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 Degree of Use Satisfaction

검색결과 326건 처리시간 0.031초

국가기술자격증을 위한 스마트러닝 ARCS 동기이론이 상호작용성, 학습몰입, 즐거움을 통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Smart Learning for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ARCS Motivation Theory is Interactive, Immersive Learning, Research Influence of Continuous use with Pleasure)

  • 박동철;황찬규;권두순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101-132
    • /
    • 2015
  • 국가기술자격은 개인의 직업능력을 향상시키고, 기업과 국가의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특히 '자격'은 '학력'과 함께 개인의 능력을 측정하여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신호기능을 가지고 있고,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 기술 소양 등의 습득정도가 일정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평가 또는 인정되는 것"이다. 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학습은 스마트러닝을 통하여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인터넷의 발전과 정보통신기술의 혁명으로 인해 정보와 지식을 중요시하는 지식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교육제도 변화에 발맞추어 최근 급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스마트러닝은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교수-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 본연의 심리욕구를 다룬 대표적인 이론인 기본심리욕구 요인과 인간의 동기를 결정지을 수 있는 ARCS 동기이론이 상호작용성과 학습몰입, 즐거움을 통해 스마트러닝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를 실증 검증 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ARCS 동기유발에서의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을 통해 학습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가기술자격증 스마트러닝에서 수강생의 내재동기화를 지지함으로써 스마트러닝의 학습자들은 지속적 사용의도가 있다. 따라서 스마트러닝을 통한 국가기술자격증의 취득의 목적을 달성하여 기술의 습득은 물론 산업의 발전과 자격증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여행자의 온라인여행사(OTA) 선택속성과 재방문 시 선택속성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ravelers' Online Travel Agency(OTA) selection attributes and revisit selection attributes)

  • 양찬열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4호
    • /
    • pp.175-193
    • /
    • 2018
  • 본 연구는 온라인 여행사(OTA) 이용 여행자들의 최초 선택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과 재방문 시에는 온라인 여행사 선택요인이 중요도에서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선택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온라인 여행사(OTA)를 이용한 경험이 있거나 이용하고자 하는 여행자들의 온라인 여행사 선택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과 어떤 요인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재방문 시에는 중요도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온라인여행사 최초 이용자와 재방문자 간의 재방문 시 선택속성 차이에 관한 검증 결과 "적극적인 컴플레인 해결태도, 변경 및 취소의 편리성, 티켓과 서류의 배송서비스, 컴플레인 제기 편리성, 서비스 보상제도, 최신정보의 갱신 신속성, 예약절차의 간편함, 과거 만족시켜 주었던 정도, 직원의 업무처리능력, 다양한 결제수단과 결제의 안전성, 오프라인 여행사와의 연계성"과 같은 서비스 환경 구축과 강화에 중점을 두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었다. 또한 최초 방문시 선택속성별 온라인 여행사에 대한 만족도 분석 결과 선택요인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중 컴플레인 제기 편리성, 잘아는 직원의 유무, 적극적인 컴플레인 해결태도와 같은 A/S 환경요인이 만족도에 공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편민원 대응에 대한 적극적인 고객 서비스의식(Customer Satisfaction Mind)과 이용의 편리성 등 체계적인 서비스 구조를 원하고 있으며, 이는 온라인 여행사의 생존과 발전을 위한 필요한 마케팅 전략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재방문 시 선택속성별 온라인여행사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 최초 방문자를 표적시장으로 한 마케팅 집중전략이 유효하며, 이는 온라인여행사의 생존을 위한 필수 마케팅 추진전략의 일환(一環)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의류 브랜드 커뮤니티의 이용욕구 충족과 커뮤니티 몰입의 관계: 의류 브랜드 이미지의 조절효과 (Relationship Between Usage Needs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Apparel Brand Communities: Moderator Effect of Apparel Brand Image)

