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96hr-LC$_{}$ 50/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8초

카드뮴과 수은 폭로시 참게(mitten crab, Eriocheir sinensis) 유생의 사망률과 생물농축 (Death Rate and Bioaccumulation on the Early Development of Mitten Crab by Treatment of Cadmium and Mercury)

  • 이복규;허만규
    • 환경생물
    • /
    • 제22권3호
    • /
    • pp.369-375
    • /
    • 2004
  • 참게(E. sinensis)의 유생 생장에 미치는 기초적인 환경 및 생물학적 정보를 얻기 위해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참게 유생을 카드뮴과 수은의 0.1, 0.2, 0.3 ppm농도에 처리하였다. 참게의 생존율과 카드뮴과 수은의 중금속 농도와 양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런데 96시간 사육시 카드뮴과 수은의 반수치사농도는 유생 단계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반수치사농도는 카드뮴이 수은보다 높았으므로 수은이 더 치명적이였다. 중금속의 축적은 카드뮴과 수은 모두 메가로파 시기부터 급격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참게의 유생의 생육에서 카드뮴과 수은은 참게 유생의 생존에 치명적이며 생물농축이 일어났다.

The Sterilization Effect of Methylene Blue, Formalin, and Iodine on Egg and Adult Stage of Marine Medaka, Oryzias dancena

  • Park, In-Seok;Baek, Se-Won;Moon, Ki Hwa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3권3호
    • /
    • pp.199-211
    • /
    • 2019
  • The sterilization effects of methylene blue (MB), formalin, and iodine on the egg of marine medaka, Oryzias dancena, were investigated for disinfecting naididae worm, Chaetogaster diastrophus through sterilization. To determine harmfulness of MB, formalin, and iodine, lethal concentrations 50 ($LC_{50}$) of three chemicals were analyzed in the eggs of marine medaka. The sterilized periods of each chemical were set at 1 hr. Sterilized rates of naididae worm in each chemical were significantly affected and increased drastically as the concentration of each chemical increased (p<0.05). Sterilization abilities of naididae worm were most effective for formalin, but survival rates of egg and hatched rates for formalin were lowest among each chemical. The $LC_{50}$ of MB over 96 hrs were 185.26, 103.84, and 127.15 ppm for adults, juveniles, and eggs respectively. The toxic effects of MB were clearly dose dependent for each life stage (p<0.05). The toxicity sensitivity of juveniles to MB was dramatically higher than that of other groups. In 48 hrs after sterilization, cortisol and glucose concentrations of the adult group with MB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adult group with no treatment (p<0.05). This research provides useful data on sterilization effect of MB, formalin, and iodine, acute toxicity in marine medaka egg and toxicity, sensitivity of life stage of MB in marine medaka.

전이금속 갈륨이 금붕어(Carassius auratus)의 적혈구 및 혈청의 생화학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ansition Metal Gallium on the Serum Biochemistry and Erythrocyte Morphology of Goldfish (Carassius auratus))

  • 김동휘;숩라마니안 다라니다란;장영환;박소현;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308-1312
    • /
    • 2016
  • 갈륨은 갈륨비소와 같은 고속 반도체 제작에 사용되는 금속간 화합물 중 하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금붕어(Carassius auratus)에 갈륨을 적용 시 일어나는 혈청의 생화학 변수, 급성독성 및 적혈구 형태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LC_{50}$은 96시간 째 갈륨 농도 9.15 mg/ml로 나타났다. 갈륨을 농도별(2.0, 4.0, 8.0 mg/ml)로 금붕어에 노출시켜 28일 동안 독성실험을 하였다. 독성실험 결과 혈청의 생화학(글루코즈, 혈액요소질소, 크레아티닌,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반응에서 갈륨 미처리 그룹과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갈륨의 노출에 따른 적혈구의 변형으로 인한 호흡장애를 유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에 사용된 금붕어와의 동일한 크기에 갈륨을 적용할 때 생물학적으로 안전한 농도는 2.0 mg/ml로 사료된다.

