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5GL

검색결과 425건 처리시간 0.028초

Android Emulator의 OpenGL 연산 효율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for OpenGL Execution Efficiency of Android Emulator(QEMU))

  • 김정웅;이동렬;양해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109-1111
    • /
    • 2009
  • Android OpenGL ES Issue Report에서 제기된 Android Emulator에서의 OpenGL 연산속도 문제를 Matrix 연산이 많이 사용되는 OpenGL 3D 구현에서 확인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Android Emulator에 포함된 OpenGL ES는 소프트웨어 방식의 OpenGL ES 1.5가 사용되고 있다. 이때 Floating Point가 개선되면 3D의 연산 속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Android Emulator를 수정하여 개선하고, 샘플코드를 통해 테스트 결과를 제시한다.

Java3D 및 GL4Java로 구현한 인터넷 3D기술 응용 (The Application of Internet 3D Technologies using Java3D and GL4Java)

  • 김병수;강병익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222-230
    • /
    • 2002
  • 다양한 3D 구현 기법들이 웹 상에서 구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에서의 애플릿 구현에 필수적인 Java 언어를 근간으로 하는 2개의 API - Java3D 와 GL4Java - 를 이용하여 웹상에서의 3D 구현 방법에 대하여 논한다. 그리고 3차원쇼핑몰 내비게이션이나 원하는 물체의 실시간 3타원 렌더링 등을 각각 Java3D 및 GL4Java를 이용하여 구현한다. 특히 Java3D에서의 객체의 구현은 널리 이용되고 있는 VRML97, OBJ, 3DS 등의 화일 포맷을 Java3d 로더를 이용한 방식으로 구현하여 다른 방식과의 차별화를 꾀한다. 또한 Java3D 과 GL4Java의 장단점에 대한 상호 비교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 PDF

방풍류(防風類) 약재(藥材)의 신경세포보호효과 및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 효과 비교 (Comparative Study of Bang-poong (root of 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chkin) and Related Species on Neuroprotective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Effects)

  • 주인경;이승민;최진규;오명숙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29-37
    • /
    • 2019
  • Objectives : Bang-poong (Saposhnikovia divaricata; SD) was traditionally used to treat inflammatory disorders.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Bang-poong and related species including SD, Glehnia littoralis (GL), and Peucedanum japonicum (PJ) possess neuroprotective effects and acetylcholinesterase (AChE) inhibitory activities. Methods : Roots of SD, GL and PJ were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DW) or 70% ethanol (EtOH). We assesse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extracts. To examine neuroprotective effects, we measured cell viability in PC12 or HT22 cells after treatment of the extracts with $H_2O_2$ or amyloid-beta ($A{\beta}$). To assess anti-neuroinflammatory effects, we measured the nitric oxide (NO) levels after treatment with the extracts and lipopolysaccharide (LPS) in BV2 microglial cells. In addition, we performed AChE inhibition assay to explore effects of the extracts on the cholinergic system. Results : DW and EtOH extracts of SD, GL and PJ showed mil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lso, DW extracts of GL and PJ showed protective effects against $H_2O_2$-induced toxicity in PC12 cells. In LPS-activated BV2 cells, EtOH extracts of SD, GL and PJ exerted inhibitory effects on NO production. Meanwhile, DW extracts of SD, GL and PJ inhibited the $A{\beta}$-induced cell death in HT22 cells. In addition, DW and EtOH extracts of GL exhibited remarkable inhibitory activities on AChE. Conclusions : We demonstrated that SD, GL and PJ exert anti-oxidative, anti-neuroinflammatory and AChE inhibitory activiti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D, GL and PJ could be potential candidates for neurological disorders.

식단의 당부하량에 따른 20대 성인의 체중 감량 효과 연구 (Effects of a low glycemic load diet on body weight loss in overweight or obese young adults)

  • 박미현;남기선;정상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5호
    • /
    • pp.464-47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이 평소 섭취하는 일반식사와 유사한 수준의 당부하량을 가진 high GL 식사와 당부하량이 낮게 설계된 low GL 식사를 섭취한 후 체중, 체지방, 혈압 및 혈액 내 생활습관병 위험 지표 등의 변화를 분석 및 비교하였다. 20대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체중 감량을 위해 wash-out 기간인 중간 2주를 제외하고 개인 필요 열량의 30%를 줄인 low GL 식사와 high GL 식사를 각 2주간 제공하였다. Low GL 식사와 high GL 식사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low GL 식사가 high GL 식사에 비해 체중 (p < 0.001), 체지방량 (p = 0.024), 체질량지수 (p < 0.001)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량이 더 컸다. 하지만 혈압, 혈액 내 비만 질환 위험 지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Low GL 식사의 전·후를 비교한 결과 체중, 체지방량,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이완기 혈압,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공복혈당, C-peptide HOMA 지수가, high GL 식사에서는 체중, 체지방량, 체질량지수,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공복혈당, C-peptide, C-peptide HOMA 지수에서 각 식사 전보다 후에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실험 식사 섭취 전과 섭취 후를 비교한 결과 체중, 체지방량,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혈압 (수축기, 이완기),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공복혈당, 당화혈색소, C-peptide, C-peptide HOMA 지수가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본 연구 결과 체중감량 및 생활습관병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단순히 섭취 열량을 낮추기보다는 열량과 함께 당부하량을 고려하여 섭취하는 것이 체중을 감소시키는 데에 더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경립종 옥수수의 성장과정에 따른 지질변화 II. 극성지질에 대한 연구 (Changes of Lipids in Flint Corn by a Growth Process II. A Study on the Polar Lipid)