  • 홍희숙;류성민;문철우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51-89
    • /
    • 2007
  • 본 연구는 의류 브랜드 온라인 커뮤니티의 이용욕구충족과 커뮤니티 몰입간의 관계 및 이들 관계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9개 캐주얼 의류 브랜드 커뮤니티 회원 31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의류 브랜드 커뮤니티에서의 이용욕구 충족은 커뮤니티에 대한 몰입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조절회귀분석 결과, 의류 브랜드 커뮤니티에서의 관계욕구 충족이 커뮤니티 몰입(감정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에 영향을 미칠때 의류 브랜드 이미지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가 작용함이 발견되었다. 또한 의류 브랜드 이미지의 조절효과는 의류 브랜드 커뮤니티에서의 거래욕구 충족과 커뮤니티에 대한 감정적 몰입의 관계에서도 나타났다. 특히 의류 브랜드 커뮤니티인 경우, 커뮤니티에서의 관계욕구 충족수준에 따른 커뮤니티 몰입의 정도는 브랜드 이미지가 낮을 때 보다 높을 때 더 크게 나타났다. 이것은 의류 브랜드 커뮤니티에서의 이용욕구 충족을 통해 회원들의 커뮤니티 몰입을 증대시키는 전략은 의류 브랜드 이미지 수준이 다른 의류 브랜드 유형에 따라 그 효과에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의류기업의 마케터들은 자사 브랜드의 이미지 수준을 평가하고, 이에 맞춰 커뮤니티 몰입을 증대시키는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브랜드 커뮤니티에 대한 몰입은 브랜드에 대한 구전이나 재구매 행동과 연결되므로, 명품 의류 브랜드들인 경우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회원들의 커뮤니티에 대한 몰입을 증대시킴으로써 브랜드 자산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 PDF

만성 두통 환자에서 Botulinum Toxin Type A 치료 (Botulinum Toxin Type A Therapy in Chronic Headache Patients)

  • 문동언;문영은;김시현;김은성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8권1호
    • /
    • pp.29-33
    • /
    • 2005
  • Background: Chronic headache (CH) constitutes a significant public health problem, impacting on both the individual sufferer and society. Patients with CH, unresponsive to drug therapy or nerve block, suffer considerable disability due to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attacks; therefore, they should be considered for novel therapy. Botulinum toxin type A (BoNT-A) has shown significant promise in the management of CH. In this paper, we review recent evidence on the efficacy of BoNT-A, and also report our experience with this treatment in CH patients. Methods: BoNT-A was used to treat 69 CH patients, including 47 in a chronic migraine group and 22 in a non-migraine CH group, who showed therapy-resistance to palliative drug or nerve block. We investigated the demography, dosage and site of BoNT-A injection, and used a visual analogue scale (VAS) for pain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d a Friedman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on ranks. Results: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VAS for pain were found in both the chronic migraine and non-migraine CH groups, from 2, 4 and 12 weeks and from 4 and 12 weeks, respectively, after BoNT-A administration (P < 0.05). The chronic migraine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VAS scores for pain than the non-migraine CH group from 2, 4 and 12 weeks after the BoNT-A administration (P < 0.05). Twenty eight patients (59.2%) in the chronic migraine group and eight (36.4%) in the non-migraine CH were satisfied with the BoNT-A treatment. Conclusions: This clinical study revealed that the use of BoNT-A demonstrated efficacy for CH patients resistant to drug therapy or nerve block. Moreover, BoNT-A proved itself more effective in the chronic migraine than non-migraine CH group.

