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 natural enemy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초

DYNAMICS OF A CLASS OF NON-AUTONOMOUS SYSTEMS OF TWO NON-INTERACTING PREYS WITH COMMON PREDATOR

  • ELABBASY E. M.;SAKER S. H.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17권1_2_3호
    • /
    • pp.195-215
    • /
    • 2005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dynamics of the mathematical model of two non-interacting preys in presence of their common natural enemy (predator) based on the non-autonomous differential equations. We establish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permanence, extinction and global stability in the general non-autonomous case. In the periodic case, by means of the continuation theorem in coincidence degree theory, we establish a set of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existence of a positive periodic solutions with strictly positive components. Also, we give some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global asymptotic stability of the positive periodic solution.

한국산 미기록 기생벌 Schizoprymnus terebralis (벌목: 고치벌과)에 대한 보고 (A New Record of Parasitoid Wasp Schizoprymnus terebralis (Hymenoptera: Braconidae) from Korea)

  • 유영혁;최수빈;김효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27-29
    • /
    • 2019
  • 고치벌과에 속하는 Helconinae아과의 Schizoprymnus terebralis ($Snofl{\acute{a}}k$, 1953)을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 종의 재기재, 진단, 숙주 정보 그리고 삽화를 제공한다.

무인전투기 물리적 전투력 분석 (Analysis of Physical Combat Power for Unmanned Combat Aerial Vehicle)

  • 민승식;오경원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0-55
    • /
    • 2017
  • 본 논문은 란체스터 방정식을 이용하여 우리의 무인전투기(블루군)과 적 무인전투기(레드군) 간의 교전 결과를 예측하였다. 란체스터 법칙은 군단의 전력이 전투원 수에 비례한다는 제1법칙(linear law)과 전투원 수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제2법칙(square law)가 있다. 제1법칙은 게릴라전에 적합한 법칙이고 제2법칙은 전면전에 적합한 법칙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제2법칙이 많이 쓰인다. 란체스터의 제2법칙을 이용하여 교전 결과를 예측하였다. 교전에서 승리하기 위한 전투손실률 값은 물론 필요 전력수를 추산하였고, 우리 군의 피해를 1대 미만으로 만들기 위한 전력수도 예측하였다. 적 무인전투기와 아군 무인전투기의 전투 대수가 같을 경우 승리를 보장받으려면 전투손실률이 1:1.5 이상이 되어야 한다.

한국산 미기록 고치벌 Rhogadopsis obliqua (벌목: 고치벌과: 꽃파리고치벌아과)에 대한 보고 (A New Record of Parasitic Wasp, Rhogadopsis obliqua (Hymenoptera: Braconidae: Opiinae), from South Korea)

  • 한윤종;김효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1-4
    • /
    • 2023
  • Rhogadopsis속은 주로 굴파리에 기생하는 고치벌로 Opius속의 아속으로 여겨져왔다. 그러나 시맥의 형태와 단계통 분기군을 형성함에 따라 Rhogadopsis속은 속으로 격상되었다. 전라남도 여서도에서의 동물상 조사 결과, Rhogadopsis obliqua의 수컷 표본을 쓸어 잡기로 채집되었다. Rhogadopsis obliqua의 기술과 진단 형질 도판을 수록한다.

A New Record of Species of the Microplitis (Hymenoptera: Braconidae: Microgastrinae) in Korea

  • Choi, Subin;Kim, Hyojoo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4권3호
    • /
    • pp.159-161
    • /
    • 2018
  • The genus Microplitis (Braconidae: Microgastrinae)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The Microplitis has often quite small hypopygium, very short ovipositor and rugose propodeum with large aleola. The genus contains 190 described species, among them 19 speceis were recorded in Korea. Microplitis varicolor was established by Viereck in 1917. The species is found as new to Korea in this study. Microplitis varicolor is endoparasitoid, especially attacking species of Noctuidae (Insecta: Lepidoptera) including pests of leguminous crop. In this study, diagnosis, photographs and host lists are included.

한국산 미기록 기생벌 Diolcogaster perniciosa (벌목: 고치벌과)에 대한 보고 (A New Record of Parasitoid Wasp Diolcogaster perniciosa (Hymenoptera: Braconidae) from South Korea)

  • 유영혁;남궁혜반;한윤종;이경현;김효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89-491
    • /
    • 2021
  • 고치벌과에 속하는 Microgastrinae 아과의 Diolcogaster perniciosa (넓적다리도랑꼬마고치벌)을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 종의 재기재, 진단, 분포정보, 그리고 삽화를 제공한다.

