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6WD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31초

GIS 용어 표준화과정에 대한 고찰 (Control Procedures of Standardization for GIS Terminology)

  • 성효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6권2호
    • /
    • pp.183-199
    • /
    • 1998
  • 본 연구는 한국 95용어 표준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국제표준기관인 ISO의 지리정보기술 위원회(TC211)에 제시된 용어표준화 과정과 국내 정보산업 표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ISO/TC211에서 제시되는 문서들을 수집하여 용어 표준화 과정 및 최근까지 구축된 지리정보 용어의 표준안을 참조하였다. 특히 다양한GIS표준화 기구에서 수행되고 있는 국제 GIS용어표준안을 비교 분석하여 실제적 흑은 잠재적인 문제들에 대하여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의 질서를 이루기 위해 공통적이거나 혹은 반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규정을 제정하는데 도움을 주려한다. 국제적으로 GIS의 용어표준화 과정은 제안단계를 거쳐 준비단계에서 작업초안(WD:Working Draft)을 작성하는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반면에 우리나라에서 정보산업 분야의 국제표준 제정작업은 정보산업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추진하는 국책과제로서, 통상산업부가 추진하는 산업기술 기반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적극적으로 용어표준화과정에 참여할 경우 우리나라 상황에 적합한 용어표준으로 국제표준화를 선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현재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추진되고 있는 용어 표준화추세를 정확하게 파악한다면, 한국의 ISO/TC211ㆍ지리정보기술위원회의 용어 표준 작업반에서 국내의 업계 및 관련기관의 의견을 수렴한 GIS용KS(안)을 개발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Cloning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Pharbitis nil COP1 (PnCOP1) During the Floral Induction

  • 김윤희;김성룡;허윤강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12권1호
    • /
    • pp.1-9
    • /
    • 2005
  • The ubiquitin E3 ligase COP1 (Constitutive Photomorphogenesis 1) is a protein repressor of photomorphogenesis in Arabidopsisplants, and it found in various organisms, including animals. The COP1 protein regulates the stability of many of the light-signaling components that are involved in photomorphogenesis and in the developmental processes. To study the effect of COP1 on flowering in a short day plant, we have cloned a full-length of PnCOP1 (Pharbitis nil COP1) cDNA from Pharbitis nil Choisy cv. Violet, and we examined its transcript levels under various conditions. A full-length PnCOP1 cDNA consists of 2,280 bp nucleotidesthat contain 47 bp of 5'-UTR, 232 bp of 3'-UTR including the poly (A) tail, and 1,998 bp of the coding sequence.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contains 666 amino acids, giving it a theoretical molecular weight of 75 kD and a isolectric point of 6.2. The PnCOP1 contains three distinct domains, an N-terminal $Zn^2+$-binding RING-finger domain, a coiled-coil structure, and WD40 repeats at the C-terminal, implying that the protein plays a role in protein-protein interactions. The PnCOP1 transcript was detected in the cotyledon, hypocotyls and leaves, but not in root. The levels of the PnCOP1 transcript were reduced in leaves that were a farther distance away from the cotyledons. The expression level of the PnCOP1 gene was inhibited by light, while the expression was increased in the dark. During the floral inductive 16 hour-dark period for Pharbitis nil, the expression was increased and it reached its maximum at the 12th hour of the dark period. The levels of PnCOP1 mRNA were dramatically reduced upon light illumin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nCOP1 may play an important function in the floral induction of Pharbitis nil.

