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9)(p14.1

검색결과 5,785건 처리시간 0.038초

SEPARATION OF GAMMA-RAYS PRODUCTION FROM $^{13}C(p,\;{\gamma})^{14}N,\;^{14}N({\gamma},\;{\gamma})^{14}N$ REACTIONS USING DOPPLER SHIFT EFFECT

  • Kim, Y.K.;Ha, J.H.;Youn, M.;Han, S.H.;Chung, C.E.;Moon, B.S.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287-290
    • /
    • 2001
  • The 9.17MeV gamma-rays from the $^{13}C(p,\;{\gamma})^{14}N,\;^{14}N({\gamma},\;{\gamma})^{14}N$ reactions were measured. The incident 9.17MeV gamma-ray was produced from the $^{13}C(p,\;{\gamma})^{14}N$ reaction at Ep=1.75MeV resonance. The 1.75MeV proton beam was accelerated using the 3MV SNU-AMS Tandetron and 1.7MV KIGAM Tandem accelerators. The enriched 13C target was $121{\mu}g/cm^2$ self-supporting foil, and we used liquid nitrogen as a resonant absorption target. We used a HP-Ge detector with 30% efficiency and less 2keV energy resolution. We developed new method to detect the scattered 9.17MeV gamma-ray from the nitrogen target by using the energy difference between the Doppler shifted gamma-ray from the $^{13}C(p,\;{\gamma})^{14}N$ reaction and the resonant absorbed and rescattered gamma-ray from the $^{14}N({\gamma},\;{\gamma})^{14}N$ reaction.

  • PDF

갈항미생물이 콩나물 부패균에 미치는 향균능력과 콩나물 생육 특성 (Study on the Antagonism of Useful Microbes against Soybean Sprout Rotting Pathogens and Their Effect on the Growth of Soybean Sprouts)

  • 김도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13-122
    • /
    • 2003
  •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콩나물 부패 원인균에 대한 길항작용과 콩나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Pseudomonas areofacience 14H-3, Pseudomouas fluorescens Rl-12, Bacillus cereus Yell균을 이용하여 콩나물 부패 원인균에 대하여 길항능력과 콩나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 areofacience 14H-3균주와 B. cereus Yell 균주는 Rizoctonia solani에 높은 길항력을 보였으며, P. areofacience 14H-3과 B. cereus Yell은 세균병에 특히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길항세균의 배양여액을 PDA에 첨가하여 콩나물 부패균의 증식 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P. areofacience 14H-3과 P. fluorescens Rl-12은 78.8% 억제율을 보였으며 B. cereus. Yell은 52.9%의 억제율을 보였다. 길항미생물과 배양여액을 처리하여 콩나물을 재배한 결과 B. cereus Yell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콩나물의 총무게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길항세균 배양여액에 콩을 침지하여 재배한 결과 200배액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생육이 양호하였다. 콩나물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 회분, 총당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조단백의 경우 B. cereus Yell(8.9%)가 control(3.6%)보다 약 2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조지방과 조섬유의 경우는 P. areofacience 14H-3, P. fluorescens Rl-12가 control보다 각각 2배 정도 함량이 증가하였다. 비타민의 경우도 대조구(9.9mg%)에 비하여 길항미생물 처리구(9.4∼10.8mg%)가 높게 나타났다.

  • PDF

알칼리 처리 및 가열, 저장에 따른 진주담치의 마비성 패류독 성분 특성 및 제독 (Detoxification and Paralytic Shellfish Poison Profile with Heating, Storage and Treatment of Alkaline in Blue Mussel, Mytilus edulis)