Histopathology and residues in fresh water fish exposed to acute and chronic copper and mercury toxicity

  • Sawsan, H.A.;Amira, H.M.;Mostafa, M.B.;Nashaat, AM.M.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5-134
    • /
    • 2017
  • A total number of 668 apparently healthy fish were obtained from farm to study the effect of two heavy metals (Copper and Mercury) on histopathology of liver, kidney, spleen, gills and muscles also residues in muscles. The $LC_{50}$/96 hr. of Cu and Hg were estimated and fish exposed to 1/2 $LC_{50}$ for 7 days and for 1/10 $LC_{50}$ for 8 weeks from each product separately. Histopathological findings in acute and chronic mercuric chloride toxicity revealed degeneration and necrosis in the glomeruli, interstitium tissue and epithelium lining renal tubules. The tubular epithelium became necrotic at several places. Eosinophilic hyaline droplets is exist in the cytoplasm of the necrosed cells. Degenerative changes and hyperactivity in melanomachrophage center was seen in the spleen together with some necrotic areas. Necrosis and aggregation of melanomachrophage were seen in the hepatic cells, Hepatic cells showed vacuolar degeneration in the hepatic cells. Gills showed loss in the lamellae of the filaments associated with edema, inflammatory cells infiltration and haemorrhages in the arch. The sarcoplasm of the bundles of the skeletal muscle showed granular degeneration and focal inflammatory cells infiltration between the hyalinized bundles. Mercury residues obtained from these studies in the acute toxicity were 0.22 ppm/gm in the 2nd day, 0.411 ppm/gm in the $5^{th}$ day ended with 0.96 ppm/gm in the $7^{th}$ day. In chronic toxicity it was 1.1320, 1.7140, 2.3620 and 3.5640 ppm/gm respectively from the $2^{nd}$ to the $8^{th}$ week of exposure. In acute and chronic copper toxicity, there was degenerative changes in renal tubules. Melanophores aggregation in the wall of the blood vessels of the spleen and depletion of some of the melanophores in the melanomachrophage were seen together with necrosis in some areas. Congested Mvs (Micro vessels) and vacuolation of hepatocytes were observed. Some areas of hemorrhage and melanophores vacuolar degeneration in the liver were seen. There was mitosis in some areas with displesia of hepatopancreatic cells and eosinophilic granular cells aggregation. Zymogen granules disappeared and there were dyplastic hepatocytes. Congestion in the blood vessels of the gill filaments, associated with massive number of granular eosinophilic cells infiltration were seen in the base of the filaments. There were sever vacuolization and hyalinization in the skeletal muscle bundles. Detection of residues of copper sulfate revealed increase of the amount of copper measured in ppm/gm comparing to the normal control starting from 0.60 ppm/g in the $2^{nd}$ day, 0.67 ppm/g in the $5^{th}$ day and 0.67 ppm/g in the $7^{th}$ day. Result obtained in chronic copper sulfate toxicity revealed gradual increase of the amount of copper which ranged from 0.18 ppm/g at the $2^{nd}$ week to 0.21 ppm/g in the $8^{th}$ week of exposure.

인공어초어장의 어류 군집상과 어획량 변동 (Variations of Fish Community and Fish Density on Artificial Reefs)