  • 김덕진;전영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73-478
    • /
    • 1991
  • After the glycolipid(GL) and phospolipid (PL) of flint corn during a growth process were fractionated by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 (SACC), the GL and PL of polar lipids were separat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and quantitative by TLC scanner and the fatty acid composition in polar lipids were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 (GC). Of the GL in polar lipids were separated by TLC, monoglycosyl diacylglycerol (8.3~29.2%) was the major component, and monoglycosyl ceramide, monoglycosyl sterol were also found as minor components. Of the PL, phosphatidyl choline (27.2~29.5%) and phosphatidyl inositol (42.9~79.1%) were the major components, and phosphatidyl ethanolamine and cardiolipin were also persont in the PL. The major fatty acids in the GL were oleic(27.1~37.1%), linoleic (13.2~35.7%) and palmitic (22.5~25.6%) acids. The major fatty acids in the PL were palmitic (46.5~52.3%), heptadecanoic (23.0~25.1%) and oleic(7.2~14.6%) and GL contained a higher percentage of unsa-turated fatty acids, but PL presented that of the saturated fatty acids.

  • PDF

인삼잎의 지질조성에 주는 재배온도의 영향 (Effect of Growth Temperature on the Composition of Leaf Lipids in Panax ginseng)

  • 박훈;조병구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39-45
    • /
    • 1987
  • Panu ginseng (6 Year old) was grown $17^{\circ}C$/$15^{\circ}C$ and $27^{\circ}C$ day/$23^{\circ}C$ night in the light room of phytotron for 84 days. The composition of neutral lipid(NL), glycolipid(GL), phospholipid(PL) and fatty acids were investigated in leaves. The contents of NL and GL were higher in $25^{\circ}C$ while PL was lower. Similarity (simple correlation) of lipid composition between $16^{\circ}C$ and $25^{\circ}C$ was not significant for PL and GL but significant for NL(p = 0.001), indicating that PL and GL were important factors in the mostability. Similarity of fatty acid composition between growth temperatures was highly significant (p = 0.001) for all three lipids, while similarity between lipids was significant between NL and PL (p=0.01) and NL and GL (p=0.05), but nonsignificant between GL and PL at $16^{\circ}C$. .In NL digalactosyldiacylglycerol (3->$7^{\circ}$) increased but monogalactosyldiacylglycerol (10%) did not change at $25^{\circ}C$. In PL phosphatidic acid (22 -> 4%) and phosphatidylinositol (18 -> 5%) decreased but phosphatidyl ethanolamine (12->l6%) increased at $25^{\circ}C$. Percent unsaturated acid slightly decreased in NL and PL but greatly increased in GL at $25^{\circ}C$. Percent unsaturated bond slightly decreased in NL but did not change in PL and GL.

  • PDF

Siderophore 생산성 생물방제균 Pseudomonas fluorescens GL7의 선발 및 식물근부병의 방제 (Isolation of Siderophore-producing Pseudomonas fluorescens GL7 and Its Biocontrol Activity against Root-rot Disease)

  • 이정목;임호성;장태현;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27-432
    • /
    • 1999
  • 농산물의 증산을 위한 과도한 농약 사용으로 인한 토양 생태계의 파괴를 줄이기 위하여 맹독성 농약을 대신할 수 있는 생물학적 방제제 개발의 일환으로 식물병원성 진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siderophore를 생산하는 생물학적 방제균을 선발하여, 이를 동정하고 근부병균억제기작을 연구하여 향후 다기능 생물학적 방제제 개발의 기초자료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저병해 경작지 토양에 장기간 우점화 되어 있는 siderophore 생산 가능성이 높은 토착 길항미생물을 전국 각지의 저병해 경작지에서 분리하였고, 이들 중 siderophore 생산능이 높은 길항미생물 4종의 균주를 chrome azurol S(CAS) agar를 이용하여 선발하였다. 그 중 최고의 길항성을 나타내는 GL7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고, API diagnostic test와 지방산 분석, 그리고 각종 생리학적 특성 및 형태학적 특성을 통해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fluoresceus의 한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최종 선발된 siderophore 생산균주 P. fluorescens GL7의 길항기작을 병원성 진균인 Fusarium solani를 대상으로 균사 생장과 포자 발아 등의 억제율을 조사한 결과 균사 생장 억제율은 75% 이상이며, 포자 발아억제율은 97% 이상으로 우수한 방제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발된 siderophore 생산능이 높은 길항균주 P. fluo-rescens GL7을 대상으로 토양 내에서 실제로 근부병에 방제력이 있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강낭콩 종자(Phaseolus vulgaris L.)를 발병 기주식물로 사용하여 방제시험을 한 결과 F. solam만 처리한 경우는 30%의 성장율을, P. fluorescens GL7 균주와 F. solani와 함께 처리한 경우는 95% 정도의 성장율을 나타내어 약 65% 정도의 발병율을 줄일 수 있었다. 또한 F. solani와 P. fluorescens GL7을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구에 비해 식물 물게가 147% 정도로 증가하여 식물의 생육도와 뿌리의 발육상태가 양호하였고, 근부병 발생도 거의 볼 수 없었으므로 아주 우수한 siderophore 생산성 생물학적 방제균을 선발할 수 있었다.

