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7TMR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7초

섬유질배합사료 내 조단백질 수준이 임신초기 흑염소의 건물섭취량, 소화율 및 질소출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rude Protein Levels in Total Mixed Rations on Dry Matter Intake, Digestibility and Nitrogen Balance in Early Pregnant Korean Black Goats)

  • 황보순;최순호;이성훈;김상우;김영근;상병돈;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3-100
    • /
    • 2007
  • 본 연구는 섬유질배합사료의 조단백질 수준이 임신초기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임신흑염소의 적정 조단백질 수준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축은 임신초기흑염소 12두를 4처리구(관행사료구, 조단백질 10, 12 및 15%)로 나누어 처리구당 3두씩 대사케이지에 완전임의 배치법으로 배치하여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섬유질배합사료의 일반 조성분은 건물 함량이 $89.0{\sim}91.0%$를 나타내었고, ADF와 NDF 함량은 $18.87{\sim}19.85$$53.41{\sim}54.80%$로 나타나 조단백질 수준에 따른 섬유소 함량의 차이는 없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TMR10, TMR12 및 TMR14구가 각각 10.61, 12.15 및 14.97% 이었다. 하지만, NFC 함량은 섬유질배합사료내 단백질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건물섭취량, 영양소 섭취량 및 가소화 영양소 섭취량은 TMR15와 대조구가 TMR10과 TMR12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대사체중당 건물섭취량과 체중에 대한 건물섭취비율에서도 대조구와 TMR15구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건물소화율은 $69.01{\sim}70.33%$ 범위로 나타났다. 에테르 추출물 소화율은 세 수준의 단백질을 함유하는 섬유질배합사료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섬유질배합사료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질소축적량 및 축적율에서는 TMR15구와 대조구가 다른 처리구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임신초기 흑염소사료 내 증가하는 수준의 조단백질 함량은 건물섭취량 및 질소 축적을 증가시켰고, 특히 TMR 사양에서 임신초기 흑염소의 조단백질수준은 적어도 15% 이상은 되어야 할 것으로 추정된다.조생 다수성 IRG, 6월 상순으로 벼 이앙시기가 늦을 경우에는 5월 하순 수확이 가능하면서 생산성과 사료가치가 높은 밀이 권장되었다.함량으로 낮아졌다. 비보존성 반응(즉 침전, 흡착, 산화, 용해 등)과 보존성 반응(예: 수리학적 혼합)은 미량원소가 강으로 이동되는 것을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적인 자연저감 기작이었다.가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으나 정상군에 비해 면역반응 신경세포의 총수는 43.9%(1형: $23.7%\downarrow$, 2형: $17.8%\downarrow$, 3형 : $56.2%\downarrow$) 감소한 상태로 남아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capsaicin 투여에 의해 성숙흰쥐의 근육층 신경얼기에서 칼슘채널 ${\alpha}_{1B}$ subunit의 면역활성도는 투여 후 1주일가지 빠르게 저하되며 그 이후부터는 점차 정상으로 회복되나 완전한 상태로의 회복에는 4주 이상의 시간경과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形態學的) 배양학적(培養學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Candida guilliermondii var. guilliermondii 로 동정(同定)되었다. 6. CHS-13 균주(菌株)를 당화액(糖化液)에 배양(培養)시켰을 때 Lowry-protein 함량은 $0.72\;mg/m{\ell}$ 이었으며 , yeast extract 첨가(添加)하여 배양시(培養時)는 yeast extract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도 증가(增加)하였다. 7. CHS-13 균주(菌株)의 RNA 함량(含量)은 $4.92{\times}10^{-2 }\;mg/m{\ell}$이었으며 yeast extract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증가(增加)하다가 농도(濃度) 0.2%에서 최대함량(最大含量)을 나타내고 그후는 감소(減少)

Feeding strategies with total mixed ration and concentrate may improve feed intake and carcass quality of Hanwoo steers

