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5-year Survival Rate

검색결과 1,258건 처리시간 0.03초

원발성 상악동 편평상피암의 방사선치료 (Radiotherapy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Maxillary Antrum)

  • 윤형근;박찬일;김광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1호
    • /
    • pp.45-50
    • /
    • 1990
  • 1979년 2월부터 1986년 9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치료받은 상악동의 편평상피 암 환자 73예를 분석하였다. 41예에서는 수술과 수술후 또는 수술전 방사선치료를 병용하여 치료하였고 32예에서는 방사선치료만을 주치료로 시행하였다. 전체환자의 5년 생존율은 $40.4\%$였으며 방사선치료만을 주치료로 시행한 집단의 5년 생존율은 $22.1\%$였고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함께 시행한 집단의 5년 생존율은 $65.3\%$였다. 치료 후 사망이 확인된 환자 가운데 상세한 치료실패 과정을 알 수 있었던 31예 중 잔류병소를 포함 국소치유실패를 나타냈던 경우가 22예($71.0\%$)였고 경부임파절 재발로 인한 치유실패가 6예($19.3\%$)였으며 인격전이로 인한 치유실패가 3예 ($9.7\%$)에서 나타났다. 그러므로, 상악동 암의 국소치유율을 증가시켜서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계획된 수술과 방사선 치료의 병용요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linical Outcome of Implants Placed in Grafted Maxillary Sinus Using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2: A 5-year Follow-Up Study

  • Yu-Jeong Baek;Jin-Ho Lee;Hyo-Jeong Kim;Bok-Joo Kim;Jang-Ho Son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45-52
    • /
    • 2024
  • Purpose: To investigate the 5-year outcome of dental implants placed in a grafted maxillary sinus using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2 (rhBMP-2).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27 implants after maxillary sinus floor augmentation (MSFA) using rhBMP-2 in 16 patients between January 2016 and March 2017. The study evaluated two outcome variables: (1) 5-year cumulative survival and success rate of the implant after functional loading and (2) marginal bone loss (MBL) for implant failure. Results: The average residual bone height was 4.78±1.53 mm. The healing period before loading was 8.35±2.34 months. The crown-to-implant ratio was 1.31±0.26. The 5-year cumulative survival and success rate after functional loading were 100% and 96.3%, respectively. The 5-year average MLB was 0.89±0.82 mm. Conclusion: Placing dental implants with MSFA using rhBMP-2 is a reliable procedure with favorable long-term survival and success rates.

III 병기 비소세포성 폐암의 방사선 치료성적 (Local Control and Survival in Radiation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 송미희;양진영;오원용;유남수;황인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311-319
    • /
    • 1993
  • 본 국립의료원 치료 방사선과 에서는 1986년 1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5년간 방사선 치료를 받은 III병기 비소세포성 폐암 37예를 대상으로 후향성 조사를 통하여 임상적 특징과 생존율을 분석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이중 29예가 사망시 또는 1991년 8월까지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으며 치료후 추적 조사기간은 최소10개월, 최고60개월 이었고, 추적율은 $78.4\%$이었다. Kaplan-Meier법에 따른 전체 환자 37예의 2, 5년 생존율은 각각 $20.6\%,\;6.9\%$이었으며 중앙생존 기간은 10개월 이었다. Performance status에 의하면 KPS가 $80\%$ 이상인 I군의 2,5년 생존율과 중앙생존기간은 각각 $29.2\%,\;9.7\%,$ 13개월 이었고, KPS가 $80\%$ 이하인 II군의 2년 생존율과 중앙 생존기간은 $13.7\%$와 7개월 로서, 통계학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p<0.05). AJCC 병기에 따른 생존율 및 중앙 생존기 간을 보면 $III_a$ 병기의 2, 5년 생존율 및 중앙 생존기간이 $29.2\%,9.7\%$및 12개월 이었고 $III_b$ 병기의 2년 생존율과 중앙 생존기간은 $8.6\%$와 10개월로 생존율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 그외 조직 병리학적 유형별, 방사선 선량별, 방사선 반응군별, 항암화학요법 유무에 따른 생존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overall 5년 생존율 및 중앙 생존기간은 $6.7\%$와 10개월 이었고 performance status 만이 통계적으로유의한 예후인자였으며, 병리조직학적 유형, 병기, 방사선 치료선량, 방사선 반응유무와 항암화학요법 등의 예후인자들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 PDF

Long-term Efficacy of Microwave Hyperthermia Combined with Chemoradiotherapy in Treatment of Nasopharyngeal Carcinoma with Cervical Lymph Node Metastases

