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6W2H

검색결과 2,820건 처리시간 0.033초

멜라토닌 및 관련 인돌 화합물의 산화방지능과 들기름 산화에 대한 억제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of melatonin and the relative indole compounds on perilla oil oxidation)

  • 김석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610-617
    • /
    • 2016
  • 멜라토닌은 척추동물 뇌의 송과선에서 생성되는 인돌 호르몬으로 알려졌으나 그 이후로 동물, 식물, 미생물을 포함한 대부분의 생물체에서도 존재하고 멜라토닌 함유 식품을 섭취 시 생체내에 흡수되며, 다양한 기능성과 함께 강한 산화방지능이 확인되어 기능성 소재로서의 관심이 높다. 하지만 이를 식품의 산화방지용으로 활용하고자 한 연구는 없었기에, 본 연구에서는 유지식품의 산화방지용 소재로서 멜라토닌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DPPH, ABTS, FRAP, ORAC법을 이용하여 멜라토닌의 산화방지능을 조사하였고, 실제 유지식품으로서 들기름에 대한 산화방지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멜라토닌 합성경로에 관련된 다른 인돌 화합물인 트립토판, 트립타민, N-아세틸 세로토닌, 세로토닌과도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DPPH, ABTS, FRAP 법으로 분석한 멜라토닌의 산화방지능은 매우 낮았으나 ORAC 법에서는 가장 높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반면 세로토닌은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 분석법에 따라 산화방지능에서의 차이가 나타났다. 들기름에 인돌 화합물들을 각각 1%(w/w) 농도로 첨가한 후 Rancimat법으로 산화 유도기간을 분석한 결과, 멜라토닌 첨가구에서의 산화 유도기간은 $2.93{\pm}0.47h$로 대조구의 $1.43{\pm}0.26h$에 비해 2배 가량 연장되었으며 뷰틸하이드록시톨루엔 효과의 약 50% 수준에 달해 실제 유지식품에서 산화방지 효과가 있었다. 조사한 인돌 화합물들 중에는 트립타민($9.52{\pm}1.43h$)이 들기름의 산화억제에 가장 효과적이었고 다음으로 세로토닌, 트립토판이 유사하였다.

Maltopentaose 생산 균의 분리 및 생산 조건 연구 (Isolation of Bacillus sp. AIR-5 PRoducing Maltopentaose Forming Amylase and Optimization of Maltopentaose Production)

  • 김영민;서은성;김도만;김도원;이진하
    • KSBB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246-252
    • /
    • 2001
  • We isolated a bacterium that produces an extracellular maltopentaose(G5)-forming amylase from amylose and soluble starch. The bacterium was identified and assigned as a Bacillus sp. AIR-5. The amylase did not hydrolyze maltose, maltotriose, maltotetraose or maltopentaose. Optimum medium composition for maltopentaose production in flask culture was 2%(w/v) soluble starch, 0.4%(w/v) tryptone, 0.5%(w/v) NaCl, 0.5%(w/v) K$_2$HPO$_4$, and 3 mM CaCl$_2$at pH 8.0, 28$^{\circ}C$. The highest yield for maltopentaose production in this condition was 6.45 g/L and was 32.55% of theoretical yield.

  • PDF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정제어유 미세캡슐화 공정의 최적화 및 미세캡슐 저장안정성 분석 (Optimization of Fish Oil Microencapsulati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Its Storage Stability)

  • 장판식;하재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646-653
    • /
    • 2000
  • ${\omega}3$계 고도불포화 지방산의 한 종류인 DHA(docosahexaenoic acid, $C_{22:6},\;{\omega}3$)를 함유하는 정제어유를 중심물질로 하고 agar와 waxy corn starch를 피복물질로하여 미세캡슐화 공정을 수행할 때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이용하여 최적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때 정제어유 미세캡슐화의 수율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5% cupric acetatepyridine 용액에 발색정도가 뛰어난 oleic acid를 정제 어유내에 20%(w/w) 농도로 첨가하여 중심물질로 사용하였다. 반응표면분석결과 최적화된 미세캡슐화 조건은 [중심물질, Cm]:[피복물질, Wm]의 비율 =4.9 : 5.1(w/w), 유화제(sorbitan monolaurate, H.L.B. 16.7)의 농도 = 0.48%(w/w), 분산매의 온도 = $19.4^{\circ}C$이었고, 실제 이 조건에서 99.9%의 수율을 보였다. 또한 최적 조건하에서 제조된 미세캡슐물질 저장을 위한 최적 온도 및 pH는 각각 $25{\circ}C$와 pH 7.0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25^{\circ}C$, pH 7.0의 분산매내에서 7일간 저장한 후에도 99%이상의 미세캡슐이 안정한 상태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 PDF