  • PDF

물발자국의 국제표준화와 국내 도입 방안 (Method of Introduce for International Standards for Water Footprint Calculations)

  • 박성제;이영근;유시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267-267
    • /
    • 2015
  • 가상수의 흐름을 보다 가시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대두된 개념이 물발자국(water footprint)이다. 이는 흔히 사용되고 있는 생태발자국(ecological footprint)이나 탄소발자국(carbon footprint)에 착안하여 도입된 개념으로 한 국가의 물발자국은 직 간접적으로 물건이나 재화를 생산하는데 국민이 소비하는 물의 총량으로 정의된다. 물발자국을 내적/외적으로 단순히 구분하여 산정하는 방식이 진화하여 1단위의 생산에서 유통 및 서비스까지 확대하여 그 전 과정을 모두 포함하는 물발자국 산정방식이 도입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직접적인 물사용과 간접적인 물사용을 구분하여 물발자국을 산정하고, 그 위에 물의 성질에 따라 green water, blue water, 그리고 grey water로 각각 개념을 상세화하여 물발자국을 산정하는 방안이 도입되었다. 2009년 물발자국 산정의 표준화를 위한 스위스의 제안이 ISO에 제출되었고, 각 국가들에 의한 투표가 진행되어 2010년 물발자국 국제표준안이 채택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제기구에 의한 일련의 국제표준화 작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2014년 ISO/TC 207 국제총회가 개최되어 환경경영시스템(SC1), 환경감사(SC2), 환경 라벨링(SC3), 환경성과평가(SC4), 전과정평가(SC5), 온실가스관리(SC7)의 6개 분과위원회(Sub-Committees)가 구성되어 세부논의가 진행되었으며, 이러한 과정을 분석함으로서 물발자국 국제표준(ISO 14046)과 향후 우리나라의 대응방안을 고찰하였다. 물발자국 국제표준(ISO 14046) 제정을 통해 물발자국의 필요성 및 중요성에 대한 국가 간 합의는 도출되었으나, 적용시기 및 세부적인 방법론 등에 대한 이견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ISO 14046의 실질적 적용에 필요한 세부사항과 관련된 기술보고서 작업초안(WD 14073)은 작업반(SC5/WG8)에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물발자국 국제표준이 국가 간 무역장벽이나 특정국의 진입을 막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점 등 실질적으로 국제표준의 도입에 따른 문제점 역시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국제표준의 도입 방안을 통하여 가상수무역의 국제적 선점효과를 기대함과 동시에 수자원의 유효한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양산단층 남부일원에 분포하는 화강암질암의 지화학적 연구 (Geochemistry of Granitic Rocks Around the Southern Part of the Yangsan Fault)

  • 황병훈;양경희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65-181
    • /
    • 2005
  • 양산단층 남부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류들은 야외산상 및 암석기재적 특징에 의해 다섯 암상으로 분류되며, 이 다섯 암상은 다시 성인과 관련하여 두 그룹(그룹 I과 그룹 II)으로 분류된다 그룹 I의 화강섬록암, 포유암 함량이 많은 반상화강암, 그리고 포유암 함량이 적은 반상화강암은 마그마혼합의 영향을 받은 특징을 잘 나타낸다. 반면에 이들을 관입한 그룹 II의 등립질화강암과 미문상화강암에서는 마그마혼합의 증거들이 나타나지 않는다. 양산단층을 경계로 그룹별로 나타나는 매우 뚜렷한 미량원소 및 동위원소 조성은 이 두 그룹의 마그마가 서로 다른 마그마로부터 진화된 것으로 해석된다. 그룹 I내의 세 암상은 사장석의 분별과정을 포함하는 마그마 혼합의 정도차이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MME는 흑운모의 분별과정을 겪었다. 그룹 II의 두 암상은 그룹 I과는 다른 모 마그마로부터 정장석의 분별과정을 통하여 형성되었다. 그룹별로 Rb-Sr 전암연령을 구하여 보면, 동측지괴와 서측지괴의 그룹 I이 각각 $59.2\pm2.9Ma,\;58.9\pm6.2Ma$이고 그룹 II가 $53.3\pm2.2$(모두 $2{\sigma}$ 오차)Ma, 51.7Ma로 나타나, 양측지괴에서 그룹별로 서로 다른 군집된 연령을 보여주었다. Sm-Nd 동위원소 연구결과, 화강암류들의 근원물질은 그룹별로 달랐을 것으로 판단되며, 결핍맨틀에 의한 모델연령은 그룹 I이 약 $0.8\~0.9Ga$이며, 그룹 II는 이보다 $0.1\~0.2Ga$ 정도 젊은 약 $0.6\~0.7Ga$에 해당된다