  • 이정우;강영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35-548
    • /
    • 1994
  • 각 해역에 시설된 사각형, 반구형, 원통형 인공어초어장의 어류 군집상 및 어획량 변동을 조사하여 인공어초 모형에 대한 어종 친화성과 해역별 최대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적정 어초모형에 대해 논의하였다. 1988년 5, 7, 9, 11월에 각 1회씩 삼중자망으로 어획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어획된 어류는 종별로 분류하여 계수하였다. 인공어초어장에서 출현한 총 어종수는 45종이며 볼락류, 쥐노래미, 가자미류, 쥐치 및 말쥐치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사각형 인공어초어장에서는 총 38종이, 원통형 인공어초어장에서는 총 31종이, 그리고 반구형 인공어초어장에서는 총 18종이 출현하였다. 해역별 주요 우점종은 대부분이 가자미류, 가오리류, 쥐치, 말쥐치, 쥐노래미, 볼락류와 같은 연안정착성 혹은 저서성, 암초성어류였으며 남해 외양만이 회유성 어종인 고등어가 최우점종이었다. 인공어초모형에 따라 저서성, 암초성, 회유성 어류의 조성률이 다르게 나타났다. 사각형 인공어초어장에서는 회유성어류의 조성률이 높은 반면 반구형 인공어초어장에서는 저서성 어류 및 부착생물을 주로 먹이로 하는 어류의 조성률이 높았다. 동해 중부연안을 제외한 전 해역의 인공어초어장중 사각형 인공어초어장에서 어획량이 가장 높았으며, 동해 중부연안은 원통형 인공어초어장에서 어획량이 가장 높았다. 인공어초모형별 어류 군집상은 사각형 인공어초어장과 반구형 인공어초어장은 서로 차이가 있으며, 원통형 인공어초어장은 이 두 인공어초어장의 중간적인 성격을 띤 군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해역별로 보면 남해연안과 서해 남${\cdot}$중부연안의 군집상이 유사했고, 남해외양과 동해 남${\cdot}$중부연안의 군집상이 유사하였다./TEX>인 점을 고려하여 볼 때 수은 오염에 주의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 카드뮴의 어종별 96hr-LC50은 넙치 28.4mg/l, 숭어 2.55mg/l, 조피볼락 28.7mg/l으로 나타났다. 7. LAS의 96hr-LC50은 0.79mg/l이었고, 숭어에 대한 96hr-LC50은 0.06mg/l, 조피볼락 1.08mg/l으로 기수성 어류인 숭어의 내성이 매우 낮은 점이 특이하였다.치사하지 않으므로, 본 실험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서 무수 수송 장치를 만들면 충분히 실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X>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고, EPA, DHA 등 w3 계의 장쇄(長鎖)고도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가 $22.13\%$로 높게 나타났으며, 양적으로 많은 지방산은 포화산 중에는 palmitic acid($C_{16:0}$), monoene산 중에서는 palmitoleic acid($C_{16:1}$), polyene산 중에서는 hexadecatetraenoic acid($C_{16:4}$), eicosapentaenoic acid ($C_{20:5}$), docosahexaenoic acid($C_{22:6}$) 등이 함량이 많았다. Carotenoprotein으로부터 분리한 총 caroteoid 함량은 $8.80mg\%$였고, 주 carotenoid는 mytiloxanthin($74.79\%$), 3,4,3'-trihydroxy-7',8'-didehydro-${\beta}$-carotene($18.26\%$)였다

  • PDF

CuCl2 노출에 의해 유도되는 제브라피시의 행동과 내분비계의 변화 (Exposure to Copper (II) Chloride Induces Behavioral and Endocrine Changes in Zebrafish)

  • Sung, Jiwon;Lee, Jeongwon;Lee, Seungheon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21-330
    • /
    • 2020
  • 본 연구의 목표는 CuCl2가 지브라피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CuCl2에 대한 지브라피시의 반수치사농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시간에 따른 농도를 설정하여 노출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반응의 증가를 보기 위하여 whole-body cortisol level 측정과 행동약리학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 open field test와 novel tank test를 실시하였다. Whole-body cortisol의 sample을 수집하거나 행동실험을 실시하기 전에 CuCl2 또는 vehicle을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CuCl2의 반수치사농도는 24시간, 48시간, 96시간에서 각각 30.3, 25.3, 14.8 ㎍/l으로 측정되었다. CuCl2에 노출된 지브라피시의 novel tank test의 결과는 총 이동거리, 움직이는 시간 그리고 속도는 유의성이 있게 감소한 반면, turn angle은 최고농도에서 유의성이 있게 증가하였다(p<0.05). 다른 행동실험인 open field test의 결과에서도 총 이동거리, 움직이는 시간 속도가 CuCl2의 노출에 의해서 감소하였으며, turn angle과 meandering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CuCl2에 노출된 지브라피시의 whole-body cortisol은 1.5 or 15 ㎍/l의 농도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150 ㎍/l의 농도에서는 유의성 있는 변화를 발견하지 못하였다(p<0.05). 본 연구의 결과는 CuCl2의 노출이 지브라피시에서 치사율 증가, 행동 및 내분비의 변화 등을 포함하는 독성 반응을 야기하는 것을 나타낸다.

