지 않았으며, 근육 및 간에서는 336시간이후 부터 검출 한계 이하로 나타났다. 반면에 150 mg/L농도 투여군에서는 약욕 후 336시간이 지난 뱀장어의 혈청에서 TCF가 검출되지 않았지만, 근육 및 간에서는 336시간에도 검출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들은 향후 양식 뱀장어에 대한 trichlorfon (TCF)의 잔류허용기준(MRL) 설정에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기대한다.

제주 천제연 하구 소상어류의 월별 종조성 (Monthly Species Composition of Upstream-Migrating Fish in the Cheonjeyeon Estuary of Jeju, Korea)

  • 황학빈;이태원;황선완;김병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10-219
    • /
    • 2008
  • 2004년 1월에서 9월 및 2007년 1월에서 8월 사이 천제연 하구에서 소상하는 어류를 채집하여 월별 밤과 낮의 종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천제연 하구의 하천과 바다 사이에 건설된 보의 수로에 망목 2 mm의 그물을 설치하여 매월 그믐 밤과 낮에 바다에서 민물로 소상하는 어류를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14종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 altivelis)와 숭어 (Mugil cephalus)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강하성 어류인 실뱀장어(Anguilla japonica)가 소상 시기인 2월에서 5월 밤에 주로 채집되었고, 기수성인 갈문망둑(Rhinogobius giurinus), 검정망둑(Tridentiger obscurus), 열동갈문절(Sicyopterus japonicus)과 꾹저구(Gymnogobius urotaenia) 같은 망둑어류가 채집되었다. 담수어류인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와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가 소량 채집되었는데, 이들은 간조 때 담수를 따라 바다로 이동된 후 만조 때 다시 담수로 되돌아오는 과정에서 채집된 것으로 추정된다. 해산어인 멸치(Engraulis japonicus), 주걱치(Pempheris japonica), 쏠종개 (Plotosus lineatus), 복섬 (Takifugu niphobles)이 소량 채집되었는데, 이들은 만조 때 담수로 유입되는 해수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채집된 것으로 보인다. 은어는 조사기간 동안 계속 채집되었으며, 전장(TL) 55~100 mm인 개체들이 주로 채집되었으나 4월 이후에는 100 mm TL보다 큰 개체들도 채집되었다. 숭어도 조사기간 동안 계속 채집되었으며, 대부분 전장 범위가 28~58 mm 사이였으나, 2월과 4월에는 103~240 mm TL의 큰 개체들도 채집되었다. 제주도의 하천은 육지로부터 고립되었고 그 길이도 짧아 담수종의 수가 적고 기수역이 발달하지 않아, 담수종이나기수성 어류가 많지 않은 관계로 소상 어류상이 빈약한 것으로 보인다.

He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by Vibration Stress

  • Kim, Dae-Hee;Nam, Myung-Mo;Lee, Si-Woo;Kang, Kyoung Ho;Kang, Yue Jai;Hur, Jun Wook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1-8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vibration on primary (e.g. plasma cortisol), secondary (e.g. plasma glucos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Na+, K+ and Cl- and tertiary (e.g. mortality) stress responses in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For this purpose, three groups (including one control group and two stress groups) were set up. The control group was made exposed to vibration corresponding to 48 decibel (dB, V) (produced using electric vibrators) for 15 minutes per hour every day, and the two stress groups was made exposed to vibration corresponding to 58 and 68 dB (V) (produced using the same electric vibrators), equally, for 15 minutes per hour every day. Blood was sampled at day 0 (before starting vibration stress tests, BS), and days 1, 3, 5, 7, 9 and 11 (after starting vibration stress tests). As a result, plasma cortisol showed trend to continuously rise by consecutive stress from 4.1±0.1 ng/ml in BS. In 48 dB group (control), cortisol showed the highest level with 7.6±0.9 ng/ml after 7 days (p<0.05), but at 9 and 11 days was not significantly compared with BS level. In 58 dB group, the cortisol showed the highest level with 43.1±4.8 ng/ml after 1st day. Cortisol of 68 dB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14.4±2.3~32.0±5.7 ng/ml) (p<0.05). In 58, and 68 dB group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differed significantly compared to 48 group (p<0.05). Glucose in 48 dB were increased from 42.0 ±5.7 (BS) to 52.5±2.1 (1 day), the level was not significantly from 1 to 11 days. Glucose in 58 and 68 dB group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than BS during experimental period (p<0.05). K+ in 68 dB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from 2.3±0.2 mE/ql (BS) to 3.3±0.5 mE/ql at 5 days. In 48 and 58 dB group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differed significantly (p<0.05). Na+ and Cl- levels were not differed significantly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ST and ALT in 58 and 68 dB groups showed trend to continuously rise by consecutive stress. At 7 and 9 days in AST, between 48, 58 and 68 dB groups differed significantly (p<0.05). In 48, 58 and 68 dB groups at 1 day, blood hematocrit increased significantly higher than BS. The 11 days after vibration stress, the mortality in 48, 58 and 68 dB groups was 1.1, 5.1 and 5.8%, respectively. The present results have shown that A. japonica exhibited ''typical'' physiological responses when exposed to chronic vibration stress. These data suggested that chronic vibration stress caused substantial stress in the fish; especially the persisting elevated plasma AST and ALT levels observed would be expected to adverse effect. In conclusion, chronic vibration stress could greatly affects the hematological characteristics in A. japonica.