  • 장준호;윤소미;이종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12-218
    • /
    • 2006
  • 독화된 진주담치 (blue mussel, Mylilus edulis)를 pH 처리, 온도별 저장 그리고 가열에 의한 마비성 패류독의 독성과 독조성 특성 변화는 다음과 같다. pH 3으로 조절한 시료가 14.1 MU/g$(100\%)$으로 가장 높은 독성이 검출되었고, pH 5는 12.9 MU/g$(92.1\%)$, pH 7은 9.0 MU/g$(63.8\%)$으로 검출되었으나, 마비성 패류독은 독성이 불안정한 알칼리 조건인 pH 9에서는 3.6 Mu/g$(25.5\%)$, pH 10은 0.8 Mu/g$(5.7\%)$으로 독성 이 검출되었다. 저장기간 동안의 독성은 pH(3, 5, 7, 9) 그리고 온도(30, -5, $20^{\circ}C$)에서 5일$(19.9\~65.3\%)$까지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5일 후부터 30일까지는 약간의 독성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더 높은 온도에서 저장에서는 독성이 더 빨리 감소하였다. 대부분의 성분인 C군(C1, C2)과 GTX1,2,3,4, STX 그리고 dcSTX으로 8개의 성분이 검출되었고, 8개의 독성분 중에서 GTX1,4, STX 그리고 dcSTX는 모든 가공 조건에서 독성이 감소함에 따라 제일 먼저 감소하였다. 독성이 기준 독성치(4 MU/g)보다 3배 이상이더라도 마쇄된 패류 육에 pH를 알칼리 (pH 7이상)로 처리하고, 10분의 가열에 의해 독성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었다.

Styrylphenylsulfone 유도체의 가수분해 반응 메카니즘 (The Kinetics and Mechanism of Hydrolysis of Styrylphenylsulfone Derivatives)

  • 성낙도;권기성;김태린
    • 대한화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20-126
    • /
    • 1989
  • pH 0.0∼14.00 범위에서 styrylphenylsulfone 유도체들의 가수분해반응에 대한 반응속도론적 연구가 25$^{\circ}$C의 50% 메탄올-물속에서 자외선 분광법으로 이루어졌다. 반응속도식과 치환기 효과(${\rho}$=1.85(pH 7.0), ${\rho}$=1(pH 13.0))로부터, pH 11.0이상에서는 전형적인 Michael형의 친핵성 첨가반응, pH 9.0이하에서는 물분자에 의한 일반 염기촉매반응, 그리고 pH 9.0∼11.0사이에서는 이들 두 반응이 경쟁적으로 일어남을 제안하였다.

  • PDF

DNA Hypermethylation of Cell Cycle (p15 and p16) and Apoptotic (p14, p53, DAPK and TMS1) Genes in Peripheral Blood of Leukemia Patients

  • Bodoor, Khaldon;Haddad, Yazan;Alkhateeb, Asem;Al-Abbadi, Abdullah;Dowairi, Mohammad;Magableh, Ahmad;Bsoul, Nazzal;Ghabkari, Abdulhamee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호
    • /
    • pp.75-84
    • /
    • 2014
  • Aberrant DNA methylation of tumor suppressor genes has been reported in all major types of leukemia with potential involvement in the inactivation of regulatory cell cycle and apoptosis genes.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reports did not show the extent of concurrent methylation of multiple genes in the four leukemia types. Here, we analyzed six key genes (p14, p15, p16, p53, DAPK and TMS1) for DNA methylation using methylation specific PCR to analyze peripheral blood of 78 leukemia patients (24 CML, 25 CLL, 12 AML, and 17 ALL) and 24 healthy volunteers. In CML, methylation was detected for p15 (11%), p16 (9%), p53 (23%) and DAPK (23%), in CLL, p14 (25%), p15 (19%), p16 (12%), p53 (17%) and DAPK (36%), in AML, p14 (8%), p15 (45%), p53 (9%) and DAPK (17%) and in ALL, p15 (14%), p16 (8%), and p53 (8%). This study highlighted an essential role of DAPK methylation in chronic leukemia in contrast to p15 methylation in the acute cases, whereas TMS1 hypermethylation was absent in all cases. Furthermore, hypermethylation of multiple genes per patient was observed, with obvious selectiveness in the 9p21 chromosomal region genes (p14, p15 and p16). Interestingly, methylation of p15 increased the risk of methylation in p53, and vice versa, by five folds (p=0.03) indicating possible synergistic epigenetic disruption of different phases of the cell cycle or between the cell cycle and apoptosis. The investigation of multiple relationships between methylated genes might shed light on tumor specific inactivation of the cell cycle and apoptotic pathways.

