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암반절개사면에 천공 또는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조성한(전사면의 $10{\sim}20%$) 식생기반에 자생수종(소나무, 붉나무, 담쟁이덩굴)의 종자 또는 파종립을 직파하여 식생을 도입하는 암반사면 부분 녹화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발아촉진처리된 종자에 피트모스, 진흙, 흡습제(3.5:1:0.2, v/v)를 피복한 파종립$(1{\sim}2cm^3)$은 대조구 종자보다 포장 및 현지 실험에서 발아율이 약 2배 더 높았다. 현지 실험에서 직파종자의 발아율 및 발아한 묘목의 생존율은 여름 및 가을철 직파시 보다 봄철 직파시에 더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 현지 실험에서 공시 수종의 파종립과 종자의 발아율은 퇴비가 포함된 배양토에서 $0{\sim}3%$로 매우 낮았는데 퇴비는 발아종자 또는 유묘의 모잘록병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유묘의 생존율은 외부 침입 초본류에 의한 피압과 피압 받은 후 겨울철 건조에 영향받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성공율이 낮은 여름철 직파법의 대안으로써 1998년 8월에 소나무, 담쟁이덩굴 2년생 포트묘를 암반절개지에 식재한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본 연구는 양돈 사육규모가 2,000두 이상 5,000두 이하인 국내 중규모 농장의 HACCP 시스템 적용 전 후의 항생제를 비롯한 동물용의약품의 사용 현황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를 차후 수행될 농장 HACCP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선정된 HACCP 적용 양돈장의 평균 노동인력은 내 외국인 모두 6.55명으로 조사되었으며, 구간별 평균 사육 구성 비율은 모돈 11.23%, 자돈 38.37%, 육성-비육 50.40%로 조사되었다. 농장의 생산성지표인 분만율, 총산자수, 포유 개시두수, 평균 이유두수, 평균 이유기간, 모돈 두당 연간 이유 두수, 모돈 두당 연간 규격돈 출하 두수 등은 HACCP 시스템 적용 전에 비하여 적용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출하두당 생산비와 사료비도 HACCP 시스템 적용 전에 비하여 적용 후 증가하였으나 이는 조사 당시 국제 곡물가격의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월평균 약제비와 사용항생제수는 HACCP 적용 전에 비하여 적용 후 각각 -13.27, -27.5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육구간별 항생제 첨가농장수-사료공장에서 첨가와 사육구간별 항생제 첨가농장수-농장에서 첨가는 HACCP 적용 전 많은 농장에서 항생제가 첨가된 사료를 급여하였으나 적용 후에는 사용율이 평균 59% 감소하였으며, 특히 육성 및 비육구간에 사용되었던 항생제 첨가사료가 상당히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Objectives : The authors present a retrospective analysis of 100 consecutive adult patients harboring craniopharyngiomas who underwent microsurgical resection between 1981 and 1999 to assess the long-term outcome of surgical treatment and to determine the most optimal management strategy. Methods : The extent of surgical removal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 GTR(gross total removal), RSTR(radical subtotal removal), STR(subtotal removal),and PR(partial removal).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50 months(4-198). CT scan and/or MR imaging and hormonal status were evaluated to the last follow-up. Results : Visual disturbance was the most common presentation, which was improved in 42 cases and aggravated in 19 cases following the operation. Hypopituitarism was detected in 56 patients preoperatively, 82 during the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and 76 at the last follow-up. Improvement of pituitary function was not observed in any of these patients. Twenty of 100 patients showed recurrence at the mean of 27 months(3 to 196). The median progression-free survival(PFS) time of all patients was 145 months and 5-year PFS rate was 74%. Five-year PFS rate of GTR or RSTR group(7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TR or PR group(30%)(p=0.01).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significantly prolonged the PFS from 94 months in non-radiation group to 182 months(p=0.002).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number of patients who required hormonal replacement therapy between radiation and non-radiation group. Conclusion : Visual disturbance can be improved by early diagnosis and surgical decompression. GTR or RSTR in selected patients is considered a proper surgical strategy.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for residual tumors must be considered, although the ideal timing of radiation therapy is to be determined.
