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6가크롬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3초

식품 포장재로서 재활용 및 비재활용 종이 상자의 안전성 분석 (Evaluating Safety of Recycled and Non-recycled Paper-based Box for Food Packaging)

  • 오정민;신소향;권상조;조아름;김성진;이윤정;조헌주;한재준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8권1_2호
    • /
    • pp.27-3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식품포장재로 이용되는 재활용 및 비재활용 종이류가 안전한지를 평가하기 위해 식품공전 규격에 준하여 실험하였다. 식품포장재 중에서도 피자상자를 선택하였는데, 이는 피자가 고온에서 조리되어 포장되며 다량의 기름 성분을 함유하여 오염물질이 이행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식품공전에서는 PCBs, 납, 카드뮴, 수은, 6가크롬, 비소, 포름알데히드 및 형광증백제의 허용 잔존농도를 정하여 식품포장재로 이용되는 종이류에 잔존하는 유해물질을 규제하고 있다. PCBs의 여섯개의 표준품과 모든 시료의 피크가 일치하지 않았으므로 피자상자에는 PCBs가 잔존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카드뮴, 수은, 6가크롬에 대한 재질규격 평가를 위한 분석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비소와 납은 모든 시료에서 기준치의 10배 이하의 양이 검출되어 식품포장재로 사용되었을 때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포름알데히드는 모든 시료에서 기준치보다 낮은 농도로 검출되었지만 잉크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표면에서 미량이지만 상대적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형광증백제는 비재활용 종이 소재의 상자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상자 내 피자 포장 유무나 잉크의 함량 정도에 상관없이 재생용지로 만들어진 상자 시료에서는 형광증백제가 검출되었다. 형광증백제는 불검출이 기준이므로 포함된 재활용지를 식품 포장으로 이용할 때는 식품과의 직접 접촉을 피하기 위해 중간에 안전성이 입증된 간지 등을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최종 식품의 안전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PDF

적혈구중 크롬농도를 이용한 6가크롬 노출의 생물학적 지표 (Chromium in Erythrocytes as a Biological Marker of Worker Exposed to Hexavalent Chromium)

  • 윤의성;김광종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23-234
    • /
    • 2000
  • Objective -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chromium in erythrocytes as a biological marker of exposure to hexavalent chromium in chromate producers and chrome platers Methods - Blood and urine samples were ramdomly obtained from chromate producers (n=34) and chrome platers (n=35), and non-exposed workers (n=75), chromium level in erythrocytes and plasma, and urine were measured. Different chromium exposure workers were assessed through measurements of airborne hexavalent chromium concentrations using a personal air sampler. Linear associations between variables were evaluated with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 The chromate producers had mean chromium levels in erythrocytes five fold as higher than the chrome platers, and fifteen fold higher than non-exposed group. Among the chromium exposed workers, airborne hexavalent chromium was positively and strongly correlated with in erythrocytes (r=0.689, p<0.01), and erythrocytes chromium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hematocrit (r=-0.441, p<0.01), hemoglobin (r=-0.465, p<0.01) and the number of red blood cells (r=-0.28, p<0.05). Conclusions -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hromium in erythrocytes is a good indicator of the chromium body burden caused by exposure to hexavalent chromium.

  • PDF

해수전해질을 이용한 양극산화 $TiO_2$ 제조; 광전기화학적 수소제조 및 Cr(VI) 환원처리 연구 (Anodization of $TiO_2$ with Seawater Electrolyte; Evaluation of Hydrogen Production in PEG and Photocatalytic Cr(VI) Reduction)

  • 심은정;박민성;허아영;주현규;윤재경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404-409
    • /
    • 2009
  • The present works were performed that titanium foil was anodized in various dilution ratios of seawater and distilled water with 10V external voltage applied, then annealed at $450^{\circ}C$ to obtain $TiO_2$ on the Ti substrate. The prepared samples were characterized by instruments (XRD, SEM, and photocurrent) and used to investigate rate of hydrogen production in photoelectrochemical cell as well as Cr(VI) reduction. As the results of experiments, the anodized $TiO_2$ in seawater electrolytes, which are ranged from 15 to 50 times dilution of seawater, was showed a relatively higher hydrogen production (ca. 97~110 umol/hr-$cm^2$) and Cr(VI) reduction (ca. 95% reduction).