일반인의 교정치료에 대한 지식수준, 태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orthodontic treatment knowledge and attitude among people in general)

  • 이선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51-260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knowledge of people in general about orthodontic treatment and their attitude to that by conducting a survey in a bi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improvement of their incorrect awareness of orthodontics and on the development of clinical orthodontic treatment. Methods and Result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89 people in general who resid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s for awareness of orthodontic treatment among the people in general by gender, the women knew better about orthodontic treatment than the men, and the gender gap was significant(p<0.05). 2. Concerning satisfaction with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teeth by age, those who were in their 20s were most satisfied, and the teens were satisfied the least. There were significant gaps according to age (p<0.05). 3. As a result of checking the degree of their inconvenience about the use of chewing teeth by age, the people who were in their 30s felt the most inconvenience, and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ignificant(p<0.01). 4. As a result of asking them whether they had an intention to receive orthodontic treatment, the women had a more intention to do that than the men(p<0.001). By age, the younger respondents had a more intention, and the gaps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ere significant(p<0.001). 5. As a result of analyzing their perception of the positives of orthodontics by gender, the women took a more positive view of it than the men, and their gap was significant(p<0.01). Conclusions : When orthodontic treatment or orthodontic treatment counseling is provided to orthodontic treatment patients or people in general in the field of clinical dentistr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way patients and people in general look at orthodontic treatmen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ge and gender, and they should be informed of the positives of orthodontic treatment to step up the development of orthodontic treatment.

체중조절용 조제식품과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섭취자의 제품구매 및 취식 행태에 관한 연구 (Study on purchase and intake patterns of individuals consuming dietary formula for weight control or health/functional foods)

  • 원혜숙;이효진;곽진숙;김주희;김미경;권오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6호
    • /
    • pp.541-551
    • /
    • 2012
  • 본 연구는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또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을 섭취하는 성인의 제품유형별 구매 및 취식행동과 제품요소의 중요도 및 만족도을 조사함으로써, 소비자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조사 대상자는 남자 28.6%, 여자 71.4%, 평균연령 $34.2{\pm}5.9$세, 대졸 71.9%, 기혼 65.8%로 나타났고, 월평균소득은 300만원 이상인 가정이 총 88.1%로 높게 나타났다. 제품 구입 시 고려하는 요인으로 '제품의 기대효과/효능'을 우선하였고, 구입 장소는 '인터넷 쇼핑몰'이 가장 많았고, 제품의 제형에서는 건강기능식품은 '알약형태',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은 '바형태'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p < 0.001). 제품을 구입 시 건강기능식품군은 평균 $2.3{\pm}1.3$개월분, 체중조절용 조제식품군은 $1.7{\pm}0.8$개월분을 구입 (p < 0.001)하였고, 1일 평균취식빈도가 각 $1.7{\pm}0.7$회, $1.5{\pm}0.9$회 였다 (p < 0.05). 제품을 이용한 체중감량 목표기간은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은 $2.1{\pm}1.1$개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군은 $1.7{\pm}1.2$개월 (p < 0.05)였다. 제품만족도는 5점 기준으로 평균 $3.6{\pm}0.6$점으로 '만족하는 편'이였다. 향후 이용 체중감량방법으로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은 향후에도 '건강기능식품복용'이 44.5%,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군은 '체중조절용 조제식품복용'이 47.2%로 현재 제품유형을 향후에도 사용하고자 하였다. 향후 건강기능식품 구입 시 취식예정 평균 개월은 건강기능식품군이 $3.8{\pm}3.7$개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군 $3.0{\pm}2.4$개월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 < 0.05). 효능/효과 관련 핵심 요소 분석에서는 건강기능식품에서 '체중감량에 도움을 줌', '체지방 축적 억제에 도움을 줌'이,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에서는 '체중감량에 도움을 줌', '몸매개선에 도움을 줌'이 상대적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아 가장 중요하게 관리/대처해야 하는 속성으로 나타났다. 원산지/원료 관련 핵심 요소 분석에서는 상대적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은 속성으로는 건강기능식품에서 '몸에 좋은 효과가 입증된 성분/소재를 사용함'이,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에서는 '기능성 원료 외에 함께 들어가 있는 원료가 좋아 보임'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은 체중조절용 조제식 섭취군에 비해 체중감량 목표기간을 좀 더 길게 설정을 하여 체중조절에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품의 기능성과 소재 (원료)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중요하게 여기며 만족도도 높은 특성을 보였다. 체중조절용 조제식품군은 비교적 단기간의 체중감량 목표기간을 설정하여 체중조절에 이용하며, 기능성원료 외에도 함께 첨가되는 원료를 중요하게 또한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상업용 다이어트식품 시장 중 법적인 관리 하에 판매되고 있는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또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시장의 비중이 점점 커짐에 따라 산업체들의 관련 제품의 연구개발 및 마케팅 전략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dot}$고등학생들의 인터넷을 이용한 의복 구매 행동 연구 (A Study on Clothing purchase Behavior through interne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권리라;김미정;이혜자;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9-47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사용의 주 이용 연령인 중${\cdot}$고등학생들의 인터넷 쇼핑을 이용한 구매 실태, 인터넷 쇼핑을 이용한 의복 구매 행동m 의복 구매 태도를 조사하여 인터넷 쇼핑에 대한 중${\cdot}$고등학생의 올바른 소비자 교육 자료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분석을 위한 설문지는 2004년 11월에 서울, 대구, 경기, 충북, 충남. 경북, 경남 지역의 중${\cdot}$고등학생들에게 배포하여 수집하였다. 첫째, 인터넷에서 구입한 의복 품목은 티셔츠 및 남방, 신발 청바지 및 캐쥬얼 하의, 가방류 순으로 $2\~3$만원 미만의 중저가 제품을 주로 구입하였다. 주된 결제 수단은 무통장 입금이었다. 둘째, 의복 구매 만족도는 비교적 높았으나 제품에 대한 보상 만족도는 낮았다. 제품이 민족하지 못한 경운 적극적인 불평 행동을 하고 있었다. 셋째, 반품 품목은 티셔츠 및 남방, 청바지 및 캐주얼 하의, 신발류로 구매 품목과 같은 순이었고, 반품 요인은 사이즈가 맞지 않거나 컴퓨터 화면과 실제 상품과의 차이로 인한 것이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자의 $89.0\%$가 인터넷으로 재구매할 의사가 있다고 나타났다. 넷째. 의복구매와 관련된 인터넷 쇼핑에 대한 태도는 쇼핑의 편이성 항목에서 높았으며 특히. 제품의 다양성과 가격 경쟁 면에서 장점을 가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인구 통계학적 특성 변인에 따라 의복 구매 행동과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구매 경험과 의복 구매 경험 유무에서는 학년 지역, 월용돈 액수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구매한 의복 품목에 대해서는 성별에 따라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중${\cdot}$고등학생의 인터넷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인터넷으로 제품을 구매하는 기회가 많아졌고 특히, 의류 제품 구매 비율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이에 대한 합리적인 구매 행동을 위하여 체계적인 소비자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