고추냉이 잎, 엽병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asabi (Wasabia japonica) Leaf and Petiole Extracts)

  • 성은희;신세미;강윤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35-342
    • /
    • 2017
  • 고추냉이를 잎, 엽병 및 혼합한 전체 등으로 나누어 잎 열풍건조(LD), 엽병 열풍건조(PD), 전체 열풍건조(WD), 잎 증숙 열풍건조(LSD), 엽병 증숙 열풍건조(PSD), 전체 증숙 열풍건조(WSD) 등으로 구분하여 상온($20^{\circ}C$) 추출액, 열수($95^{\circ}C$) 추출액 등 6종 시료에 대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탁도와 갈변도는 각각 상온 추출과 증숙하지 않은 잎에서 더욱 높았다. pH는 열수 추출액이 상온 추출액보다 대체로 낮은 값을 나타냈다. Hunter 색도값인 L, a, b 값은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황색도인 b값은 잎이 줄기보다 유의적으로 아주 높게 나타났다. 카바졸 펙틴은 잎에서, 수용성 펙틴은 엽병에서 각각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총폴리페놀 함량은 잎의 경우 LD20, LD95 각각 1,561.43 mg GAE/100 g, 1,163.02 mg GAE/100 g을 보여 열수 추출로 많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총플라보노이드는 엽병의 경우 추출온도별 유의적인 함량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추출액 LD95 값이 색, 향, 맛, 입안 촉감, 종합적 기호도 등 각 항목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자혀에 의한 신맛, 짠맛, 감칠맛, 단맛 및 쓴맛을 분석한 결과 신맛은 LD20, PSD95, 짠맛은 WSD20, WSD95, 감칠맛은 PD20, PD95에서 각각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고추냉이 잎과 엽병을 이용한 추출액은 부위별 단독보다 병용하여 사용 시 품질 특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ull-Length Enriched cDNA Library Construction from Tissues Related to Energy Metabolism in Pigs

  • Lee, Kyung-Tai;Byun, Mi-Jeong;Lim, Dajeong;Kang, Kyung-Soo;Kim, Nam-Soon;Oh, Jung-Hwa;Chung, Chung-Soo;Park, Hae-Suk;Shin, Younhee;Kim, Tae-Hun
    • Molecules and Cells
    • /
    • 제28권6호
    • /
    • pp.529-536
    • /
    • 2009
  • Genome sequencing of the pig is being accelerated because of its importance as an evolutionary and biomedical model animal as well as a major livestock animal. However, information on expressed porcine genes is insufficient to allow annotation and use of the genomic information. A series of expressed sequence tags of 5' ends of five full-length enriched cDNA libraries (SUSFLECKs) were functionally characterized. SUSFLECKs were constructed from porcine abdominal fat, induced fat cells, loin muscle, liver, and pituitary gland, and were composed of non-normalized and normalized libraries. A total of 55,658 ESTs that were sequenced once from the 5′ ends of clones were produced and assembled into 17,684 unique sequences with 7,736 contigs and 9,948 singletons. In Gene Ontology analysis, two significant biological process leaf nodes were found: gluconeogenesis and translation elongation. In functional domain analysis based on the Pfam database, the beta transducin repeat domain of WD40 protein was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domain. Twelve genes, including SLC25A6, EEF1G, EEF1A1, COX1, ACTA1, SLA, and ANXA2, were significantly more abundant in fat tissues than in loin muscle, liver, and pituitary gland in the SUSFLECKs. These characteristics of SUSFLECKs determined by EST analysis can provide important insight to discover the functional pathways in gene networks and to expand our understanding of energy metabolism in the pig.