빈배합 시멘트 혼합점토의 압밀 특성 (Consolidation Behavior of Poor Mixed Soil-Cement)

  • 이종민;권영철;이흥길;이봉직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25-31
    • /
    • 2010
  • 4대강 사업이나 항만의 지속적인 건설 및 관리 등으로 인해 준설점토의 발생량은 꾸준히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준설점토를 매립재료 등으로 유효하게 재활용하기 위해 지반공학 관련 기술자들은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준설점토가 일반적으로 매우 높은 초기 함수비를 갖고 있으며 동시에 강도 역시 매우 낮은 점을 생각하면 준설된 점토의 처리를 위한 장비의 주행성 확보나 혹은 압밀을 위해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등의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최근까지 경제성과 효과면에서 탁월한 시멘트를 이용한 준설점토의 처리 등에 많은 연구 성과가 발표되고 혹은 현장에서 효과적인 처리공법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시멘트 자체가 지반 내에서 6가크롬이나 수은 등의 중금속을 유출하는 경우 환경 부하의 증가 뿐만 아니라 지하수를 통한 오염 확산 등에서 우려되는 점이 없지 않다. 따라서 가급적 시멘트 혼합비를 낮출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저자들의 판단이며 이를 위해 빈배합 시멘트 혼합점토의 거동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압밀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 압밀 침하량의 억제와 압밀속도의 증가가 동시에 나타나는 시멘트 고화제 혼합비 시작점은 4%~6% 정도인 것을 확인하였다.

광량 및 TiO2 나노튜브 길이별 광활성 연구: Cr(VI)환원 및 수소제조 (Effect of TiO2 Nanotube Length on Photocatalytic Activity with Different Light Intensities: Cr(VI) Reduction and Hydrogen Production)

  • 주현규;심은정;이재민;윤재경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432-442
    • /
    • 2011
  • Anodized tubular $TiO_2$ electrodes (ATTEs) with three noticeably different lengths are prepared to determine their optimum length for the photo-driven activity in the reaction of Cr(VI) reduction and hydrogen evolution. The ATTEs with ethylene glycol have longer $TiO_2$ tubes (7-15.6 ${\mu}m$) than those with hydrfluoric acid (0.6-0.8 ${\mu}m$). These samples, which differ only in the length of the tubes, with a wall thickness of ca. 20 nm, consist mainly of an anatase crystalline phase after heat treatment at $650^{\circ}C$, since the anatase crystallites at the tube walls do not undergo transformation into rutile phase, due to the constraints imposed by the wall thickness. Among them, the medium size (ca. 8 ${\mu}m$) tubes provide the optimum conditions, irrespective of the light intensity, which is explained in term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photons and the adsorbed electron acceptors and their location. Photocatalytic Cr(VI) reduction leads to ca. 60% reduction of Cr(VI) even under 1 sun irradiation with the medium-sized anodized $TiO_2$ tubes, but only ca. 20% with the short- and long-sized tubes. For hydrogen evolution, tubes longer than 8 ${\mu}m$ do not exhibit better performance with any light intensity.

3가크롬 이온의 전착 반응에 용액 산도 및 유기물 첨가제가 미치는 영향 연구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Solution Acidity and Organic Additives on the Electrodeposition of Trivalent Chromium Ions)

  • 이주열;;강대근;김만;권식철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297-303
    • /
    • 2010
  • The effect of solution acidity and organic additives, polyethylene glycol (PEG), on the trivalent chromium electroplating was systematically investigated in the view point of electroreduction of trivalent chromium ions and solution stability. It was found that solution acidity controlled at pH 2.5 showed the widest current range for bright electrodeposits in the presence of PEG additives, which reduced the local current intensification at high current densities. Through complex interaction between PEG additives and hydrogen ion, that is, solution acidity, electrode potential was moved in the negative direction in the bulk solution, while it shifted in the positive when electric potential was scanned. In conjunction with electrochemical quartz crystal microbalance (EQCM), it was found that PEG additives had a role in promoting the electron transfer to trivalent chromium ion complexes in bulk solution and their adsorption at the electrode surface as well as interfering with hydrogen ion reduction process below pH 2.5. The PEG additives developed the nodular morphology during electroreduction of trivalent chromium ions with the increase of solution acidity and enhanced its current efficiency by maintaining the consumption of complexant, formic acid, at low speed.

모형토조실험에 의한 초연약지반의 표층개량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Surface Improvement of High Soft Ground Using Calibration Chamber Test)

  • 방성택;연용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39-46
    • /
    • 2019
  • 준설점토를 활용한 연약지반은 장비주행성 및 진입로의 확보를 위해 시멘트 계 고화재 및 무기질 고화재 등을 활용한 표층고화처리공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환경에 유해한 물질의 용출로 인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환경과 기능성을 모두 만족하는 표층고화처리 공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표층처리 공법으로는 조기강도와 장기적인 안정 등을 고려하여 시멘트계 고화재를 이용한 표층고화처리공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지반개량 효과가 크고 경제적 효율성으로 인해 국 내외에서는 시멘트계 고화재를 이용한 표층개량에 대한 연구과 수행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 환경과 기능성의 문제가 제기되어 시멘트에서 발생되는 6가크롬(Cr6+), 수은(Hg) 등의 유해물질로 인해 지반오염과 환경문제가 발생되어 다양한 친환경적인 공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자연함수비의 준설점토를 시멘트와 친토양고화재를 혼합한 혼합토를 대상으로 동일한 배합조건 및 양생조건에 따른 일축압축강도를 분석하고 이 결과를 기준으로 표층개량범위 적용 및 실내모형토조시험을 수행하여 초연약지반의 강도특성 및 지지력 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친환경 토양안정재를 혼합한 지반의 강도특성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 Soil Mixed with a Natural Stabilizer)