소음스트레스에 대한 뱀장어의 코티졸, 글루코스, 알부민과 Glucocorticoid Receptor 유전자 발현 연구 (Noise-induced Stress Response on Cortisol, Glucose, albumin and Glucocorticoid Receptor Expression in the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 박영철;강용진;전형주;한경남;백재민;이완옥;김진형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853-860
    • /
    • 2011
  • 소음 스트레스로 인한 뱀장어(Anguilla japonica)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스트레스 지표로 사용되는 코티졸, 포도당, 알부민 및 glucocorticoid receptor(GCR) 유전자의 발현 양을 측정, 분석하여 노출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알부민은 노출 1시간 후에 낮은 값을 보인 반면 코티졸과 포도당은 대조구에 비해 매우 큰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GCR 유전자의 조직 발현 결과 간, 아가미, 근육 및 소장에서 많이 발현하였다. 소음 노출에 따른 시간의 변화에서 간과 아가미 근육과 소장에서 발현이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뱀장어의 glucocorticoid receptor 유전자의 발현변화가 소음 스트레스로 인한 영향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극동산 뱀장어(Anguilla japonica) 인공 자어와 실뱀장어의 두부 변화 및 안구의 조직학적 변화 (Development Changes in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Head and the Histological Structure of the Eye in Artificially Reared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Leptocephalus and Glass Eel)

  • 김대중;이남실;이배익;김신권;김경길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0호
    • /
    • pp.1288-1294
    • /
    • 2013
  • 뱀장어 자어의 형태변화에 관한 연구는 자어의 인공사육을 위해 알아야 할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두부의 형태학적 관찰과 함께, 부화 이후 변태 직후까지의 단계별 안구의 조직학적인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들 결과로 부화 후 100일과 변태를 기점으로 상악과 하악의 발달에 큰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치아는 실뱀장어로 변태하면서 퇴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안구 망막에서의 조직학적인 주요 변화는 부화 100일 이후의 OPL (outer plexiform layer)과 ONL (outer nuclear layer)의 형성과 변태 이후 간상세포층의 변화이며, 안구의 각막은 부화 10일째 자어에서 관찰되지 않았지만 이후 모든 단계에서 관찰되었다. 실뱀장어의 양산을 위해 초기 자어의 발달에 관한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며, 본 결과가 자어의 인공사육시스템 안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포르말린 약욕이 뱀장어 아가미흡충의 구제에 미치는 효과 (Efficacy of formalin bath against gill infections with Pseudodactylogyrus spp. in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 정승희;지보영;김진도;서정수;김진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93-302
    • /
    • 2010
  • Pseudodactylogyrus속 아가미흡충에 자연감염된 뱀장어(체중 89.8~96g)를 대상으로 수온 $28^{\circ}$의 사육조건에서 포르말린의 구제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아가미흡충의 수적 변화에 의한 포르말린의 구제효과를 조사하기에 앞서, 포르말린의 농도별(0~500ppm) 및 시간별(30분~24시간) 약욕에 따른 뱀장어의 헤마토크릿치(Ht) 변화를 분석하여 포르말린이 뱀장어의 혈액생리에 미치는 독성효과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Ht 결과를 기준으로 하여 포르말린의 농도 및 처리시간 등을 약욕 처리법을 다양하게 설정한 다음 아가미흡충의 감염농도를 조사하였다. 포르말린에 24시간 동안 약욕한 뱀장어의 Ht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100 및 200 ppm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P>0.05). 그러나 300~500 ppm에서는 Ht가 유의적인 증가(P<0.05)를 나타내어 이 농도에서는 포르말린의 독성이 뱀장어의 생리기능에 영향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르말린 100 및 200 ppm 농도에서 24시간동안 약욕한 처리법에서 아가미흡충의 유의적인 감소(P<0.05)가 확인되었다. 한편, 연구자들은 앞선 연구에서 뱀장어에 대한 포르말린의 24시간 반수치사농도($LC_{50}$)를 보고하였는데, 이 때 100 및 200 ppm에서 24시간 동안 약욕할 경우 200 ppm에서는 13.3%의 누적사망률을 확인하였으나, 100 ppm에서는 사망한 개체가 한 마리도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포르말린 100 ppm에서 24시간 동안 약욕하는 처리법이 뱀장어에 기생된 Pseudodactylogyrus속 아가미흡충을 효과적으로 구제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뱀장어 수생진균(水生眞菌), Saprolegnia didina Type I의 실험적(實驗的) 감염(感染) (Experimental Inection with Saproloenia diclina Type I in Eels(Anguilla japonica))