기류의 유입경로가 대관령 지역 안개의 화학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ir-mass Back Trajectory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loud/Fog Water at Daegwallyeong)

  • 김만구;이보경;김현진;홍영민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43-355
    • /
    • 2005
  • Cloud/fog water was collected at Daegwallyeong, a typical clean environmental area, by using an active fog sampler during the foggy period in 2002, The pH ranged from 3,7 to 6,5 with a mean of 5,0, but the pH calculated from average concentrations of $H^+$ was 4.4. $SO_4^{2-},\;NO_3^-\;and\;NH_4^+$ were predominant ions with average concentrations of 473,3, 463,3 and $576,0\;{\mu}eq/L$, respectively, This showed that cloud/fog water was slightly acidified, but the concentrations of major pollutants were as high as those for polluted area, suggesting effect from long range transported pollutants, Sample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E, W, S, N) by applying 48-h back trajectory analysis using the Hybrid Single-Particle Largrangian Integrated Trajectory (HYSPLIT) model. Concentrations of seasalt $(Na^+\;and\;Cl^-)$ were the highest for group E, indicating large input of seasalts by air masses transported from the East Sea. The concentrations of $SO_4^{2-}$ were slightly higher in group W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concentrations of $NO_3^-$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W than those in other three groups, The median values of cloud/fog water pH for group N and W were below 4,5, which is significantly lower than median values in group E and group S, This suggests that the acidifying pollutants were transported from the Asia continents and Seoul metropolitan area cause acidification of the cloud/fog water in Daegwallyeong.

플라즈마중합법에 의한 헥사매틸디실록산 박막의 제조 및 전기전도특성 (A study on the fabrication and electric conduction characteristics of Hexamethyldisiloxane thin films by plasma polymerization method)

  • 박종관;이상희;이덕출;조성욱;우호환;이종태;김보열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5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168-1170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abricate the hexamethyldisiloxane thin film by plasma polymerization method, and to investigate the electric conduction characteristics of plasma polymerized thin film. Current density was measured in being changed annealing temperature(room temperature${\sim}125[^{\circ}C]$) and electric field intensity($10^5{\sim}1.2{\times}10^6$[V/cm]). The current density of thin films fabricated at discharge power of $30{\sim}90$[W] showed $1.3{\times}10^{-11}{\sim}3.1{\times}10^{-12}[A/cm^2]$ after 10 minutes of permission of electric field. The current density in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ing of annealing temperature and electric field intensity. The electric conduction type of thin films fabricated in discharge power of 90[W] agreed with Schottky type.

  • PDF

Microwave처리에 의한 쌀 가공 부산물의 항산화능의 변화 (Effect of Microwave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Processed By-products)

  • 배성문;김정한;조철우;정태춘;하정욱;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26-1032
    • /
    • 2001
  • Microwave 처리가 쌀가공 부산물로 발생하는 왕겨와 미 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00 W, 200 W, 440 W의 출력으로 microwave를 처리하였을 때, 출력과 처리시간에 비례하여 갈변을 나타내는 색도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왕겨와 미강의 전자공여능은 조사된 범위 내에서 microwave처리에 대해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활성산 소종($H_2O$$_2$,O$_2$$^{-}$, .OH)을 발생시켜 어유의 과산화에 대한 왕겨와 미강의 과산화 억제력을 조사한 결과, 전반적으로 왕겨가 미강보다 microwaye 처리에 안정함을 보였다 특히, $H_2O$$_2$에 대한 왕겨의 과산화 억제력은 미강에 비하여 매우 높게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왕겨가 미강보다 항산화 물질을 많이 함유함으로써 미강보다 높고 안정한 항산화능을 나타내 고, 또한 microwave 처리로 인하여 항산화 물질이 일부 파괴되지만 항산화력을 가지는 갈변 반응 생성물이 생성되어 왕겨의 경우에는 microwave 처리에 대해 영향을 거의 받지 않 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microwave 처리 공정은 왕겨나 미강의 항산화능을 이용한 가공 방법에 이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PDF

여름철 시설재배에서 일사량에 따른 수시차광이 오이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cumber(Cucumis sativus) Growth on Mobile Shading according to Solar Radiation in Greenhouse during Summer)