솔과 식물 종실유의 지방산 조성 (Fatty Acid Compositions of Some Seed Oils from the Pinaceae Family)

  • 김성진;김지수;이민옥;조용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9-156
    • /
    • 1992
  • Levels of total lipids in the seeds of three species of the Pinaceae family were determined and their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also analyzed by a gas-chromatograph equipped with a capillary column coated with Carbowax 20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Lipid contents of the seeds amounted to 56.9% in P. koraiensis, 29.9% in P. thunbergii, and 21.2% in P. rigida. In all lipids 19${\sim}$20 fatty acid were detected and, surprisingly, fatty acids having ${\Delta}^5$-non-methylene interrupted conjugate double bond such as ${\Delta}^{5, 9}-C_{18:2},{\Delta}^{5, 9, 12}-C_{18:3}\;and\;{\Delta}^{5, 11, 14}-C_{20:3}$ occurred in appreciable amounts. In the lipids of P. koraiensis, the main component was $C_{18:2}{\omega}_6(45.0%)$, followed by $C_18:1{\omega} _9(26.9%)$ and ${\Delta}^{5, 9, 12}-C_{18:3}(14.6%)$, and then ${\Delta}^{5, 9}-C_{18:2}(2.2%)$ and ${\Delta}^{5, 11, 14}-C_{20:3}$ were also present. Levels of saturated fatty acid such as $C_{16:0}\;and\;C_{18:0}$ were as low as 7.5%. The seed oil of P. thunbergii predominantly comprised $C_{18:2}{\omega}_6(45.2%)$, and was then occupied by equal amounts ${\Delta}^{5, 9, 12}-C_{18:3}(18.1%)$ and $C_{18:1}{\omega}_9(18.1%)$. Its ${\Delta}^5, 11, 14}-C_{20:3}(5.8%)$ level was the highest in the samples tested. ${\Delta}^{5, 9}-C_{18:2}(2.8%)$ was also detected with other minor components. In the oils from the seeds of P. rigida, $C_{18:2}{\omega}_6$ was present as a main component, accompanied by $C_{18:1}{\omega}_9(21.6%)$ and ${\Delta}^{5, 9, 12}-C_{18:3}(20.3%)$. The latter showed higher level than in any other samples. A minor component corresponding to ${\Delta}^{5, 9, 12, 15}-C_{18:4}$(not confirmed by GC-Mass) occurred in P. thunbergii and P. rigida.

대학생의 스마트폰중독, 수면부족, 수면시간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martphone Addiction, Lack of Sleep and Sleeping Hours of University Students)

  • 한현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213-219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수면부족, 수면시간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K시의 G대학에 재학 중인 280명으로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9월 6일- 10월 10일까지이며 자료 분석은 SPSS ver. 22.0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남자생 64명(22.9%), 여자 216명(77.1%)이었고, 평균연령은 $20.31{\pm}3.37$세이다. 스마트폰 중독 점수는 평균 $34.79{\pm}7.6$, 평균수면시간은 $6.43{\pm}1.34$시간, 수면부족 척도 평균은 $10.14{\pm}3.14$점이었다. 스마트폰 중독은 수면부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277, p<0.01)가 있었으며, 하부영역인 일상생활 장애영역(r=.269, p<0.01), 가상영역(r=.151, p<0.01), 금단영역(r=.303, p<0.01), 내성영역(r=.184,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예방을 위한 다양한 교육 및 상담과 이와 관련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리기다소나무와 잣나무 화분의 화학적 성분과 파쇄 조건에 관한 연구 (Chemical Components and Pulverization conditions of the Pollens of Pinus rigida and Pinus koraiensis)