개흉술 후 냉각요법과 경막외 Fentanyl 병용요법의 비교 (The Effect of the Combined Analgesia of Epidural and Cryoanalgesia after Thoracotomy Surgery)

  • 신진우;최인철;하승일;심지연;이청;박승일;윤창섭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4권1호
    • /
    • pp.68-75
    • /
    • 2001
  • Background: Thoracotomy is the operation that produces the most postoperative pain, necessitating the highest requirements for postoperative analgesics. The common methods of treating postthoracotomy pain are the use of thoracic epidural analgesia, intemittent or continuous intercostal nerve blocks, intravenous narcotics and cryoanalgesia. We designed to assess the analgesic effect of epidural analgesia, cryoanalgesia and the combined analgesia in thoracic surgery. Methods: A prospective study was carried out in 59 patients undergoing elective thoracotomy for parenchymal disease. Patients were randomized into three groups: C (cryoanalgesia), CE (cryoanalgesia and thoracic epidural analgesia), E (epidural analgesia). All patients had standard anesthesia with endotracheal intubation using a double lumen endotracheal tube, and one-lung ventilation. Subjective pain relief was assessed on a visual analog scale. Analgesic requirements, complication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ere evaluated during the 7 days following surgery. Results: Subjective pain relief was significantly better in Group CE and Group E in comparison with Group C (P < 0.05). Cryoanalgesia provided a better pain score on the 6th and 7th POD than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s. Analgesic requirements were higher in Group C than in the Group CE and Group E during the first POD. The incidence of side effects was similar in Group CE and Group E. Conclusions: If we can reduce the concentration of fentanyl and local anesthetics in combined analgesia of epidural and cryoanalgesia, the disadvantages of each method would be overcome and would be a better method of postthoracotomy pain control.