  • Lee, Soohyung;Lee, Sang Moo;Lee, Jaehun;Kim, Eun Joo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5호
    • /
    • pp.1086-1097
    • /
    • 2021
  •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using total mixed ration (TMR) and concentrate on feed intake, daily gain, carcass yield grade, and carcass quality grade of Hanwoo steers and its subsequent economic efficiency. Thirty six 7-month-old Hanwoo steers were assigned to one of the four treatment groups, and each group was divided into three repeated pens, with each repeated pen comprising three steers. The treatment groups were: 1) separate feeding with commercial concentrate and forage (namely, SCF) for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2) TMR feeding for a growing period followed by SCF for the early and late fattening period (namely, TMRGSCF); 3) TMR feeding for growing and an early fattening period followed by SCF for the late fattening period (namely, TMREFSCF); and 4) TMR feeding for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namely, TMRW).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F treatment had significantly (p < 0.05) higher feed intake during the growing period than other treatments. In contrast, the total feed intake had little difference during early and late fattening as well as the whole period regardless of feeding strategies. Daily gain showed no difference during the growing period. However,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CF and TMREFSCF treatments for the early and late fattening period, respectively (p < 0.05). The daily gain during the total raising period is in the order of TMREFSCF > TMRGSCF > SCF > TMRW. Carcass characteristics, including carcass weight, loin eye muscle area, and carcass yield grade,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mong different treatments. However, TMRW treatment, wherein TMR was fed for a long time, showed that the cold carcass weight was less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but carcass yield grade was higher with thinner backfat. Backfat thickness was in the order of SCF > TMRGSCF > TMREFSCF > TMRW, showing that the thickness reduced with longer TMR feeding (p < 0.05). TMRGSCF, which numerically had a higher carcass quality grade, showed higher economic efficiency, whereas SCF showed low economic efficiency. In conclusion, it was more feasible to apply TMR strategy in the growing and early fattening period and then SCF for the early or late fattening period to improve carcass yield, quality grade, and economic efficiency.

혐기성 미생물로 제조한 synbiotics 혼합배양물의 첨가가 발효 TMR의 발효특성과 소실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Synbiotic Co-cultures Manufactured with Anaerobic Microbes on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In Situ Degradability of Fermented TMR)

  • 이신자;신년학;현종환;강태원;안정준;정호식;문여황;이성실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538-1546
    • /
    • 2009
  • 본 연구는 혐기성 박테리아, 곰팡이 및 효모로 제조한 synbiotics 혼합 배양물을 TMR 제조 시에 접종하여 발효기간에 따른 반추위 in vitro 발효특성과 in situ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처리구는 무처리구(Control), 곰팡이와 박테리아로 제조한 synbiotic 첨가구(T1), 곰팡이와 효모로 제조한 synbiotic첨가구(T2), 그리고 박테리아와 효모로 제조한 synbiotic 첨가구(T3)로 나누어, 6회의 발효기간(1, 3, 5, 7, 14 및 21일)에 따라 처리당 3반복으로 총 72개의 F-TMR (4처리 $\times$ 6회 $\times$ 3반복)을 제조하였다. In situ시험은 반추위 누관이 장착된 Holstein (평균체중 550 kg) 젖소 2두를 사용하여 4처리의 F-TMR을 반추위내에서 현수시간별(1, 3, 6, 9, 18, 24, 48 및 72 시간)로 각각 3반복하여 두당 96개의 nylon bag (4 처리 $\times$ 8 발효시간 $\times$ 3반복)을 제조하였다. 발효기간에 따른 TMR의 온도변화는 발효기간이 진행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 이었으며, pH는 4.39~4.98범위로서 발효기간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각 발효시간대별로는 대조구에서 높았고, synbiotics 처리구에서 낮게 나타났다(p<0.05). F-TMR의 암모니아 농도는 발효 7일째까지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14일째 이후에는 대조구에 비해 박테리아와 효모를 첨가한 synbiotics인 T3구에서 가장 낮았다(p<0.05). Lactic acid 함량은 발효 1일째에 T3구에서 가장 낮았으나 다른 발효시간대에서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발효기간별 F-TMR의 미생물 성장률(OD값)은 각 발효시간대별로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발효기간 7일째에 정점을 나타낸 이후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In situ 건물 소실률은 발효초기인 1~3시간대에 곰팡이와 박테리아 synbiotics 첨가구인 T1구가 대조구에 비해 건물소실율이 높았으나, 발효 48시간대에는 오히려 대조구에서 건물소실율이 가장 높았다(p<0.05). 다른 발효시간대의 건물 소실율과 유효분해도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며, NDF와 ADF소실율은 건물 소실율의 결과와 비슷하였다. 결론적으로 발효의 척도가 되는 pH와 lactic acid 함량은 synbiotics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in situ 시험에서 발효초기에 건물과 섬유소 소실율이 곰팡이와 박테리아를 조합한 synbiotics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유효 분해도에서는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아 처리효과가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in vitro Ruminal Digestibility of a Total Mixed Ration