  • 권영철;오세욱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45-51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무해성 고화재와 건설공사 시 발생하는 흙을 이용하여 포장재료로 혼합 처리하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일반적으로 고화재로 많이 사용되어 온 시멘트가 갖고 있는 유해성(6가크롬 등)을 극복함과 동시에 고강도 화 함으로써 준설토 처리, 해안구조물 기초처리, 사면표층안정처리, 하천제방 침식 방지 등 전반적인 토목/건축 구조물 기초보강 및 안정처리공법에 활용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NSS(Natural Stabilizer Soil)는 천연섬유에서 추출한 단섬유와 석회 등을 혼합한 재료를 주원료로 하며, 흙의 전단강도를 증가시켜 지반의 지지력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침수와 동해를 방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친환경성을 측정하기 위한 pH측정결과 6.67~7.15로 나타났으며, 용출시험 결과 납(Pb)과 시안(CN)만이 기준치 이하로 나타나 NSS자체에 포함된 유해성분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일축강도 실험결과 풍화토와 NSS의 혼합비율 6%에서 약 1,850kpa의 강도를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포장재로써의 적부를 판정하기 위한 CBR. 시험결과 원지반의 CBR은 4%~6%인데 비하여 NSS의 혼합비가 6% 이상인 경우 수침 CBR.값은 100% 이상으로 포장재료로써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6가크롬 오염토양 정화기술 현장적용성 연구 (Field Applications Study on the Validation of Remediation Technology for Chromium(VI) Contaminated Soil)

  • 김주영;최민주;김정훈;최상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5권1호
    • /
    • pp.57-65
    • /
    • 2010
  • Currently, the pursuit of industrialization for rapid economic growth has led to serious environmental damage and related problems because of comtamination with chemicals. Over time, this contaminaion is getting worse and worse. Most developing countries have tried to pursue their economic development and growth, however without preparation for the control and disposal of hazardous wastes. Permitting hazardous waste to be abandoned and disposed in appropriately causes soil pollution, groundwater contamination, and surface water contamination, which are all extremely serious. In particular, when hazardous wastes which include toxic chemicals are distributed around the living environment even in small amounts, concentration can occur in the food chain through ecological systems, which can therefore affect human. Chromium(VI) has contaminated soil in China. We experimented to test the immobilization, chemical reduction, and soil washing methods in order to make our experiment efficient in the purification of soil contaminated with Chromium(VI), and to prove the theoretical models by experiments testing the field applications. The field experiment showed that result of experiment satisfied with the standards of China. The result of multi-stage continuous remediation reduce the Chromium(VI) concentration to 11.95 mg/kg and 14.83 mg/kg that were equivalent to 98% and 97% removal rates. This result implied we could apply multi-stage process of Chromium(VI) contaminated soil to meet the regulatory limit of Chromium(VI).

수용성 6가크롬을 흡입 노출 시킨 랫드의 체액과 적혈구중 크롬간의 관련성 연구 (Relationship between Chromium Concentration in Male Rats Fluids and Erythrocytes after Inhalation Exposure of Soluble Hexavalent Chromium Compound)

  • 김광종;김현영;윤수종;이은일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6-33
    • /
    • 2001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ent hexavalent chromium concentration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chromium in whole blood, plasma, erythrocytes, and its urinary excretion of male rats after inhalation exposure of sodium chromate during 1, 2, and 3 weeks. 1. Differences of mean chromium concentration in urine, whole blood, erythrocytes, and plasma of male rats exposed to sodium chromate by exposure leve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ce, respectively. 2. At low and high exposure groups, differences of mean chromium concentration in urine, whole blood, erythrocytes, and plasma of male rats by duration of inhalation exposu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ce, respectively. 3. Ratio of whole blood chromium to plasma chromium increased with the increased duration of inhalation exposure of sodium chromate. 4. Ambient hexavalent chromium was positively and strongly correlated with in erythrocyte chromium, and also erythrocyte chromium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in whole blood chromium.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chromium in erythrocyte increased with the increased exposure level and exposure dura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chromium in erythrocytes is a good biological exposure index of the internal dose from exposure to soluble hexavalent chromium compoun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