  • PDF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 소화기관에서 분리한 6종류의 특성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ix Microorganisms from the Digestive Tract of the Cricket Gryllus bimaculatus)

  • 권기상;이은령;유보경;고영화;신효정;최지영;권오유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1040-1046
    • /
    • 2017
  • 우리는 처음으로 쌍별귀뚜라미 소화기관에서 6종류의 미생물을 분리하고 특성을 규명하였다. 이들은 16S rDNA을 기준으로 분류한 결과 4종류(Staphylococcus, Bacillus, Citrobacter, Proteus)에 속하였다. 분리된 6종류의 미생물은 공통적으로 ampicillin에 저항성을 보이지만 kanamycin 저항성은 보이지 않았다. 이들을 Gram염색하여 미생물의 형태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Gram-positive한 rod-shaped GL2와 round-shaped GL4는 다른 분리 균 보다 많은 양의 세포외분비물을 만들었다, 이들을 MALDI-TOF-MS spectral analysis결과 87-kDa collagenase, 56-kDa & 200-kDa hypothetical protein이였다. 새롭게 분리된 6종류의 미생물은 귀뚜라미의 생리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생물공학적 혹은 해충 방제에 이용될 수 있는 연구가 기대된다.

WebGL 블렌딩 기법을 이용한 다중 공간영상정보 중첩 가시화 (Overlay Rendering of Multiple Geo-Based Images Using WebGL Blending Technique)

  • 김광섭;이기원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04-113
    • /
    • 2012
  • HTML5(Hypertext Markup Language5) 발표 이후 이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서비스가 개발, 출시되고 있다. HTML5는 개인용 컴퓨터의 웹 브라우저와 모바일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의 상호 호환 구동이 가능한 기술 표준으로 학술적, 산업적 발전과 활용 가능성이 계속 증가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HTML5 기술 중 웹 브라우저에서 3차원 그래픽 렌더링을 지원하는 WebGL을 이용하여 DEM 자료와 공간영상정보를 다중 중첩 가시화하는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시험 구현하고자 하였다. 특히 공간정보 중첩처리는 블렌딩 기법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WebGL 구동 프레임워크 중 CubicVR.js를 사용하였으며, 일반 사용자 환경에서 다양한 블렌딩 기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세종시 주변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시험 구현과정에서 중첩 가시화 적용을 위하여 사용된 자료는 KOMPSAT-2 영상, ALOS PALSAR SAR 영상과 해당 지역의 고정형 대기 환경 측정소에서 얻은 격자 자료 등이다. 이러한 자료의 3차원 중첩을 위한 DEM 자료는 수치지도 자료의 등고선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생성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모바일 환경에서도 WebGL을 이용하여 현재 제공되지 않은 새로운 방식의 공간영상정보 콘텐츠와 서비스 시스템 도출 및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Division-by-Convergence 방식을 사용하는 24-비트 부동소수점 제산기에 대한 OpenGL 정확도의 대수적 검증 (Algebraic Accuracy Verification for Division-by-Convergence based 24-bit Floating-point Divider Complying with OpenGL)

  • 유세훈;이정우;김기철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46-351
    • /
    • 2013
  • 모바일 시스템에서는 비용 및 전력 효율이 중요하기 때문에 부동소수점 연산기 개발 시 32-비트 데이터 형식대신 24-비트 데이터 형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24-비트 데이터 형식을 사용할 경우 32-비트 데이터 형식에 비해 연산기의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다. 3D 그래픽과 같이 연속적인 부동소수점 연산 처리가 많이 요구될 경우 연산기의 정확도에 대한 논의와 검증이 중요하다. 나눗셈은 3D 그래픽에 사용되는 연산 중 OpenGL에서 규정한 정확도를 만족하기 가장 어려운 연산 중 하나이다. 현재까지 OpenGL에서 규정한 정확도를 만족하는 것이 대수적으로 검증된 24-비트 부동소수점 제산기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24-비트 부동소수점 제산기를 분석하고, OpenGL ES 3.0에서 규정한 $10^{-5}$의 정확도를 만족함을 대수적으로 검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