  • 민홍규;박남용;하타이 키시오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61-66
    • /
    • 1990
  • 수생균병(水生菌病)의 원인균(原因菌)의 하나인 Saprolegnia diclina Type I 을 뱀장어에 실험적(實驗的)으로 감염(感染)시켜 감염(感染) 기전(機轉)과 균사체(菌絲體)가 체표(體表)의 표피(表皮)와 진피(眞皮)에 나타나는 소견(所見)을 병리학적(病理學的)으로 조사(調査)하였다. 1. 뱀장어를 물에서 건져 그물로 처리한 A, B군(群)에서는 실험적(實驗的)으로 감염(感染)되지 안했으나 인공적(人工的)으로 피부점액(皮膚粘液)을 제거(除去)한 C군(群)에서는 심한 감염(感染)이 관찰(觀察)되었다. 2. 감염어(感染魚)의 체표(體表)에서 채취(採取)한 진균류(眞菌類)는 무격벽(無隔壁)으로 분지(分枝)하며 간접(間接) 발아(發芽) 양식이어서 S. diclina Type I으로 동정(同定)되었다. 3. 어체(魚體) 전반(全般)에 면모상(綿毛狀)의 균사체(菌絲體)가 관찰(觀察)되었고 출혈반(出血斑)을 수반(隨伴)한 병소(病巢)가 형성(形成)되었다. 4. 병소내(病巢內)에는 균사체(菌絲體)가 표피(表皮)와 진피(眞皮)에 신장(伸長) 분포(分布)되어 있었고 특(特)히 피부(皮膚)의 표피층(表皮層)에는 심(甚)한 출혈(出血), 세포(細胞)의 변성(變性), 괴사(壞死_ 및 일부(一部) 점액세포(粘液細胞)는 심(甚)하게 종대(腫大)되어 있었다.

  • PDF

Comparison of Major Nutrients in Eels Anguilla japonica Cultured with Different Formula Feeds or at Different Farms

  • Seo, Jae-Sung;Choi, Jae-Hee;Seo, Ji-Hun;Ahn, Tae-Ho;Chong, Won-Seog;Kim, Seung-Hoon;Cho, Hye-Sun;Ahn, Jun-Cheul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6권2호
    • /
    • pp.85-92
    • /
    • 2013
  • To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wo main factors, diet or culture environment, that affect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main nutritive ingredients (vitamin A, vitamin E, cholesterol, fatty acid composition) in cultured eels, we analyzed the composition of eels fed diets of formula feed (FF) produced by four different companies and of eels cultured at five different eel farms that provided only one of the four different FFs. The four commercial eel FFs did not markedly differ in proximate composition or major nutritive compounds, and consequently, these variable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in cultured eels fed the different FFs. The FF imported from Japan was marginally superior to the two domestic commercial FFs and the FF imported from Taiwan in terms of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main nutritive ingredients of both the FF itself and the eels cultured on it. However, proximate composition and main nutritive ingredients significantly differed among eels cultured at the five farms that used a different FF and among eels fed the four different FFs at the same farm. In conclusion, the difference in quality between domestic and Japanese FFs in terms of eel culture was small, whereas physical or chemical environmental differences among farms during eel culture may more strongly affect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levels of the main nutritive ingredients in cultured eels.