Recently in Korea, integration of F.P. & MCH programs for effective and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health programs has been discussed actively. In fact, categorical health workers in fields have been trained and changed as an integrated health workers by government. But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that had to be solved for successful integration of F.P. and MCH programs, is that there must be a common indicator for the evaluation of the two health services (integrated indicator). We regarded reproductive efficiency (=R.E.) that had been proposed by Charlotter M$\ddot{u}$ller et al, as the good integrated indicator. The object of this brief article is to introduce the meaning of reproductive efficiency and to illustrate the usefulnesses of R.E. as the integrated health indicator by applying this indicator to the data from preliminary survey of Seosan demonstration project for integration of F.P. & MCH service supported by WHO. The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Definition of R.E. is the percentage of pregnancies that succeed in production normal, surving children after taking into account the frequency of all measurable types of adverse outcomes (End point for evaluation of survival is one year of age). 2) On the basis of the past pregnant history, reproductive efficiency of the 2,484 eligible women (15-44 years) was roughly 75% (But, in the concept of good births, it is not regarded whether the survived infant is normal health or not). 3)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other two surveys of the rural area in Korea, reproductive efficiency has been slightly decreased than before, in spite of family planning and MCH services for past 20 years. Because the quantity of increased abortion rate overwhelmed that of the decreased infant mortality rate. 4) Reproductive efficiency has the object for measure many events during the period from the conception (Wanted pregnancy) to an normal surviving children as an 1 year of age. So these heterogenous adversities, ie, induced abortion, still births, spontaneous abortion, neonate & infant death, are aggregated as R.E. However, if the information of these important events and reproductive efficiency were given, R.E. is used as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indicator for F.P. and M.C.H. after meticulous analysis the various components of R.E. 5) Economic loss for adverse outcomes of preg were pregnancy were calculated applying the medical cost at the relatively small sized hospital of small city. Economic loss for 100 cases of adverse outcome is 10,420,000 won, and economic loss for infant death is 46.1% of the total loss. So, it is rational to invest much more effort and than before to MCH programs.
본 연구는 국내 대규모 양돈농장에 HACCP 시스템을 적용 후 나타나는 생산성 및 안전성의 지표인 분만율, 총 산자수, 초기 포유개시 두수, 이유 두수, 이유후 육성율, 이유일령, 모돈두당 연간 비육돈 출하두수와 월평균 약제비, 농장에서의 사용항생제수 사육구간별 사료내 항생제 첨가 농가수-사료공장에서 첨가, 사육구간별 사료내 항생제 첨가 농가수-농장에서 첨가 등을 조사하여 그 효과를 검토하고 이를 향후 수행할 농장 HACCP 연구 관련 기초 자료로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분만율은 HACCP 적용 전에 비하여 적용 후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모돈 두당 연간 규격돈 출하두수도 HACCP 적용 전 17.99두였으나 적용 후 18.83두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농장에서의 사용항생제수는 적용 전 8.88개에서 적용 후 6.13개로 약 25.97%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특히 사육구간별 항생제 첨가농장수-농장에서 첨가는 비육구간에서 HACCP 적용 전에는 전체 10개 농장 중 4개 농장이 해당되었으나 적용 후에는 모든 농장에서 항생제를 사료에 첨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대규모 양돈농장에 HACCP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동물용 의약품 사용 감소와 함께 농장의 생산성에도 좋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동시에 소비자에게 더욱 안전한 축산물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Lee, Sang Hyuk;Lee, Eun Hee;Sung, Kyoung Su;Kim, Dae Cheol;Kim, Young Zoon;Song, Young Jin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제65권4호
/
pp.558-571
/
2022
Objective :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dicting factors for local control (LC) of atypical meningioma, and we validated them with comparing the predicting factors for recurrence-free survival (RFS). We also examined the rate of LC after surgical resection with or without adjuvant treatment and RFS. Methods : Clinical and radiolog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atypical meningiomas diagnosed at two institutes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18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Histopathological features were also reviewed using formalin-fixed paraffin embedded samples from pathological archives. Results : Of the 99 atypical meningiomas eligible for analysis, 36 (36.4%) recurr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mean, 83.3 months; range, 12-232 months). The rate of 3-year LC and 5-year LC was 80.8% and 74.7%, respectively. The mean time-to-recurrence was 49.4 months (range, 12-150). The mean RFS was 149.3 months (95% confidence interval, 128.8-169.8 months) during the mean follow-up duration of 83.3 months (range, 12-232 months). Multivariate analysis using Cox proportional-hazard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the extent of resection (hazard ratio [HR], 4.761; p=0.013), Ki67 index (HR, 8.541; p=0.004), mitotic index (HR, 3.275; p=0.044), and tumor size (HR, 3.228; p=0.041)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LC. These factors were also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RFS. In terms of radiotherapy after surgical resection, the recurrence was not prevented by immediate radiotherapy because of the strong effect of proliferative index on recurrence. Conclusion :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the extent of resection, proliferative index (according to Ki67 expression) and mitotic index, and tumor size are associated with recurrence of atypical meningiomas. However, our results should be further validated through prospective and randomized clinical trials to overcome the inborn bias of retrospective nature of the study design.