Carassius auratus(goldfish)를 이용한 Chlorothalonil의 단기간 생물농축계수와 분배계수의 측정 (Determination of Short-term Bioconcentration Factor and Partition Coefficient on Chlorothalonil in Carassius auratus(goldfish))

  • 차춘근;전봉식;민경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8-47
    • /
    • 1995
  • The Bioconcentration factor (BCF) is used as an important criterion in the risk assessment of environmental contaminants. Also it can be used as indicator of biomagnification of environmentally hazardous chemicals through food-chain as well as a tool for ranking the bioconcentration potential of the chemicals in the environment. This paper reports the measured BCF value on Chlorothalonil in Carassius auratus(goldfish), under steady state, and examined correlation between the BCF value and the partition coefficient or acute toxicity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Carassius auratus(goldfish) was chosen as test organism and test period were 3-day, 5-day. Experimental concentrations were 0.005, 0.01 and 0.05 ppm. Chlorothalonil in fish tissue and in test water were extracted with n-hexane and acetonitrile. GC-ECD was used to detecting and quantitating of Chlorothalonil. Partition coefficient was determined by stir-flask method. $LC_{50}$ was determined on Chlorothalonil. Carbaryl and BPMC.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short term BCFs of Chlorothalonil through relatively simple procedure in environmental concentrations. 2. $BF_3$ of Chlorothalonil in concentration of 0.005, 0.01 and 0.05 ppm were 2.1866$\pm$0.23446, 3.5269$\pm$0.23517, 10.2045$\pm$0.18053 and BCFs were 6.6543$\pm$0.55257, 6.9774$\pm$0.02500, 23.4576$\pm$2.06884, respectively. 3. Chlorothalonil concentration in fish extract and BCFs of Chlorothalonil were increased as increasing test concentration and prolonging test period. 4. Fate of test-water concentration on Chlorothalonil was greater than that of control-water con-centration. It is considered that greater fate of test-water concentration on Chlorothalonil is due to hydrolyzing nitrile group under the mild condition and substituting chloro group by some aromatic compounds in test water. 5. Determined logP of Chlorothalonil was 2.80. And determined $LC_{50}$ of Chlorothalonil in time of 24, 48, 72 and 96 hr were 0.1684, 0.1402, 0.1400, 0.1352(mg/l) respectively. And $LC_{50}$ of Carbaryl in above times were 19.918, 18.635, 18.466, 18.12(mg/l) respectively. $LC_{50}$ of BPMC were 10.248, 9.166, 9.087, 8.921(mg/l) respectively. 6. It is suggested that the BCF of Carbamates depend on partition coefficients. But BCF of Chlorothalonil, organochlorine pesticide, would be strongly influenced by steric, electronic effect of substituents than partition coefficient.

  • PDF

넙치 생존과 성장에 미치는 TBT의 독성 (The Effect of TBT Toxicity on Survival and Growth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탁건태;김중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3-108
    • /
    • 2001
  • 해수 및 먹이생물 플랑크톤으로부터의 먹이연쇄에 따른 독성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먹이사슬 시스템을 사용하여 넙치 자어에 대한 TBTO의 독성영향을 알아보았다. 0.5ng/L 농도의 TBTO를 처리하였을 때 해수 또는 먹이생물 (Chlorella and Rotifer)만에 의한 TBTO의 넙치 자어에 대한 독성도는 거의 동일하게 큰 영향을 나타나지 않았으나, 먹이생물 및 해수 모두에 의한 영향은 독성의 상승 작용으로 크게 나타났다. 넙치 치어에 대한 급성독성 실험의 결과, 1, 10, 25, 50. 100, 250, 500 및 1000ng/L의 각 TBTO 처리 농도에 대한 반수치사시간($LT_{50}$)은 각각 230.0, 48.0, 24.0, 14.6, 9.3, 5.5, 3.0 및 1.7시간이었고, 96시간 반수치사농도 ($96hr-LC_{50}$)는 3.5ng/L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만성독성 실험은 TBTO $1\sim10 ng/L$ 농도 범위에서 실시하였다. 4개월의 장기간의 실험결과를 보면, 대조군에 비해 해수와 배합사료에 TBTO를 처리한 모든 군에서 넙치 치어의 체중 및 전장은 느린 증가율을 보였다. 만성적 독성 영향은 1 ng/L의 농도에서는 침지식과 습식에 따른 넙치 치어의 성장과 생존율은 유의 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P>0.05), 해수에 직접 TBTO를 처리한 5 및 10ng/L의 TBTO 농도에서는 20일 이전에 $90\%$의 넙치 치어가 사망함으로써, 먹이생물에 처리하여 공급하였을 때보다 독성영향이 크게 나타나 넙치 치어의 성장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P<0.05).이상의 결과를 볼 때, TBTO는 최소 5ng/L 농도 이하에서 규제가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조사되어진 TBTO 평균 농도는 10ng/L이며, 선박의 출입이 잦은 항구 및 내만은 다른 유득 물질과 함께 높은 농도로 TBTO가 잔류하므로, 넙치 수정란 및 먹이생물이 생존 가능한 농도 이하로 TBTO의 사용을 규제해야 될 것이다.