  • 우영회;조일환;이관호;홍규현;오대근;강인철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6권1호
    • /
    • pp.67-75
    • /
    • 2014
  • 외부일사량이 약 8800W·m-2일 때 90% 수시차광의 시설 내부 일사량은 약 360W·m-2 수준 이었으며 40% 차광은 약 500W·m-2, 무차광은 690W·m-2 수준으로 90% 수시차광이 가장 낮았다. 기온은 무차광이 최고 43.3℃로 가장 높은 수준이었으나 90% 차광은 37.9℃, 40% 차광은 40.6℃이었다. 지온은 90% 차광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2~4℃ 낮은 26.6~28.4℃이었다. 최저 상대습도는 무차광이 33%로 극한 건조 상태를 보였으나 90% 차광은 43%로 다소 상대습도가 높았다. 엽기온차에 의한 stress정도는 무차광이 가장 높았으며, 광합성율은 90% 차광이 다른 처리에 비하여 가장 높았다. 수시차광에 따른 오이 재배 환경의 차이는 오이 생육에도 영향을 미처 90% 수시차광에서 오이 세 품종 모두 생육 및 수량이 타 처리에 비하여 양호하였다.

Xylanase를 생산하는 내열성 Bacillus속 균주의 분리와 효소생산 조건 (isolation of Xylanase-producing Thermo-tolerant Bacillus sp. and Its Enzyme Production)

  • 박영서;강미영;장학길;박귀근;강종백;이정기;오태광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70-377
    • /
    • 1999
  • Thermo-tolerant bacterium producing the xylanase was isolated from soil and identified as Bacillus pumilus. This strain, named Bacillus pumilus TX703, was able to grow ad produce xylanase at the culture temperature of 5$0^{\circ}C$. The maximum xylanase production was obtained when 1%(w/v) birchwood xylan and 1% (w/v) soytone were used as carbon source and nitrogen source, respectively. The biosynthesis of xylanase was under the catabolite repression induced by glucose in the culture medium, and it was completely inhibited in the presence of 0.2% (w/v) glucose. The maximum activity of xylanase was observed from pH8.0 to 9.0 and from 50 to 6$0^{\circ}C$ and the enzyme was highly heat-stable, whose activity remained was over 50% at 8$0^{\circ}C$, and was quite stable from pH5.0 to 10.0.

  • PDF

$SF_6-N_2$ 혼합가스의 정.부극성 뇌충격전압에 대한 50% FOV와 V-t 특성 (50% Flashover Voltage and V-t Characteristics for $SF_6-N_2$ Mixtures under Positive & Negative Ligtning Impulse Voltage)

  • 송원표;김정달;고희석;김동의;권영한;조규복;이철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1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0-303
    • /
    • 1991
  • Sulphur-hexafluoride has extensively been used as an insulating gas of electric power equipment in substation for its high dielectric strength, non-toixity and non-flammable properties. But it is very expensive and is liquidizable under the condition of low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nd it is very sensible to the locally high electric field strength. To resolve these problems, we studied 50% FOV and V-t characteristics of $SF_6-N_2$ mixtures under positive and negative lightning impulses using a 25mm rod-plane gap. 50% FOV of $SF_6-N_2$ 50% mixture was about 85% of pure $SF_6$ and it was known that $SF_6-N_2$ mixtures can be used as an economic substitution insulating gas for $SF_6$.

  • PDF

연결된 패치 형태의 모노폴 안테나 설계 및 안테나 탑재 방향에 따른 SAR 분석 (Design of the Linked Patch Monopole Antenna and Its SAR Analysis along with Antenna Direction)

  • 양주헌;이승우;김남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3권10호
    • /
    • pp.1117-1127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GSM900/DCS1800/PCS1900/UMTS2100 서비스에서 이용 가능한 모노폴 안테나를 설계하였다. 안테나의 전면 패치와 후면 패치를 연결하여 저주파 대역 특성을 얻었으며, 전면 패치에 슬릿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저주파 공진 대역을 얻을 수 있었다. 제안된 안테나의 크기는 $40{\times}98{\times}1.6\;mm^3$이며, 제작에 사용된 기판의 두께는 $1.6\;mm^3$이고, 유전율 4.4의 FR-4 기판을 사용하였다. 안테나를 제작 및 측정한 결과, 반사 손실 10 dB을 기준으로 156 MHz(828~984 MHz)와 708 MHz(1.476~2.184 GHz)의 대역폭 특성을 획득하였고, 방사 패턴은 E-field와 H-field에서 전방향성 특성을 보였다. 설계된 안테나의 전자파 인체 흡수율을 분석하기 위해 바(bar) 형태의 휴대전화 단말기에 안테나를 탑재하여 입력 전력 0.25 W에서 1 g과 10 g의 평균 SAR를 계산 및 측정하였다. 또한, 단말기 내의 안테나 탑재 방향을 네 가지 경우로 나누어 각 방향의 SAR 값 변화를 확인하였고, SAR 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안테나 방향을 확인하였다. 모든 경우에서 1 g 및 10 g 평균 최대 SAR 기준치인 1.6 W/kg과 2.0 W/kg을 만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