한국산 미기록 기생벌 Aleiodes thirakupti (벌목: 고치벌과)에 대한 보고 (A New Record of Parasitoid Wasp Aleiodes thirakupti (Hymenoptera: Braconidae) from South Korea)

  • 이경현;유영혁;김상진;손주형;임종옥;김효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331-333
    • /
    • 2022
  • 고치벌과의 송충살이고치벌아과에 속하는 Aleiodes thirakupti (Butcher et al., 2012)을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본 종에 대한 진단, 분포 및 삽화를 제공한다.

딸기 온실에서 점박이응애의 축차표본조사법 개발 (Development of Sequential Sampling Plans for Tetranychus urticae in Strawberry Greenhouses)

  • 최호정;강주완;정효진;최시라;박정준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427-436
    • /
    • 2017
  • 두 개의 딸기 온실 (농약살포포장, 천적방사포장)에서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 고정 정확도 수준에서 표본조사법 (Fixed-precision sampling plan)을 개발하였다. 표본추출은 조사구역당 3개엽으로 이루어진 복엽 1줄기를 기준으로 하여 3줄기를 채취하였다. 각 복엽은 Relative net precision (RNP) 값을 비교하기 위해 3개의 서로 다른 단위(1엽, 2엽, 3엽)로 나뉘어졌다. RNP 값 결과 1엽 단위가 다른 단위들보다 정확도와 효율적인 면에서 우수했다. 공간분포 분석은 Taylor's power law (TPL)를 이용하였으며, 각 딸기 온실별로 계산된 TPL 계수의 동질성검정에는 공분산분석(ANCOVA)을 이용하였으며, 분석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본추출 정시선을 구하기 위한 TPL 계수는 농약살포포장과 천적방사포장의 딸기 1엽 단위에서 점박이응애 밀도 자료를 합한 뒤 재계산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점박이응애 발생밀도수준을 3마리와 10마리로 설정하여 방제의사를 결정하였다. 분석에 사용하지 않은 독립된 자료를 이용하여 개발된 표본추출법의 유효성을 Resampling Validation for sampling plan (RVSP)으로 확인한 결과 적합한 정확도를 보였다.

농업생태계 다양성과 과수원 응애류 해충 종합관리: 이론적 고찰과 미래 전망 (Agro-ecosystem Diversity and Integrated Mite Pest Management in Fruit Orchards: A Review and Future Prospect)

  • 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49-61
    • /
    • 2021
  • 과수에서 초기 해충종합관리(IPM) 모형은 응애류 종합관리를 기반으로 수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근간은 기존 방제체계인 화학적 방제와 호환적인 포식성 이리응애 천적을 접목한 생물적 방제가 작동하는 것에 있었다. 이후로 생태계 종다양성과 해충 개체군 변동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가설과 기작은 과수 생태계에서 응애류 중심의 해충관리에 대한 더 넓은 이해의 폭을 제공하였다. 생태계의 원리를 바탕으로 환경의 개변 또는 변경을 통한 생물적 방제와 해충관리는 농생태공학적 개념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응애류 해충의 관리에 있어서는 재배환경의 변화에 따라 관련된 천적의 다양성이 역동적으로 변동되어 작동하고 있으며, 식식성 응애류의 종 구성도 과원관리 환경에 따라 변화를 보이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사과 IPM의 근간이 되었던 응애류 생물적 방제를 고찰하면서 생태공학적 측면에서 종다양성과 해충관리, 포식성 응애류 종다양성과 응애류 관리, 환경과 응애류의 종 구성 변동 원리에 대하여 기존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재조명하고, 향후 우리나라에서 사과원 응애류의 생물적 방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무당벌레에 선택적인 살비제 선발과 이들 처리가 사과원 식식성 응애류와 천적류에 미치는 영향 (Selection of the Acaricides Selective to Harmonia axyridis and Effect of their Application on Phytophagous Mites and Natural Enemies)

  • Cho, Jum-Rae;Hong, Ki-Jeong;Lee, Gwen-Seok;Park, Byung-Ryul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43-248
    • /
    • 1996
  • 본 연구는 무당벌레에 선택적인 살비제 선발과 이들 처리가 사과원 초식성응애류 및 천적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된 모든 살비제는 무당벌레 보다는 점박이응애와 사과응애에 더 강한 독성을 보였고, 또 무당벌레의 유충과 성충보다는 알에 더 높은 독성을 나타냈다. 실내 선택독성실험에서 azocyclotin과 fenpropathrin이 각각 무당벌레에 대해서 선택성이 높은 약제와 낮은 약제로 나타났다. 응애류는 약제 처리횟수에 크게 영향을 받은 반면 천적류는 약제살포횟수 및 약제종류간에 차이가 없었다. 풀잠자리류는 긴털이리응애나 애꽃노린재류와는 달리 약제살포에 비교적 영향이 적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