  • PDF

대하의 초기생활사에 있어 아질산,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의 급성독성 (Acute Toxicity of Nitrite,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for Early Developmental Stages of Fenneropenaeus chinensis)

  • 지정훈;강주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99-205
    • /
    • 2004
  • 우리나라 갑각류의 대표적인 양식종인 대하의 초기생활사 동안의 아질산,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에 대한 급성독성 수준을 파악하여 각 발달단계에 따른 독성차이를 검토하였다. 아질산에 대한 대하의 mysis, post larva 및 juvenile기의 96시간 반수치사 농도는 각각 18.4, 32.3 및 39.8 mg/L이었고, 암모니아에 대한 대하의 mysis, post larva 및 juvenile기의 96시간 반수치사 농도는 각각 1.43, 3.45 및 3.35 mg/L이었다. 황화수소에 대한 대하의 mysis, post larva 및 juvenile기의 96시간 반수치사 농도는 각각 13.5, 22.7 및 28.5 $\mu{g}/L$이었다. 이들 오염물질에 대한 독성순위는 황화수소>암모니아>아질산 순으로 나타났다. Post larva에 대한 mysis기의 독성수준은 모든 오염물질에서 1.5배 이상을 나타냈고, juvenile에 대한 mysis기의 독성수준은 2배 이상을 나타내어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한편 juvenile에 대한 post larva기의 독성차이는 1.5배 이하를 나타내어 가장 작은 차이를 보였다.

Aquatic Toxicity Assessment of Phosphate Compounds

  • Kim, Eunju;Yoo, Sunkyoung;Ro, Hee-Young;Han, Hye-Jin;Baek, Yong-Wook;Eom, Ig-Chun;Kim, Hyun-Mi;Kim, Pilje;Choi, Kyunghee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8권
    • /
    • pp.2.1-2.7
    • /
    • 2013
  • Objectives Tricalcium phosphate and calcium hydrogenorthophosphate are high production volume chemicals, mainly used as foodstuff additives, pharmaceuticals, lubricants, synthetic resin, and disinfectants. Phosphate has the potential to cause increased algal growth leading to eutrophication in the aquatic environment. However, there is no adequate information available on risk assessment or acute and chronic toxicity.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toxic potential of phosphate compounds in the aquatic environment. Methods An aquatic toxicity test of phosphate was conducted,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obtained from a database recommended in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guidance manual. An ecotoxicity test using fish, Daphnia, and algae was conducted by the good laboratory practice facility according to the OECD TG guidelines for testing of chemicals, to secure reliable data. Results The results of the ecotoxicity tests of tricalcium phosphate and calcium hydrogenorthophosphate are as follows: In an acute toxicity test with Oryzias latipes, 96 hr 50% lethal concentration ($LC_{50}$) was >100 (measured:>2.14) mg/L and >100 (measured: >13.5) mg/L, respectively. In the Daphnia test, 48 hr 50% effective concentration ($EC_{50}$) was >100 (measured: >5.35) mg/L and >100 (measured: >2.9) mg/L, respectively. In a growth inhibition test with Pseudokirchneriella subcapitata, 72 hr $EC_{50}$ was >100 (measured: >1.56) mg/L and >100 (measured: >4.4) mg/L, respectively.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cotoxicity test of phosphate using fish, Daphnia, and algae, $L(E)C_{50}$ was above 100 mg/L (nominal), indicating no toxicity. In general, the total phosphorus concentration including phosphate in rivers and lakes reaches levels of several ppm, suggesting that phosphate has no toxic effects. However, excessive inflow of phosphate into aquatic ecosystems has the potential to cause eutrophication due to algal grow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