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회관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1초

일제강점기 울산지역 극장의 공연활동과 사회적 역할 (Performance Activities and Social Role of the Theater in Uls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김정호
    • 공연문화연구
    • /
    • 제42호
    • /
    • pp.107-146
    • /
    • 2021
  • 이 글은 일제강점기 울산지역의 극장에서 이루어진 공연활동의 현황을 살펴보고, 당시 공연문화의 특징과 사회적 역할을 고찰하였다. 일제강점기의 문화공간은 크게 극장공간과 준 극장공간으로 나눌 수 있다. 울산지역의 극장공간에는 대정관, 상반관, 울산극장 등이 있으며, 준 극장공간은 울산청년회관, 울산청년동맹회관, 병영청년회관, 언양청년회관, 언양청년동맹회관, 언양기독교회관, 언양 협성여관, 언양공립보통학교, 학성공립보통학교, 서생학교, 울산공보교대강당, 언양여자야학관 등이다. 이들 공간은 특정 목적의 행사나 공연이 개최되었을 뿐만 아니라 지역담론을 생산하는 공적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했다. 극장은 영화 상연과 함께 공연이 이루어지는 공간, 예술가와 관객이 만나는 복합적인 문화 공간이었다. 나아가 극장은 단순히 무대 공간의 의미를 넘어 식민지 근대화와 근대의 도시 형성, 새로운 대중문화의 출현 등 다양한 이슈들을 생산, 소비하는 특수한 경험을 제공하였다. 울산의 극장들도 지역극장의 건립 목적에 맞게 외래문화 수용과 여가활동, 문화콘텐츠의 상연과 관람, 지역예술가들의 예술적 기량을 나타낼 수 있는 공간으로서 기능하였다. 그리고 정치 집회나 모임, 강연 활동, 각종 대회 등을 개최함으로써 지역담론 생산과 향유 활동의 거점 공간이었다. 정치 집회는 연주회와 겸하였고, 계몽 활동은 영화 상영과 겸하였으며, 음악 연주는 무용 공연, 자선모임과 결부되기도 했다. 특히 울산최초의 극장이라고 볼 수 있는 '상반관'과 공회당의 역할을 겸한 '울산극장'은 영화 상영과 함께 음악극, 동요대회, 동화구연대회, 소인극 공연, 가극 및 무도회 등의 공연과 함께 대중계몽을 위한 강연회, 토론회, 웅변대회를 개최하였다. 그리고 대규모의 집회장소로 널리 활용되었고, 외부 극단 방문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등 공회당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준 극장공간도 마찬가지였다. 이처럼 일제강점기 울산지역의 극장과 준 극장공간은 지역의 문화적 수준을 향상시켜 지역민들의 심미적 욕구 충족과 동시에 여론과 의제를 선도하는 공론장으로서의 사회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다. 그리고 근대사회의 대안적 공공영역으로 위치하면서도 공공기관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였다.

지역 공공극장 운영 활성화를 위한 드라마투르그 제도 도입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a Dramaturg System for the Active Management of Local Public Theaters)

  • 황아람
    • 예술경영연구
    • /
    • 제60호
    • /
    • pp.69-92
    • /
    • 2021
  • 본 연구는 공연장 전문인력으로서 드라마투르그라는 직무 도입의 필요를 주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드라마투르그란 연극, 무용 등 공연예술 작품 제작 과정에서 예술적 지향을 제시해주는 전문 스태프를 의미하는 것으로 개별 작품에 참여하는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그와 극장 내 상주하는 상임 드라마투르그로 구분된다. 본고에서는 상임 드라마투르그를 지역 공공극장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 모색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특히 지역에서 공공극장의 역할을 수행하는 문화예술회관에 드라마투르그 직무 도입 통한 이점과 이를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화예술회관 내 드라마투르그는 지역주민 대상의 문화예술서비스 확대, 지역 예술가의 창작기회 확대, 지역문화 활성화에 기여, 중앙과 지방 간의 문화격차 해소에 기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임 드라마투르그 제도 도입을 위해서는 기존 문화예술진흥법 또는 공연법 개정, 문예회관 운영 시스템 개선, 공연장 성과평가 방식 변화, 공공부문의 양성과정 신설 등 다방면의 노력이 함께 추진되어야 한다.

농촌 마을회관 제로에너지 건축물 구축을 위한 에너지 성능 분석 연구 - 충남 태안군 정죽4리 마을회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energy performance for zero-energy building of rural village hall - Focused on the Jung Juk 4-le village hall -)