  • 김계환;오혁근;서병수;박준모;김상용
    • 임산에너지
    • /
    • 제19권1호
    • /
    • pp.30-37
    • /
    • 2000
  •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mical components of the pollens of Pinus rigida and P. koraensis and to investigate the optimal conditions for pollen pulveriz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 (1) The contents of moisture, crude ash,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filber and carbohydrate in the pollen of P. rigida were 9.9%, 2.5%, 13.1% 2.9% 7.5% 64.1% respectively, while those of P. koraiensis were 9.8%, 2.1%, 11.1% 2.8% 8.1% 66.1% respectively. All the contents of P. rigida and P. koraiensis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general crop grains. (2) Eighteen different amino acids were detected in the pollen of P. rigida and P. koraiensis. Among them, ten essential amino acids were indentified, which showed high nutritions values. (3) The contents of vitamin A, B1, B2, C, and E in the pollen of P. rigida were 8.7 mg, 10.1 mg, 15.9 mg, 32.9 mg, 1.9 mg, respectively, while those of in the pollen of P. koraiensis were 7.9 mg, 9.7 mg, 14.5 mg, 34.2 mg, and 2.5 mg respectively. Vitamin C among them was abundant. (4)When the pollen grains of P. prigida was pulverized for 50minutes at 5,000rpm and P. koraiensis for 40 minutes at 5,000rpm by Overhead stirrer, the 100% of pollen was pulverized.

  • PDF

납작벌레류(Stylochus ijimai, Pseudostylochus obscurus)의 산란 및 유생발생에 관하여 (SPAWNING AND LARVAL DEVELOPMENTS OF TWO SPECIES OF POLYCLAD WORMS, STYLOCHUS IJIMAI & KABURAKI AND PSEUDOSTYLOCHUS OBSCURUS (STIMPSON))

  • 양한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14
    • /
    • 1974
  • 1. S. ijimai의 산난기는 5월하순에서 10월하순까지로서 주산난기는 7월중순에서 9월하순 사이였고 P. obscurus 는 6월하순에서 10월상순까지로 주산난기는 7월하순에서 9월중순 사이였다. 2. S. ijimai의 1회 산난량은 약 $96,000\~132,000$립이였고 체장이 큰 것의 산난량이 대체로 많았다. 3. 산난직후의 난의 크기는 S. ijimai는 $102\mu$이고 P. obscurus는 $108\mu$이었다. 4. 난이 성숙분열을 시작하여 양배형성기까지의 발생과정은 S. ijimai와 P. obscurus가 유사하였다. 5. S. ijimai나 P. obscurus 두 종류가 모두 다 단일난이고 S. ijimai는 Gotte유생으로 변태발생을 하며 P. obscurus는 직접발생을 한다. 6. 산난후의 발생경과시은 S. ijimai는 48시간 후에 Mesentoblast가 형성되고 7일만에 부화하였다. P. obscurus 는 72시간 후에 Mesentoblast가 형성되고 14일만에 부화하였다. 7. S. ijimai지 부화유생은 14일 간의 부유기를 가지며 이 기간 중 강한 주광성이 있었으나 P. obscurus는 70의 부유기를 가지면서 전연 주광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8. S. ijimai의 부화직후 유생의 크기는 $138\mu$이고 저서초기에는 $152\mu$이며, P. obscurus는 각각 $170\mu$$185\mu$이었다. 9. 저서생활로 들어갈 때의 현저한 특미으로서 S. ijimai는 돌기가 소실되고 몸이 편평하게 되면서 성체형으로 변태하였고, P. obscurus는 이 시기에 뇌역의 4안점 중에서 양측 바깥쪽의 2안점이 퇴화되었다. 10. 저서초기유생은 S. ijimai가 P. obscurus 두 종류 모두 저질이 이토인 곳에서만 발견되었다.

  • PDF

Isoimperatorin, $C_{16}H_{14}O_4$의 결정구조 (Crystal Structure of Isoimperatorin, $C_{16}H_{14}O_4$)

  • 김문집;신준철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8-143
    • /
    • 1997
  • Isoimperatorin, 4-[3-methyl-2-butenly)oxy]=7H-furo[3,2-g][1] benzopyran-7-one의 분자 및 결정구조를 X-선 회절법으로 연구하였다. 이 결정의 분자식은 C16H14O4, 결정계는 단사정계이고 공간군은 P21/c이다. 단위세포상수는 a=8.865(1) Å, b=9.331(1) Å, c=16.156(1) Å이며 β=98.12(1)', V=1322.9(2) Å3, T=293(2)K, z=4이다. 구조해석에 사용한 X-선은 Cu Kα선(λ=1.5418 Å)이다. 구조는 직접법으로 풀었으며,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다. 최종 신뢰도 R값은 Fo>4o(F0)인 1922개의 독립회절데이타에 대해 5.72% 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