  • Kang, Min;Liu, Wen-Qi;Qin, Yu-Tao;Wei, Zhu-Xin;Wang, Ren-She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2호
    • /
    • pp.7395-7400
    • /
    • 2013
  • Objective: The long-term efficacy of microwave hyperthermia combined with chemoradiotherapy in treating nasopharyngeal carcinoma (NPC) with metastatic foci in cervical lymph nodes was evaluated. Methods: A total of 154 cases of N2 or N3 stage NPC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hyperthermia group (76 cases) and control group (78 cases). Both received cisplatin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In addition, the hyperthermia group further received microwave hyperthermia to the metastatic cervical nodes with different patterns (before or after radiotherapy), heating temperatures (T90< $43^{\circ}C$ and $T90{\geq}43^{\circ}C$) and hyperthermia episodes (< 4 times, 4-10 times and > 10 times). Results: The 3-month and 5-year complete response (CR) rates of cervical lymph nodes in the hyperthermia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5-year disease-free survival (DFS) rate and the 3-year / 5-year overall survival rate in the hyperthermia group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5-year metastatic rates. In the hyperthermia group, the 3-month and 5-year CR rates of T90< $43^{\circ}C$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with $T90{\geq}43^{\circ}C$ treatment. The CR rate was highest when the hyperthermia was performed 4-10 tim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3-month and 5-year CR rates between hyperthermia before or after radiotherapy treatment. Conclusion: Microwave hyperthermia combined with chemoradiotherapy can increase local control, DFS and 3, 5-year overall survival rates of patients with N2 ~ N3 stage NPC. The heating temperature should be over $43^{\circ}C$ with hyperthermia repeated 4-10 times.

구강악안면영역의 선양낭성암종환자의 생존율 등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ABOUT ADENOID CYSTIC CARCINOMA IN ORAL AND MAXILLOFACIAL AREA)

  • 김용각;박형국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9권1호
    • /
    • pp.79-86
    • /
    • 1997
  • Adenoid cystic carcinoma is characterized by sloe growth, multiple recurrence, a long clinical course and late metastasis. It is less than 1% of all head and neck malignancy, but most prevalent malignancy in salivary gland origin. During 14 years(from 1982 to 1995), 24 patients were diagnosed as adenoid cystic carcinoma in oral and maxillfacial area, in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We studied clinically about their age and sex distribution, primary site distribution, TNM staging, treatment modalities, overall survival rates, survival rates according to stages. The age range were from 15 years to 79 years, average age weas 51 years. 15 were men and 9 Were women. Maxilla and palate were the most prevalent primary site. The most cases were in stage III(37%) and stage IV(46%). The 3 year and 5 year overall survival rate were 65.0% and 58.5%. The 5 year survival rate of the stage III cases was 66.7%, and that of the stage IV cases was 38.4%.

  • PDF

식도암의 방사선치료 성적 (The Result of Radiotherapy in Esophageal Cancer)

  • 박찬일;최은경;정웅기;방영주;김노경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6권2호
    • /
    • pp.227-233
    • /
    • 1988
  • 1979년 3월부터 1986년 8월까지 식도의 편평상피암으로 진단되어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은 177명중 근치적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152명을 대상으로 후향성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80\%$이상의 환자에서 관해를 보였으며, 이중 완전관해는 $22\%$, 부분 관해는 $63\%$이었다. 전체 환자의 2년, 5년 생존율은 각각 $22.9\%,\; 13.3\%$이었으며 식도암의 위치, 크기, 병기 그리고 관해 정도에 따라 생존율에 차이가 있었다. 식도 촬영상 5cm 이하$(17\%)$ 또는 식도의 상부 1/3에 종양이 있는 경우$(25.6\%)$에 가장 좋은 5년 생존율을 보였다. 관해 정도에 따른 생존율은 완전관해를 보인 경우의 5년 생존율이 $34.3\%$인 반면 반응이 없던 경우는 $0\%$이었다

  • PDF

악성 말초신경막 종양의 치료와 생존율 (Treatment and Survial Rate of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s)