  • 박미란;최정만;이정훈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1-8
    • /
    • 2018
  • In this study, we survey the 2 buildings at the Central 1 and 8 buildings at the Central 2, which are divided by each climate region in the rural regions. Major heat loss factors are 47% loss of the outer shell including outer wall, roof, and bottom, 30% loss through window, and 23% loss through crevice wind. We analyze the energy simulation of ECO2 program to construct a zero energy building regarding village hall located in Jung Juk 4-le at Centeral 2. We simulate the primary energy requirement regarding village hall and the simulated results show the $265.3kWh/m^2{\cdot}a$ and it may estimate '2' energy efficiency grade. The energy requirement regarding village hall is the $183.2kWh/m^2{\cdot}a$ when the passive technology are applied in village hall. We research total amount of energy requirement in village hall when the passive and active technologies such as solar cell with 3kW and solar thermal with $20m^2$, geothermal power with 17.5kW. The simulated results show the improved energy efficiency certification grade with $1^{{+}{+}{+}}$ due to the reduced primary energy requirement with 73% when passive technology including 3kW of solar panel is applied and the energy independence rate is 54%, which is estimated to be 4th grade of zero energy buildings. The order of energy consumption are solar panel, solar thermal, and geothermal power under applied passive technology in the building. In order to expand the zero energy building,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zero energy evaluation system in the rural region.

지방 문예회관의 규모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ize and Spatial Composition of Culture & Art Centers)

  • 이을규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61-7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and discuss architectural factors for planning the cultural facilities for performing art. For the purpose, the Culture & Art centers in major cities are investigated. The investigation focuses on the analysis of efficient utiliz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Culture & Art centers. Generally the cultural facilities must be located on the site where people can easily access, and should have various kinds and sizes of rooms which people can use for various activities. However, most of the investigated Culture & Art centers are apart from the downtown of the cities, and do not provide the varied spaces. In particular, the sizes of performing halls are too large, and this makes the ratio of room use frequency and the occupancy of seat to be low. To encourage people to use the Culture & Art Centers, the program managers should arrange various programs which reflect the needs of people, and the clients and designers should decide proper room sizes and functions through appropriate analyses of the facilities.

  • PDF

청원군지역 마을회관의 이용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Center in Cheongweon-gun)

  • 원세용;김정진;박재평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49-56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is actual conditions to analyse of community center in Cheongweon-gun and propose operation method. In this study, I deduced some problems and proposed improvement planing corresponded to new needs through such as external appearance, inner space analysis, operating actual conditions analysis and etc., of existing community center in Cheongweon-gun. And I wish to present more efficient architectural space organization and operation method with these surveying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mmunity center as representative community facilities is necessary to reflect of village characteristics on the exterior of buildings, and decision of scale and usage considered number of residents, visitors, and ages. For management of the community center, it is necessary of sustainable obtain of management cost, and provision against rebuilding and enlargement of building.

  • PDF

콘크리트 혼용타설에 따른 기초 물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Basic Properties of Mixed Concrete from Multiple Suppliers)

  • 이우진;김동수;정성훈;양현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59-60
    • /
    • 2022
  • According to the recent issue regarding the shortage of concrete supply, it is common to appoint various concrete suppliers and allow mixed pouring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requirements. Moreover, if the concrete is mixed inevitably a strength and property test is carried out for verification. Therefore, in this research, multiple concrete suppliers were selected and each required raw material was collected for the test of all variable mixed design. Through the test, the property of the unhardened and hardened concrete was quantitatively evaluated.

  • PDF

우리나라 다목적 공연장의 탄생배경에 관한 소고 (A Brief Review of Backgrounds behind "Multi-Purpose Performance Halls" in South Korea)