정상개와 Malassezia 외이염을 가진 개에 있어서 Malassezia pachydermatis 추출물의 즉시형 과민반응 (Type-I Hypersensitivity to Malassezia pachydermatis Extracts in Healthy Dogs and Dogs with Malasseza Otitis Externa)

  • 김영섭;이근우;오태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8-93
    • /
    • 2007
  • Malassezia pachydermatis 추출물의 피내접종시 과민반응을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정상적인 개와 M. pachydermatis 외이염에 이환된 개를 대상으로 M. pachydermatis 추출물의 피내접종을 실시하였다. 전기영동을 통해 M. pachydermatis 분자량 조사를 통해 $43{\sim}63kDa$을 포함하고 있는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Malassezia 외이염에 감염된 군에서의 평균 팽진의 직경은 20, 2, 0.2, and $0.02{\mu}g/ml$을 피내로 접종했을 때, 각각 $13.36{\pm}0.67,\;5.33{\pm}0.67,\;5.47{\pm}0.82$$5.07{\pm}0.64$을 나타내었으며, 팽진의 두께는 각각 20, 2, 0.2, and $0.02{\mu}g/ml$에서 $6.44{\pm}0.40,\;3.86{\pm}0.35,\;2.64{\pm}0.36$$2.60{\pm}0.44$를 나타내었다. 통계학적으로 건강한 군과 외이염에 이환된 군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p<0.01). 더구나$20{\mu}g/ml$ 을 주입한 군에서 이 차이는 더욱 두드러져 농도 의존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M. pachydermatis 유래 항원을 개의 피내에 접종했을 때, 즉시 팽진반응을 유발한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효모균에 대한 과민증은 즉시형 피부과민반응을 보이는 개, 특히 Malassezia otitis에 감염된 개에서 임상증상의 발현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2, 0.2, $0.02{\mu}g/ml$의 농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즉시형 과민반응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일정한 역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수간곡선식 개발과 국가탄소배출계수를 이용한 졸참나무의 탄소저장량 추정 (Estimation of Carbon Stock by Development of Stem Taper Equation and Carbon Emission Factors for Quercus serrata)

  • 강진택;손영모;전주현;유병오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57-366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carbon stocks of Quercus serrata with drawing volume of trees in each tree height and DBH applying the suitable stem taper equation and tree specific carbon emission factors, using collected growth data from all over the country. Information on distribution area, tree number per hectare, tree volume and volume stocks were obtained from the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2006~2010), and method provided in IPCC GPG was applied to estimate carbon storage and removals. Performance in predicting stem diameter at a specific point along a stem in Quercus serrata by applying Kozak's model,$d=a_1DBH^{a_2}a_3^{DBH}X^{b_1Z^2+b_2ln(Z+0.001)+b_3{\sqrt{Z}}+b_4e^Z+b_5({\frac{DBH}{H}})}$, which is well known equation in stem taper estimation, was evaluated with validations statistics, Fitness Index, Bias and Standard Error of Bias. Consequently, Kozak's model turned out to be suitable in all validations statistics. Stem volume tables of Quercus serrata were derived by applying Kozak's model and carbon stock tables in each tree height and DBH were developed with country-specific carbon emission factors ($WD=0.65t/m^3$, BEF=1.55, R=0.43) of Quercus serrata. As a result of carbon stock analysis by age class in Quercus serrata, carbon stocks of IV age class (11,358 ha, 36.5%) and V age class (10,432; 33.5%) which take up the largest area in distribution of age class were 957,000 tC and 1,312,000 tC. Total carbon stocks of Quercus serrata were 3,191,000 tC which is 3% compared with total percentage of broad-leaved forest and carbon sequestration per hectare(ha) was 3.8 tC/ha/yr, $13.9tCO_2/ha/yr$, respectively.