  • 이종석;전대근;조완형;이수용;오정문;김진욱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1-138
    • /
    • 2003
  • 서론: 악성 말초 신경막 종양(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MPNST)에 대하여 수술, 항암제 투여, 방사선 치료 등을 시행하고 이에 따른 종양학적 결과를 분석하여 보다 합리적인 치료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1986년 2월부터 1996년 11월까지 본원에 등록된 MPNST 환자 34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17례, 여자가 17례였고 평균연령은 41세(18세~74세)였다. 종양의 위치는 하지가 17례, 상지 11례, 체간부 4례, 후복막 2례였다. AJC(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분류에 의한 종양의 병기는 stage IA가 2례, stage IIA 2례, stage IIB 6례, stage III 16례, 그리고 stage IV가 8례였다. 치료 방법으로는 26례에서 수술과 항암제 투여 그리고 때에 따라서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고 3례에서는 수술만, 3례에서는 항암제 투여나 방사선 치료만 시행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33.5개월(5.6개월~141.1개월)이었다. Kaplan-Meiyer 법으로 생존율을 구하였고, log rank test로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상 질병 상태는 14례에서 CDF(continuous disease free)였고, 2례가 NED(no evidence of disease), 2례 AWD(alive with disease), 그리고 14례가 DOD(died of disease)였다. 실제(actuarial) 5년 생존율과 10년 생존율 은 53.5 %와, 35.7%였다. 수술 후의 국소 재발율은 24.1%였다. 병기별 5년 실질 생존율은 stage I이 100%, stage II 85.7%, stage III 55.9%였고 stage IV의 경우 2년 실질 생존율이 14.3%였다(p=0.04). Stage II, III에서 수술한 경우 21례에서, 광범위 이상의 절제연을 얻었던 경우가 15례로 5년 실질생존율이 76.0%였고 병소내이거나 변연부 절제연의 경우는 6례로 40.0%였다(p=0.26). 4회차 이상의 항암화학요법제를 투여한 군(8례)의 5년 실질생존율은 71.4%였고 3회차 이하의 불충분한 항암제투여를 시행한 군(6례)의 3년 실질생존율은 83.3%였다(p=0.96). Stage II, III 중 방사선 치료 없이 수술 받은 19례에서 병소내 절제나 변연부 절제를 시행했던 5례는 3례가 국소 재발하였고(60.0%) 광범위 절제를 시행한 14례는 4례가 국소 재발하였다(28.6%). 수술 전 또는 후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던 8례에서는 국소재발이한 예도 없었다. 결론: 외과적 절제연(surgical margin)이 국소 재발에는 중요한 요인이었고,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수치는 아니었지만 생존율에도 영향을 주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기존의 항암제 투여는 국소 재발이나 생존율상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다. 수술전과 수술후 시행하였던 방사선치료는 국소 재발을 줄이는데 어느 정도의 효과를 보였다.

  • PDF

식도암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Esophageal Cancer)

  • 현명섭;임승균;정광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3호
    • /
    • pp.280-286
    • /
    • 1995
  • In our hospital we have seen 38 cases of esophageal cancer from June 1984 until June 1994. They composed of 34[89% men and 4[11% women, their age distributed from 35 to 74, mean age was 57.55 7.43. Their symptoms were varied, dysphagia[97% , pyrosis[58% , chest pain[31% , weight loss[31% , anemia[8% , vomiting[5% , and hoarseness[1% . Surgical treatment was done with esophagectomy and upper GI reconstruction 35 cases, and palliative gastrostomy was 3 cases. There was no operative mortality, and operative morbidity was 8 cases of anastomotic leakage, 5 cases of wound infection, 5 cases of pleural effusion, hoarseness, pneumothorax, and lung abscess. Pathologic lesion distribution: upper thoracic esophagus 6 cases[16% , middle thoracic esophagus 17 cases[45% , and lower thoracic esophagus 15 cases[39% .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of transhiatal esophagectomy and transthoracic esophagectomy in complications and hospitalization period in this study but we proved the superiority of gastric upper GI reconstruction rather than colon upper GI reconstruction in anastomotic leakage and hospitalization period. Cumulative survival rate was 76.2% in 1 year survival, 33.9% in 3 year survival, 25.4% in 5 year survival, 12.7% in 10 year survival. There was no relationship with the time of dysphagia with survival in this study.

