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7-day 10-year low flow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3초

국내 미계측유역의 갈수량 산정 개선 (Improving Low Flow Estimation for Ungauged Basins in Korea)

  • 조탁근;이길성;김영오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2호
    • /
    • pp.113-124
    • /
    • 2007
  • 갈수량(low flow)은 과거 자연상태 하천에서 갈수기에 흘렀던 유량으로서 자연과 사람이 공유할 수 있는 최소한의 유량이며, 이수측면에서 하천수의 공급능력을 평가하여 취수량을 설정하는 기준 유량이다. 일본과 우리나라에서는 평균갈수량과 기준갈수량을, 미국과 영국 등에서는 10년빈도 7일 갈수량($7Q_{10}$)을 갈수량 지표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세 지표를 관측자료와 모의 생성자료를 이용하여 비교하고 고찰하여 보았다. 갈수량 산정을 위해서는 과거의 관측 유량자료가 필요하나 국내에는 수위관측시설이 한정되어 있을 뿐 아니라 홍수기에 비해 갈수기 자료가 턱없이 부족하여 갈수량 산정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내에서는 대부분 비유량법(drainage-area ratio method)으로 미계측유역의 갈수량을 산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유역(ungauged basin)의 갈수량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비유량법과 지역회귀기법(regional regression method), 기저유량상관법(baseflow correlation method)을 국내에 적용하여 보고, 각 방법의 적용시 지침과 국내에 적합한 갈수량 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한강유역의 하천형태학과 특성과 일 평균 및 7일 10년 저유량간의 상관성 (Corrlation of the Stream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Han River Basin with its Mean Daily and 7-Day 10-year Low Flows)

  • 윤용남
    • 물과 미래
    • /
    • 제8권2호
    • /
    • pp.53-53
    • /
    • 1975
  • 한 유역의 수계망조직은 그 유역의 기상학적 및 지상학적 특성의 복합효과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유역의 주요수문량인 유량은 이들 하천형태학적 특성에 의하여 큰 영향을 받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의 하천형태학적 특성을 양적으로 분석한 후 이들 형태학적 특성을 유역의 유출특성과 상관시켰다. 유출특성으로 선정한 유량은 이수목적을 위한 분석대상이 되는 일 평균 유량과 수질오염통제의 기준이 되는 7일 10년 유량(7-day 10-year low flow)으로서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하여 하천형태학적 특성인자와 상관시켰다.

  • PDF

금강수계의 하천형태학적 특성인자에 의한 갈수량 산정 (Low flow Calculation by Stream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Parameters in Geum River System)

  • 안상진;윤용남;강관원
    • 물과 미래
    • /
    • 제14권1호
    • /
    • pp.31-37
    • /
    • 1981
  • 금강수계의 미계획지점에 대한 갈수량빈도곡선의 합성은 하천형태학적 인자인 유역면적, 유역의 기복량, 하천의 연장 및 미국연방주환경국의 하천수질기준인 10년 7월 평균 갈수량을 이용한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서 가능하였다.

  • PDF

수량.수질 모의치를 이용한 어류 서식 조건 유지에 필요한 적정 유량 산정 (Estimation of Suitable Flow Needs for Maintaining Fish Habitat Conditions Using Water Quantity and Quality Simulation)

  • 김규호;조원철;전병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3-14
    • /
    • 2000
  • 본 연구는 최근 하천유지유량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 하천생태계에서 어류 서식처를 보전하고 복원하는데 필요한 적정 유량을 산정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어류 서식처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는 연과 월갈수량을 산정한다. 이 갈수량을 이용하여 점변 흐름에서 어류 서식처 제공에 필요한 수심과 유속을 모의하고, 또한 수온과 용존산소를 예측한다. 예측된 각 갈수량별 서식 조건과 각 성장단계별 어류 서식처 요구 조건을 도식적으로 비교하다. 이 과정을 남한강의 달철 본류에 위치한 3개 여울 구간에 적용하였다. 달천의 대표어종으로 피라미를 산정하였다. 달천의 피라미(Zacco paltypus)성장단계별 서식처 유지를 위한 적정유량은 수질보다는 수리 조건에 좌우되며, 그 양은 10년 빈도 연갈수량에서 2.33년 빌도 7일 연속갈수량까지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재택산소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들에 대한 임상 관찰 (Clinical Experience of Long-term Home Oxygen Therapy)