  • Suyeon Kim;Tabita Dameria Marbun;Kihwan Lee;Jaeyong Song;Jungsun Kang;Chanho Lee;Duhak Yoon;Chan Ho Kwon;Eun Joong Kim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76-285
    • /
    • 2022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LAB, a mixture of Enterococcus faecium and Lactobacillus plantarum) supplementation, the storage temperature, and storage period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in vitro ruminal digestibility of a total mixed ration (TMR). The TMR was prepared into two groups, namely, CON (control TMR without the LAB) and ML (supplementing a mixture of E. faecium and L. plantarum in the ratio of 1% and 2% (v/w), respectively). Both groups were divided and stored at 4℃ or 25℃ for 3, 7, and 14 d fermentation periods. Supplementing LAB to the TMR did not affect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MR except for the lactate and acetate concentration. Storage temperatures affected (p<0.05)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TMR, including pH, lactate, and acetate content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MR was also affected (p<0.05) by the storage period. During in vitro rumen fermentation study, the ML treatment showed lower (p<0.05) dry matter digestibility at 24 h incubation with a higher pH compared to the C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of TMR between the CON and ML treatment however, at 24 h, ML treatment showed lower (p<0.05) IVDMD with a higher pH compared to the CON. The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on IVDMD were not apparent at 24 h incubation. In an in vivo study using Holstein steers, supplementing LAB to the basal TMR for 60 d did not differ in the final body weight and average daily gain. Likewise, the fecal microbiota did not differ between CON and ML. However, the TMR used for the present study did include a commercial yeast in CON, whereas ML did not; therefore, results were, to some extent, compromised in examining the effect of LAB. In conclusion,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significantly affected the TMR quality, increasing acetate and lactate concentration. However, the actual effects of LAB supplementation were equivocal.

Large Tunneling Magnetoresistance of a Ramp-type Junction with a SrTiO3 Tunneling Barrier

  • Lee, Sang-Suk;Yoon, Moon-Sung;Hwang, Do-Guwn;Rhie, Kung-Won
    • Journal of Magnetics
    • /
    • 제8권2호
    • /
    • pp.89-92
    • /
    • 2003
  • The tunneling magnetoresistance (TMR) of a ramp-edge type junction with SrTiO$_3$barrier layer has been stud-ied. The samples with a structure of glass/NiO(600${\AA}$)/Co(100${\AA}$)/SrTiO$_3$(400 ${\AA}$)/SrTiO$_3$(20-100${\AA}$)/NiFe(100${\AA}$) were prepared by the sputtering and etched by the electron cyclotron (ECR) argon ion milling. Nonlinear I-V characteristics were obtained from a ramp-type tunneling junctions, having the dominant difference between two different external magnetic fields (${\pm}$100 Oe) perpendicular to the junction edge line. In the SrTiO$_3$ barrier thickness of 40${\AA}$, the TMR was 52.7% at a bias voltage of -50 mV The bias voltage dependence of resistance and TMR in a ramp-type tunneling junction was similar with those of the layered TMR junction.

Dynamics Associated with Prolonged Ensiling and Aerobic Deterioration of Total Mixed Ration Silage Containing Whole Crop Corn