  • PDF

자궁경부암의 근치적 방사선치료 성적 (The Results of Curative Radiotherapy for the Uterine Cervical Cancer)

  • 김형진;김정수;김진기;권형철;오병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191-199
    • /
    • 1996
  • 목적 : 자궁경부암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후 치료결과 및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와 치료후 합병증, 실패 양상을 알고자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3월부터 1990년 5월까지 조직학적 검사로 확진되고 근치적 목적으로 외부조사 및 강내치료를 받은 5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FIGO 병기에 따른 환자분포는 병기 IIa이하인 Ib, IIa가 각각 2예($3.4\%$), IIb가 31예($52.5\%$), IIIb가 15예 ($25.4\%$), IV가 9예($15.3\%$)였다. 외부조사를 시행한 후, 강내조사를 실시하였는 데, 강내치료는 A점을 기준으로 병기에 따라서 중앙값 3460 cGy(범위: 3000-4366 cGy)까지 조사하였으며, 강내 치료와 외부방사선 치료 전체조사량의 중앙값은 8500 cGy(범위: 8040-10980 cGy)였다. 추적조사 기간은 2개월에서 110개월이었고, 중앙값은 61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환자의 5년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은 각각 $55.9\%$$55.0\%$였으며, FIGO 병기에 따른 5년 생존율은 병기 IIa이하인 경우 $75.0\%$, 병기 IIb는 $74.8\%$, 병기 IIIb는 $26.7\%$, 병기 IV는 $33.3\%$였다. 단변량 분석에 의하면 병기 IIb이하인 경우 5년 생존율은 $74.8\%$였고, IIIb이상인 경우 $29.2\%$ (p<0.005)였다 방사선치료중 혈색소 수준이 한 번이라도 10 gm/dL미만인 환자군의 5년 생존율은 $0\%$였고, 10 gm/dL이상 군은 $73.3\%$ (p<0.005)였다. 종양의 크기가 5 cm이상인 18예($30.5\%$)에서 5년 생존율은 $22.2\%$였고, 5cm미만인 39예($66.1\%$)에서는 $71.8\%$(p<0.005)였다. 또한 50세이상인 경우와 50세미만인 경우 5년 생존율은 각각 $65.3\%$, $34.2\%$ (p<0.05)였다. ECOG 수행능력 정도, 병리소견, 전체 선량, 전체 치료기간은 통계학적 의미는 없었다. 다변량분석에 의하면 방사선 치료중 혈색소 수준(p=0.0001), 종양의 크기(p=0.0390), FIGO병기 (p=0.0468)가 통계학적 의의를 나타냈다. 전체 환자의 재발율은 $23.7\%$(14/59)로 국소재발이 $15.2\%$(6/59), 원격전이가 $6.8\%$(4/59), 국소재발과 원격전이가 $1.7\%$(1/59)를 보였다. 결장직장과 비뇨생식기에서 각각 $15.3\%$(9/59), $8.5\%$(5/59)를 보이고, Grade 2는 10예($17.0\%$), Grade 3은 3예($5.1\%$), Grade 4도 1예($1.7\%$)를 나타내고 있다 빈도는 방사선 직장염, 직장 출혈, 방사선 대장염, 설사, 방사선 방광염 순서로 발생하였다. 결론 : 치료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향적인 무작위 표본에 의한 새로운 예후인자 발견 및 예후가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치료방법의 개선 및 방사선 감작제 또는 항암제를 병용하여 국소재발과 원격전이 억제를 위한 적극적인 치료방법이 연구되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 PDF

Osteosarcoma of the jaws in Koreans: analysis of 26 cases

  • Jeong, Hye-In;Lee, Mi Jee;Nam, Woong;Cha, In-Ho;Kim, Hyung J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3권5호
    • /
    • pp.312-317
    • /
    • 2017
  • Objectives: In order to assess clinical behavior, response to treatment, and factors influencing prognosis of Korean patients with osteosarcoma of the jaws (OSJ).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of clinical, and pathological records of 26 patients with OSJ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in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1990 to March 2017. Results: Of 26 patients, there were 9 men (34.6%) and 17 women (65.4%). Twenty-one of 26 patients had osteosarcoma of the mandible, and 5 of 26 patients had osteosarcoma of the maxilla. The histopathology of OSJ is highly variable, ranging from chondroblastic type (6 out of 26), osteoblastic type (10 out of 26), fibroblastic type (2 out of 26), to the rare variants like mixed type, small cell osteosarcoma types and more. All patients underwent gross total excision and only a few patients underwent neoadjuvant chemotherapy. Postoperative chemotherapy was given to most of the patients as adjuvant treatment or in combination with radiotherapy. The overall survival rate was 73.1% with an overall 2-year survival rate of 83.3%. The overall 5-,10-,15-year survival rates in this study were 73.5%, 73.5%, 49%, respectively. Using Kaplan-Meier analysis with log rank tests, the size of tumor (T-stage), and resection margins were found to affect the survival rate significantly. The chemotherapy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mproved survival rate. Conclusion: Surgical resection with a clear margi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isease survival. The role of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in OSJ remains controversial, and deserves further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