  • 이영석;차승익;한춘덕;김창호;김연재;박재용;정태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3호
    • /
    • pp.283-291
    • /
    • 1993
  • 연구배경 : 장기간의 저농도 산소요법은 저산소혈증을 가진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들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저자들은 재택산소요법을 시행하는 환자의 실태를 알아보고 효과적인 개선책을 알아보기 위하여 추적관찰중인 환자 26예에 대한 임상적 관찰을 하였다. 방법 : 대상환자는 경북대학병원 호흡기내과에서 진료를 받고 있는 환자 가운데 가정에서 장기간의 저농도 산소요법을 시행하고 있는 남자 18명 여자 8명 이었으며 재택산소요법을 시행하기전에 신체적 특성과 병력, 폐기능검사, 심전도, 동맥혈가스 및 말초 혈액검사 소견들과 사용중인 산소용기의 종류, 하루에 흡입하는 시간, 투여산소의 농도, 그리고 사용기간 및 문제점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결과 : 원인질환은 만성폐쇄성폐질환 14예, 중증폐결핵의 후유증 9예, 기관지확장증 2예 그리고 특발성 폐섬유증 1예였다. 산소치료의 시행동기는 폐성심이 21예, 운동시 호흡곤란 및 심한 환기장애 4예, 그리고 수면중 산소포화도가 90%미만인 경우가 1예였다. 치료시작전의 동맥혈가스소견의 평균치는 $PaO_2$ 57.7 mmHg, $PaCO_2$ 48.2 mmHg 및 $SaO_2$ 87.7% 였으며 폐활량의 평균치는 VC 2.05 L, $FEV_1$ 0.92 L, $FEV_1$/FVC% 51.9%였다. 사용중인 산소용기는 산소탱크를 사용하는 경우가 19예, 산소농축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1예, 산소탱크와 액화산소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2예, 그리고 산소탱크와 휴대용산소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4예였다. 산소사용 기간은 1년 미만이 3예, 1년에서 2년이 15예, 3년에서 5년이 6예 그리고 9년, 10년 동안 산소요법을 시행한 경우도 각각 1예씩 있었다. 산소농도는 전예에서 2.5L/min 이하를 사용하고 있었고 하루 사용시간은 10예 만이 15시간 이상을 사용하였고 대부분이 짧은 시간 동안만 산소를 사용하고 있었다. 결론 : 효과적인 산소투여를 위해서는 환자 및 주위의 사람들에게 장기간의 저농도 산소요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산소용기의 구입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 PDF

낙동강 하구역 해양물리환경에 미치는 영향인자 비교분석(I) - 하구둑 방류량과 기상인자 - (Correlation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and Water Discharge from the Nakdong River Barrage, Korea)

  • 박순;윤한삼;이인철;김헌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1-117
    • /
    • 2008
  • 본 연구는 최근 11년간 (1996년${\sim}$2006년)의 낙동강 하구둑 방류량 자료를 바탕으로 하구둑 방류량의 경년변동 및 월별특성 즉, 낙동강 하구둑 월별총방류량, 일일평한방류량, 일일최대방류량을 산출하였으며, 하구둑 방류와 하천수 유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상인자들과의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낙동강 하구둑으로부터의 11년간 총 방류량은 $224,576.8{\times}10^6m^3$이며 가장많이 방류된 연도는 2003년으로 $56,292.3{\times}10^6m^3$이다. 월별로는 8월이 23.4%의 $52,634.2{\times}10^6m^3$으로 가장 많고 7월이 23.1%, 9월이 17.0%의 순이었다. (2) 방류량 패턴을 시기별로 살펴보면 $7{\sim}9$월은 유하량이 많은 홍수기(방류란 $100{\times}10^6m^3$/day이상), $4{\sim}6$월 및 10월은 유하량이 보통수준인 평수기(방류량 $30{\times}10^6m^3$/day이상), $12{\sim}3$월은 유하량이 적은 갈수기(방류량 $16{\times}10^6m^3$/dayy미만)로 구분할 수 있다. (3) 방류량과 기상인자와의 상관성 비교에 있어서는 대체로 기온이 높고 증발량이 적으며 일조시간이 적은 시기에 많은 방류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4) 방류량이 많을 경우 주 풍향은 NNE 및 SW, SSW 였다. 이러한 결과는 풍항에 따른 취송류의 영향으로 북풍이 불 경우 담수의 하구 집적화와 남풍이 불 경우 담수가 외해로 유출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 PDF

전북지역 농업용 하천유역의 수질과 부하량 특성 (Assessment of Water Quality and Pollutant Loads on Agricultural Watershed in Jeonbuk Province)