  • Wang, Huili;Ning, Tingting;Hao, Wei;Zheng, Mingli;Xu, Chunche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1호
    • /
    • pp.62-72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ynamics associated with prolonged ensiling and aerobic deterioration of whole crop corn (WCC) silages and total mixed ration (TMR) silages containing WCC (C-TMR silages) to clarify the differences that account for the enhanced aerobic stability of TMR silages. Laboratory-scale barrel silos were randomly opened after 7, 14, 28, and 56 d of ensiling and were subjected to analyses of fermentation quality, microbial and temperature dynamics during aerobic exposure. WCC and C-TMR silages were both well preserved and microorganisms were inhibited with prolonged ensiling, including lactic acid bacteria. Yeast were inhibited to below the detection limit of 500 cfu/g fresh matter within 28 d of ensiling. Aerobic stability of both silages was enhanced with prolonged ensiling, whereas C-TMR silages were more aerobically stable than WCC silages for the same ensiling period. Besides the high moisture content, the weak aerobic stability of WCC silage is likely attributable to the higher lactic acid content and yeast count, which result from the high water-soluble carbohydrates content in WCC. After silo opening, yeast were the first to propagate and the increase in yeast levels is greater than that of other microorganisms in silages before deterioration. Besides, increased levels of aerobic bacteria were also detected before heating of WCC silages. The temperature dynamics also indicated that yeast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onset of the aerobic deterioration of C-TMR silage, whereas for WCC silages, besides yeast, aerobic bacteria also function in the aerobic deterioration. Therefore, the inclusion of WCC might contribute to the survival of yeast during ensiling but not influence the role of yeast in deterioration of C-TMR silages.

Changes in milk production and blood metabolism of lactating dairy cows fed Saccharomyces cerevisiae culture fluid under heat stress

  • Lim, Dong-Hyun;Han, Man-Hye;Ki, Kwang-Seok;Kim, Tae-Il;Park, Sung-Min;Kim, Dong-Hyeon;Kim, Younghoo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6호
    • /
    • pp.1433-1442
    • /
    • 2021
  • In this study, Saccharomyces cerevisiae culture fluid (SCCF) has been added to a diet of lactating dairy cows to attempt to improve the ruminal fermentation and potentially increase the dry matter intake (DMI) and milk yiel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CF on the milk yield and blood biochemistry in lactating cows during the summer. Twenty-four Holstein dairy cow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treatments: (1) total mixed ration (TMR-1) (Control); (2) TMR-1 supplemented with SCCF (T1); (3) TMR-2 (containing alfalfa hay) (T2); and (4) TMR-2 supplemented with SCCF (T3). SCCF (5 ml/head, 2.0×107 CFU/mL) was mixed with TMRs daily before feeding to dairy cows. The mean daily temperature-humidity index (THI) during this trial was 76.92 ± 0.51 on average and ranged from 73.04 to 81.19. For particle size distribution, TMR-2 had a lower >19 mm fraction and a higher 8-9 mm fraction than TMR-1 (p < 0.05). The type of TMR did not influence the DMI, body weight (BW), milk yield and composition, or blood metabolites. The milk yield and composition were not affected by the SCCF supplementation, but somatic cell counts were reduced by feeding SCCF (p < 0.05). Feeding SCCF significantly increased the DMI but did not affect the milk yield of dairy cows. The NEFA concentration was slightly decreased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and T2 groups without SCCF. Feeding a yeast culture of S. cerevisiae may improve the feed intake, milk quality and energy balance of dairy cows under heat stress.

돼지 만성 심근허혈 모델에서 경심근레이저혈류재건술 후 국소 심근 혈류량의 변화 (Change of Regional Myocardial Blood Flow After Transmyocardial Laser Revascularization in Porcine Model of Chronic Myocardial Ischemia)

  • 박계현;안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9호
    • /
    • pp.662-671
    • /
    • 2001
  • 배경: 최근 레이저를 이용한 경심근 혈류 재건술(TMR)이 말기 협심증 환자에게 협심증이 개선에 효과가 있는 치료 방법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여러 동물 실험 연구들에서는 상반되는 결과들이 발표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돼지의 만성 심근 허혈 모델에서 국소 심근 혈류량의 측정을 통하여 TMR 후 심근 관류 개선 여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4마리의 돼지에서 좌회선지 관상동맥에 ameroid ring을 거치하여 만성 심근 허혈을 조성한 후 4주 경과시 각 7마리씩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어 대조군에서는 개흉과 심낭내 유착 박리만을 시행하였고 실험군에서는 Ho:YAG 레이저를 이용하여 좌회선지 영역에 TMR을 시행하였다. 이후 다시 4주가 지난후 동물을 희생시키고 심장을 적출하여 각 수술 시마다 주사된 각각 다른 색의 착색 미세구를 이용, 국소 심근 혈류량을 측정하였다. 심근 절편 내의 미세구 함유량을 측정하여 회선지 영역과 심실 중격간의 혈류량 비를 비교함으로써 대주군과 실험군 사이의 혈류량 변화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Ameroid ring 거치 4주 후 좌회선지 영역의 심근 혈류량은 심실 중격 혈류량의 46∼89%로 감소되었다. 8주 경과시의 좌회선지 영역 심근 혈류량은 대조군 4마리 중 3마리에서 4주 경과 시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증가 폭은 14∼18%였다. 실험군 6마리 중에서는 2마리에서만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증가 폭은 7∼34%였다. 결론: 돼지 만성 심근 허혈 모델에서 Ho:YAG 레이저를 이용한 TMR 시행 4주후 허혈 영역의 국소 심근 혈류량 증가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수의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평면 실리콘 헤드를 사용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시스템의 Average Bit Error Rate 시뮬레이션 (Simulation of Average Bit Error Rate for Computer Hard Disk Drive System Using Planar Silicon Head)