산성강하물 조건하에서 활엽수림 생태계의 양료순환 양상 (Pattern of Nutrient Fluxes in Deciduous Forest Ecosystem Imparted by Acidic Deposition)

  • 장관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0-236
    • /
    • 2001
  • 본 연구는 일본 북해도 지방의 임해공업단지에 인접되어 있는 점소목지역 내 활엽수 천연림에서 주요 염기성 양이온에 대한 물질순환 수지를 파악하고자 강우(wet deposition), 임내우(throughfall), 수간류(stemflow) 그리고 토양침투수(soil leachate)에 대한 이온 flux를 정량화하였다. 조사 결과 강우는 평균 pH 4.3의 강한 산성우로 강우에 의한 $H^{+}$ flux는 034kmo1$_{c }$ $ha^{-1}$ /이었고, 임내우와 수간류에 의한 염기성 양이온($K{+ }$ , $Na^{+}$ , $Ca^{ 2+ }$, $Mg^{2+}$ )의 flux는 $1.6kmol_{c}$ ha$^{-1}$ 로 강우의 0.49 kmolc $ha^{-1+}$ /보다 3배 많았다. 수관충 용탈(canopy leaching)에 의한 염기성 양이온의 flux는 0.95kmo1c $ha^{H}$ 로 강우에 의한 $H^{+}$ flux보다 2.8배 높았으며, H$^{+}$는 수관층에서 치환성 양이온들에 의해서 거의 소비되었다. 토양층에서 이온배출 flux는 토양특성에 의존되었으며, 토양 중 Ca은 proton소비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였다. 생태계의 물질순환에 대한 수지에서 Na, Ca및 Mg은 생태계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양보다 생태계로 유입되고 있는 양이 많아 생태계에 축적되고 있었으나, K의 경우는 부의 flux를 나타냈다.

  • PDF

A Physiological Stimulating Factor of Water Intake during and after Dry Forage Feeding in Large-type Goats

  • Thang, Tran Van;Sunagawa, Katsunori;Nagamine, Itsuki;Kishi, Tetsuya;Ogura, G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4호
    • /
    • pp.502-514
    • /
    • 2012
  • When ruminants consume dry forage, they also drink large volumes of wat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which factor produced when feed boluses enter the rumen is mainly responsible for the marked increase in water intake in the second hour of the 2 h feeding period in large-type goats fed on dry forage for 2 h twice daily. Six large-type male esophageal- and ruminal-fistulated goats (crossbred Japanese Saanen/Nubian, aged 2 to 6 years, weighing $85.1{\pm}4.89kg$) were used in two experiments. In experiment 1, the water deprivation (WD) control and the water availability (WA) treatment were conducted to compare changes in water intake during and after dry forage feeding. In experiment 2, a normal feeding conditions (NFC) control and a feed bolus removal (FBR) treatment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whether decrease in circulating plasma volume or increase in plasma osmolality is mainly responsible for the marked increase in water intake in the second hour of the 2 h feeding period. The results of experiment 1 showed that in the WA treatment, small amounts of water were consumed during the first hour of feeding while the majority of water intake was observed during the second hour of the 2 h feeding period. Therefore, the amounts of water consumed in the second hour of the 2 h feeding period accounted for 82.8% of the total water intake. The results of experiment 2 indicated that in comparison with the NFC control, decrease in plasma volume in the FBR treatment, which was indicated by increase in hematocrit and plasma total protein concentrations, was higher (p<0.05) in the second hour of the 2 h feeding period. However, plasma osmolality in the FBR treatment was lower (p<0.05) than compared to the NFC control from 30 min after the start of feeding. Therefore, thirst level in the FBR treatment was 82.7% less (p<0.01) compared with that in the NFC control upon conclusion of the 30 min drinking period.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increased plasma osmolality in the second hour of the 2 h feeding period is the main physiological stimulating factor of water intake during and after dry forage feeding in large-type go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