  • 엄미정;문영훈;안병구;신용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1-119
    • /
    • 2008
  • 전북도내에서 농업용수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소규모 하천들의 수질 및 오염부하량 조사를 통해 효율적인 수질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24개 하천의 수질은 EC가 $0.07{\sim}0.52$ dS/m, BOD가 $0.1{\sim}5.0$ mg/L, $COD_{Cr}$$0.6{\sim}17.7$ mg/L 등 이었으며, 범위는 다양하였으나 연도에 따른 평균값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SO_4}^{2-}$$5.7{\sim}52.7$ mg/L, $Cl^-$함량은 $0.9{\sim}57.5$ mg/L, $Na^+$함량은 $2.5{\sim}48.9$ mg/L의 범위를 보여 관개용수 수질로는 양호한 상태였다. 조사하천 대부분의T-N 함량은 5.0 mg/L 이하, T-P함량은 0.10 mg/L이하였으나 일부 하천에서 5.0 mg/L 이상의 질소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가 있어 관개수질을 고려한 합리적인 시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기의 EC, $Ca^{2+},\;Mg^{2+},\;K^+$$Na^+$ 등의 함량은 감소하였지만, BOD, $COD_{Cr},\;COD_{Mn}$, T-N 및 T-P의 농도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높은 농도의 SS가 하천 유량의 증가와 함께 유출되고 있어 강우기의 지표면 유출이 수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하천의 오염부하량은 BOD가 $9.6{\sim}757.9$ kg/day, T-N이 $51.2{\sim}1418.5$ kg/day, T-P가 $0.3{\sim}44.7$ kg/day로 유역 및 성분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갈수기에 비하여 강우기에 BOD는 $3.0{\sim}4.4$배, T-N는 $3.0{\sim}4.0$배, T-P는 $4.1{\sim}5.6$배의 부하량 증가를 보여 강우기에 주변 유역에서의 유기물을 비롯한 각종 영양염류의 유출이 많아지고 있었다. 논 면적비율이 30%이상인 하천유역(A그룹)이 30%이하인 하천(B그룹)유역이 비하여 영농기였던 7월의 강우기에 유량과 영양물질의 유달부하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으며, 갈수기 대비 강우기의 부하량 증가도 B그룹에서 유량이 5.7배 증가한 것에 비교하여 A그룹의 유량 증가는 2.3배로 적게 나타났다. BOD, T-N, T-P의 부하량과 유량과의 회귀식 결정계수($R^2$)는 BOD가 $0.8025^{**}$, T-N이 $0.9229^{**}$, T-P가 $0.7612^{**}$으로 유량과 T-N 부하량과의 상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산생물 종류별 마비성 패류독소 축적 및 정화 (Accumulation and Depuration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in Marine Organisms)

  • 목종수;오은경;손광태;이태식;이가정;송기철;김지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465-471
    • /
    • 2012
  • To compare the accumulation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PSP) in different marine organisms, the occurrence and variation of PSP were surveyed in blue mussel Mytilus edulis, oyster Crassostrea gigas, short neck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and warty sea squirt Styela clava collected from Jinhae Bay, Korea, in 2005 and 2006 year. We also investigated the ability of the blue mussel to detoxify PSP by relaying and depuration (via the water flow or water circulation system). In the marine organisms examined, PSP levels were the highest in blue mussel, followed in order by bay scallop, oyster, short neck clam, and warty sea squirt. Comparing the maximum PSP levels in the bivalve species examined in 2005 and 2006, PSP in blue mussel was 1.6-2.0, 4.0-5.9, and 5.1-6.0 times higher than in bay scallop, oyster, and short neck clam, respectively. Therefore, blue mussel could be useful as a bioindicator for PSP monitoring. With the increasing PSP levels in blue mussel in 2006, the proportion of PSP in its digestive gland increased to 95.1% when the maximum level was detected from the whole tissues of blue mussel on May 29. Subsequently, the PSP proportion in the digestive gland decreased as the PSP level in whole tissue decreased. The detoxification of PSP in blue mussel was greatest with relaying, followed by the water flow, and water circulation systems. Relaying decreased the PSP level below the regulatory limit of $80{\mu}g$/100 g after 2 days in low toxic sample with $124{\mu}g$/100 g, and after 7 days in high toxic sample with $401{\mu}g$/100 g. During depuration in the blue mussel with $401{\mu}g$/100 g via the water flow system, the PSP amounts in the digestive gland decreased by about 50% after 1 day, and about 77% after 7 days. In contrast, the PSP amounts in the soft body, gill, and mantle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with dep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