  • 서정욱;조순철;김용수;노광춘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395-399
    • /
    • 1998
  • 평면 실리콘 헤드를 사용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HDD) 시스템의 average bit error rate(ABER)를 계산하였다. ABER을 구하기 위해 3차원 유한 요소법을 사용하여 헤드 자장 분포를 구하고 error rate response surface(ERRS)를 구하엿다. 다음에 track misregistration(TMR)과 계산되어진 ERRS를 컨볼루션하여 ABER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허용할 수 잇는 에러 율이 10-6이라 하고 트랙 피치가 3.7$\mu$m일 때, 요구되는 TMR은 0.36$\mu$m이었다. 이는 트랙 피치의 9.7이었다.

  • PDF

섬유질배합사료 급여가 비육후기 거세한우의 반추위 발효성상, 소화율 및 산육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otal Mixed Rations on Ruminal Characteristics, Digestibility and Beef Production of Hanwoo Steers)

  • 김경훈;김기수;이상철;오영균;정찬성;김건중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387-396
    • /
    • 2003
  • 본 연구는 시판 비육후기용 사료와 볏짚을 급여한 관행적 비육후기 사료급여형태(대조구)와 특정 비육농가에서 급여하고 있는 섬유질배합사료의 단독급여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증체량, 사료효율, 도체등급 등을 조사하였고(시험 1), 결과 해석을 위해 시험 2에서 반추위 발효성상에 미치는 영향과 소화율을 조사하였다. 비육후기의 섬유질배합사료 사료의 급여효과 시험에서는 섬유질배합사료의 건물 사료섭취량이 1일 7.4kg으로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고, 일당 증체량에서는 718g으로 대조구 775g보다 낮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1kg 증체에 필요한 사료요구량에서는 섬유질배합사료구가 10.5kg으로 대조구보다 약 0.8kg 더 높았다. 대조구의 A등급 출현율은 22%였으나, 섬유질배합사료구는 33%로 섬유질배합사료구의 A등급 출현율이 높았고, 육질 등급에서도 1등급 출현율이 대조구와 섬유질배합사료구에서 각각 56%와 75%로 섬유질배합사료구가 현저히 높았다. 섬유질배합사료 사료의 건물을 비롯한 조단백, 조지방, 그리고 총에너지의 전장소화율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약 1.2-1.6배 더 유의적으로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반추위 내의 pH 변화는 섬유질배합사료구가 배합사료를 급여한 관행구보다 높은 pH 6.0이상에서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반추위내 NH3-N 농도는 섬유질배합사료구가 사료급여 후 8시간 후까지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었고, 특히 사료급여 2시간 후 까지 대조구의 2배에 이르는 28.2mg/$d\ell$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P<0.05). 대조구와 섬유질배합사료구의 총 VFA 함량은 사료급여 후 2시간까지 증가하였다가 그 후 감소하는 경향이 비슷하였으며, 유의적인 차이도 없었다. 그러나 branch chained fatty acid (BCFA)인 iso-butyric acid와 iso-valeric acid의 비율에서는 섬유질배합사료와 대조구간에 차이가 있었고, 특히 사료급여 후 3-5시간 내에 섬유질배합사료구가 유의성있게(P<0.01) 높았다. 본 시험의 결과, 섬유질배합사료 급여는 한우의 반추위 발효를 안정화시키고 비육후기 산육성 및 육질등급을 높이는 효과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