Oxytetracycline의 경구 투여에 따른 뱀장어 체내 약물동태학적 특성 (Pharmacokinetics of Oral Administration of Oxytetracycline in Eel, Anguilla japonica)

  • 김진도;서정수;김주완;이주석;정승희;지보영;김진우;김응오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9-127
    • /
    • 2008
  • Oxytetracycline (OTC) has been widely used in eel culture as a therapeutic and prophylactic agent because of its broad-spectrum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and -negative bacteria. The oral treatment dosage of OTC approved for the treatment of edwardsiellosis, furunculosis and vibriosis in eel is 50 mg/kg/day for 3-7 days in Korea. To determine new optimum dose of OTC in eel, the pharmacokinetics of OTC after single oral administration (100 mg/kg B.W., 200 mg/kg B.W.) in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was examined. In oral dosage of 100 and 200 mg/kg body weight, the highest plasma concentrations of OTC were 1.19±0.42 ㎍/㎖ and 2.69±0.57 ㎍/㎖, respectively. Plasma concentrations of OTC were not detected after 720 h post-dose in all experiments. The kinetic profile of absorption, distribution and elimination of OTC in plasma wwas calculated fitting to a 1- and 2-compartment model by WinNonlin program.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obtained for a single dosage of 100 and 200 mg/kg respectively: 1-compartment model, AUC= 82.48 and 432.68 ㎍*h/㎖, Tmax= 3.93 and 14.24 hr, Cmax= 0.94 and 2.34 ㎕/㎖; 2-compartment model, AUC= 448.73 and 530.65 ㎍*h/㎖, Tmax= 6.37 and 8.96 hr, Cmax= 0.90 and 3.21 ㎕/㎖.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goby-fry fish in Tomini Bay, Gorontalo, Indonesia

  • Femy M. Sahami;Sri Nuryatin Hamzah;Philippe Keith;Sitty Ainsyah Habibie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7권5호
    • /
    • pp.294-305
    • /
    • 2024
  • Tomini Bay in Gorontalo offers significant potential for amphidromous goby-fry, a group of fish found in at least five estuaries in the area, namely Bone-Bolango, Paguyaman, Bilungala, Tombulilato, and Taludaa Estuaries. Preliminary results were limited to only two locations in estuarine waters, namely the Bone-Bolango and Paguyaman rivers. Further exploration of goby-fry species in various locations within Tomini Bay is essential to enhance knowledge about the abundance and aid conservation efforts.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the goby-fry species and created their distribution map in the waters of Tomini Bay Gorontalo. The samples used were obtained from daily catches of fishermen in the five estuaries during the recruitment period from February to September 2022. These samples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similarities and specific melanophore patterns. Distinct groups with different melanophore patterns from those previously reported were identified as newly recorded species, photographed, and described in terms of their morphology. Furthermore, two specimens from each newly recorded species underwent molecular identification using the cytochrome oxidase subunit 1 (COI) gene for DNA amplification and were analyzed through the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BLAST) method. The phylogenetic tree was constructed using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The results showed the existence of nongoby-fry species caught together with goby fry school. A total of 75,881 goby-fry and 1,687 nongoby-fry were successfully collected. Among the goby-fry species, 13 were identified, including three new records, namely Eleotris fusca (Forster, 1801), Sicyopterus microcephalus (Bleeker, 1855), and Sicyopus zosterophorus (Bleeker, 1856). This study also documented the existence of nongoby-fry species, namely Anguilla celebesensis (Kaup, 1856), Moringua microchir (Bleeker, 1853), and Microphis leiaspis (Bleeker, 1854). It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understanding of fish biodiversity in Tomini B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