  • PDF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Ablative and Non-Ablative Fractional Laser Treatments for Early Stage Thyroidectomy Scars

  • Jang, Jin-Uk;Kim, Soo-Young;Yoon, Eul-Sik;Kim, Woo-Kyung;Park, Seung-Ha;Lee, Byung-Il;Kim, Deok-Woo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575-581
    • /
    • 2016
  • Background Open thyroidectomy is conventionally performed at the anterior side of neck, which is a body part with a comparatively great degree of open exposure; due to this, postoperative scarring may cause distress in patients. We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ablative and nonablative fractional laser treatments on thyroidectomy scars. We examined medical records in a retrospective manner and analyzed scars based on their digital images by using the modified Manchester Scar Scale (mMSS). Methods Between February 2012 and May 2013, 55 patients with thyroidectomy scars were treated with ablative (34 patients) or nonablative (21 patients) fractional laser. Each patient underwent 4 laser treatment sessions in 3-4 week intervals, 1-2 months postoperatively. Scar improvement was assessed using patient images and the mMSS scale. Results The mean decrease in scar score was 3.91 and 3.47 in the ablative and nonablative groups, respectively; the reduction between 2 groups did not exhibit any significant difference (P=0.16). We used the scale once again to individually evaluate scar attributes. The nonablative group accounted for a considerably higher color score value (P=0.03); the ablative group accounted for a considerably higher contour score value (P<0.01). Patient satisfaction was high and no complications occurred. Conclusions Both types of fractional laser treatments can be used successfully for thyroidectomy scar treatment with minimal complications; however, results indicate that higher effectiveness may be obtained from the use of ablative and nonablative lasers for hypertrophic scars and early erythematous scars, respectively. Therefore, the appropriate laser for scar treatment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its specific characteristics.

Remifentanil-Propofol Sedation as an Ambulatory Anesthesia for Carpal Tunnel Release

  • Lee, Jae-Jun;Hwang, Sung-Mi;Jang, Ji-Su;Lim, So-Young;Heo, Dong-Hwa;Cho, Yong-J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8권5호
    • /
    • pp.429-433
    • /
    • 2010
  • Objective : This prospective study evaluated the use of continuous sedation using propofol and remifentanil when carpal tunnel release (CTR) was performed under local anesthesia. Methods : We sedated 60 patients undergoing CTR using local anesthesia with remifentanil at loading and continuous doses of $0.5\;{\mu}g\;kg^{-1}$ and $0.05\;{\mu}g\;kg^{-1}min^{-1}$, respectively, and propofol, using a target controlled infusion (TCI) pump set to a target of $2\;{\mu}g\;mL^{-1}$ (group A), or with the same drug doses except that the continuous remifentanil dose was $0.07\;{\mu}g\;kg^{-1}min^{-1}$ (group B) or $0.1\;{\mu}g\;kg^{-1}min^{-1}$ (group C). Results : In group B, the levels of pain when local anesthetics were administered (p = 0.001), intraoperative pain (p < 0.001) and anxiety (p = 0.001)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group A. Furthermore, the incidence of adverse events, including desaturation (p < 0.001) and vomiting (p = 0.043),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B than in group C. Conclusion : Continuous sedation using an appropriate dose of remifentanil and propofol can be used as safe, efficacious ambulatory anesthesia in cases of CTR under local anesthesia, performed using only 2 mL of local anesthetic, with a high degree of patient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