  • 김경아
    • 공연문화연구
    • /
    • 제41호
    • /
    • pp.5-38
    • /
    • 2020
  • 이 연구는 군사정권의 권력 전개양상에서 드러나는 문화정책이념이 '다목적 공연장'의 개념형성으로 발현되는 과정을 살펴보는데 있다. 한국의 공연장 현황은 우리나라 공연문화와 깊은 관계가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마다 그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예술회관(문예회관)을 중심으로 한국의 공연문화와 향유문화가 깊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문예회관들은 다목적홀로 운영되고 있으며 운영주체는 절대다수 정부와 지방정부 또는 출자출연기관의 재단법인 등 공공영역에서 운영한다. 따라서 정부와 지방정부의 문화예술정책의 대상이며 제도적 측면과 긴밀한 상관관계를 가지게 된다. 박정희 정권은 초헌법적인 유신을 공포하고 우리나라 문화예술법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문화예술진흥법」(1972.9)을 제정한다. 이법을 근거로 「문예중흥5개년계획」(1973)을 수립하고 문화시설들을 짓기 시작했다. 전국의 '문화예술'회관, 또는 '문화'회관이 다목적홀로 지어진 데에는 문화예술진흥법의 "문화예술"에 대한 정의를 "문학, 미술, 음악, 연예 및 출판에 관한 사항"으로 명시함으로써 지금의 '다목적'개념의 근거가 된다. 한편, 문화공보부의 조직직제는 "문화와 예술"을 관장함을 명시하고 대중문화와 예술진흥을 구분 짓는 문화행정체계를 갖춘다. 그러나 이시기 대통령의 연설에 나타난 박정희의 화법은 '문화예술=예술'로 인식하고 있다. 예술은 문화에 포함되는 개념이지만 문화예술=예술로 인식함으로써 정치적 시국이나 시행부서에 따라 그 해석을 달리하였고, 이러한 모호성은 예술이 이데올로기적 활용에 정책적으로 동원되는 기제가 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문화예술진흥법에 근거하고 문화공보부의 관장 하에 1978년 다목적 공연장인 세종문화회관이 개관한다. 그러나 제도상의 문화예술=다목적과 설립을 추진했던 정부조직의 문화≠예술, 권력이 인식했던 문화예술=예술은 대중음악의 대관문제를 두고 가치충돌로 표출된다. 1979년 12·12사태로 정권을 장악한 신군부는 민족문화를 앞세운 국풍81을 통해 저항세력을 체제 안으로 끌어들이고자 했다. 정권의 의도는 실패하였고, 저항과 지지의 양축에서 국민적 지지를 확보하는 방안으로 국민의 문화향유 기회확대 정책에 방점을 둔다. 이는 앞 정권의 문화예술에 관한 인식의 전환이며 박정희 정권과의 차별화를 추구한 것이다. 전두환 정권에 있어 앞 정권과의 차별성은 곧 정권의 정당성 확보를 의미하는 것이었고 향유기회의 확대는 문화영역의 분배 차원에서 추진되었다. 따라서 장기적인 안목의 예술발전으로 자리매김 되지 못했고 하드웨어의 상징성으로 정권의 정당성 확보를 실현하려고 하였다. 오늘날 다목적 공연장의 개념은 유신체제하에 만들어진 법체계의 "문화예술"의 정의에 기인한 것이며 이를 근거하여 공공 공연장의 운영목적으로 '다목적'의 개념이 탄생한다. 군사정권을 이은 전두환 정권은 프로시니엄 구조의 다목적 공연장을 정권의 정당성 확보의 수단으로 표출하였고, 전국적으로 재생산 되어 오늘날 한국의 공연문화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농촌 마을회관의 노인 복지서비스 공간으로의 활용 방안 - 평면과 이용행태 분석을 중심으로 - (Conceptual Directions of Village Community Center into a Rural Elderly's Welfare Service Space in Chonbuk Province)

  • 최병숙;박선희;오찬옥;홍찬선;임상봉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80-93
    • /
    • 2006
  • This purpose was to explore various directions of elderly service welfare space in village community center. Data were collected 3 types that floor plans of village community centers from 24 villages, interview data of these centers use and needs from 24 aged leaders or 96 elderly.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1) The floor plans of more than 50% was type IV that was composed a basic spaces(entrance, living room, two rooms, kitchen), a toilet space, a heating system space and a storage space. This type was a current basis of the rural village community centers for elderlies. 2) Elderlies used the centers at winter or out of agricultural season, and visited these to pass the time and to promote friendship among them. 3) Also they went these to take a meal together and to save down personal heating expenses. Their needs for centers were a temporary share dwelling space at winter, a maintain social relationship throughout a health, a education and a side work activity, supplying health or sports facilities, and setting up toilet space. Therefore the current centers were needed to add functions of a temporary share dwelling, a energy saving heat system and a social promoting relationship, and so these could be represented to a elderly welfare service center in rural villages.

  • PDF

사회교육시설로서 여성회관의 시설현황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ondition of Women's Hall as Social Education Facilities)

  • 임선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5권1호
    • /
    • pp.40-53
    • /
    • 2006
  • Recently, women's social activities in our society have been greatly increased and legal system and mechanism of social structure to pursue a society where gender equality shall be realized has been discussed lively in a detail manner. Nevertheless, the rate of social advancement of Korean women shows much lower than that of the western industrialized countri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uch problem and to look for a solution thereof. As the subject for this survey, such social welfare facility as women's hall was selected, and then its state of facilities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from this survey revealed that women's hall, which had been started constructing since 1950s, began to spread out nationwide reaching the 1990s, and that women's hall was greatly used as a major public facility that supports women's social activities in each region, and that women's hall, which had been started as a social welfare facility, was a multifunctional facility performing functions such as welfare, education, culture and community, and that educational function among these had been changed a little by little in the aspect of contents and purpose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imes, however, education for women was treated as a major important function in the women's hall and operated accordingly.

  • PDF

커뮤니티 참여디자인의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 노인회관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thod of Approach for Participatory Design in Community - Focused on the Case Study In a Senior Hall -)

  • 박우장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45-55
    • /
    • 2004
  • This study theoretically investigated the conceptional and technical aspect of participatory design as an approaching scheme for participatory design in community This study operated a case study in an senior hall which is expected to be the important institution for future aging society This study discussed the tool's potentialities after investigating technique's developments and usefulness. The main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1) Conceptual approachment for participatory design in community starts with the attitude of designers establishing moral, philosophical and social sense of value as the mediator in city and region. And proceed the design in the method of mediating the opinion with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the government. 2) The technical approachment should be more concentrated with the method of making the members interested and treat the rationalized process and proceedings more important. And develop this as a tool which Is easily understandable, more convenient when working, and has a adaptability in application. 3) The given technique in case study is produced with the data of demanded rooms, preferred image, priority, and room-layout game, and verified it's usefulness by analyzing and discussing of process and technique, and this technique can be useful after specific complement work as a res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