목적 : 시험개복술을 시행하지 않은 임상적 병기 1기, 2기 횡경막상부 호지킨병에서 후향적으로 치료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시험개복술의 필요성을 재검토하였고 예후 인자를 분석하고, 예후 인자군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에서 1995년까지 연세의료원에서 횡경막 상부에 국한된 임상적 병기 1-2기 호지킨병으로 진단받고 치료를 받았던 51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은 4-67세까지 였으며 중앙값은 30세였고 병기별로는 IA, IIA, IIB가 각각 16례, 25례, 10례였다. 방사선치료는 4, 6MV 광자선으로 매일 1.5-1.8Gy씩 19.5Gy에서 55.6Gy(중앙값:45Gy)가 조사되었으며, 항암화학 요법은 방사선치료 전후에 2-12회(중앙값: 6회) 시행되었다. 방사선치료 단독, 항암화학방사선병용요법, 항암화학요법 단독이 각 각 31례, 16례, 4례에 시행되었고 방사선치료는 Involved field 방사선치료가 3례, 맨틀방사선치료가 26례, 부분적림프절방사선치료가 18례에서 시행되었다. 생존을 분석은 Kaplan-Meier method, 유의성 검증은 log-rank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 5년 전체 생존율은 $87.6\%$, 무병 생존율은 $78.0\%$였다. 완전 관해된 50례 중 림프절만 재발한 경우가 4례, 간이나 폐 또는 비장에서 재발한 경우가 3례, 림프절과 간에 동시에 재발된 경우가 1례 있었다. 재발한 8례중 구제 치료가 항암화학요법 단독, 방사선치료 단독, 항암화학방사선병용요법이 각 각 4례, 1례, 2례에서 시행되어 이중 2례만 구제되었다. 여성이거나 거대 종격동 림프선비대가 있는 경우에 재발이 의미있게 많았고 전체 생존율은 B 증상이 있거나 임상적 .병기가 높을수록 의미있게 낮았다. EORTC 예후 인자군에 따른 5년 무병 생존율은 very favorable군 (VF관), favorable군(F군), unfavorable군(U군)이 각각 100, 100, $55.8\%$, 5년 전체 생존율은 100, 100, $75.1\%$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VF군과 F은 방사선치료만으로도 $100%$의 생존율을 보였으나 U군에서는 항암화학방사선병용요법시 방사선치료 단독보다 적은 재발율을 보였으나 생존율은 비슷하였다.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경우에 맨틀방사선치료보다 부분적림프절방사선치료를 받은 경우에 무병 생존율이 높았다. 결론 : 횡경막상부에 국한된 호지킨병에서 시험개복술을 시행하지 않고도 좋은 치료 결과를 보여 주었다 성별, 거대 종격동 림프선비대가 무병 생존율에 의미있는 영향을 주었고 B 증상, 임상적 병기는 전체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예후 인자였다. 그리고 EORTC 예후 인자군에 따른 분류가 예후 예측과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데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배경 : 최근 국내에서도 만성폐질환을 가진 저산소증 환자에게 재택산소요법이 증가하고 있으나 그 실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한 대학병원 호흡기내과에서 재택산소요법을 처방 받은 환자들의 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3년 8월까지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에서 재택산소요법을 처방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 검토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산소를 중단한 4명의 환자는 제외하였다. 결 과 : 총 86명의 환자가 산소요법을 처방받았고, 2000년 이후로 매년 빈도가 증가되는 추세였다.남/녀비는 52/34명, 평균연령은 61.3세였다. 환자들의 기저질환으로 만성폐쇄성폐질환 29명, 결핵파괴폐 18명, 기관지확장증 15명, 간질성폐질환 12명, 척추후측만증 7명 등으로 다양한 질환을 보였다. 산소 처방 당시 평균 53명의 폐기능 소견은 $FEV_1/FVC$ 비 $58.4{\pm}25.2%$, FVC $54.5{\pm}17.1$ (% pred.), $FEV_1$$41.7{\pm}20.6$ (% pred.)로 측정되었다. 산소요법은 1.5 L/min에서 시작하여 평균 14.5시간 동안 사용하였다. 산소 처방 당시 동맥혈 산소농도는 77.7 mm Hg, 동맥혈 이산화탄소농도는 49.6 mm Hg 정도로 조절하였다. 전체 환자 중에서 가정간호사 방문이나 맥박산소측정기로 집에서 산소포화도를 모니터링 하는 경우는 16.5%에 불과하였고 대부분의 환자는 외래 방문시 시행하는 동맥혈가스분석이나 증상에 따라 산소량을 조절하였다. 재택산소치료를 하는 환자들의 3년 생존율은 56%였고 고탄산혈증을 가지는 환자에서 더 좋은 예후를 보였다. 결 론 : 재택산소치료는 다양한 폐질환 환자에게 시행되고 있고, 점차 빈도도 증가하고 있어 효율적인 관리 체계의 확립을 위한 보험제도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im, Young Suk;Choi, Jae Hyuck;Kim, Kwang Sik;Lim, Gil Chae;Kim, Jeong Hong;Kang, Ju Wan;Song, Hee-Sung;Lee, Sang Ah;Hyun, Chang Lim;Choi, Yunseon;Kim, Gwi Eon
Radiation Oncology Journal
/
제35권2호
/
pp.112-120
/
2017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 of adjuvant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EBRT) on local failure-free survival rate (LFFS) for papillary thyroid cancer (PTC) invading the trachea. Materials and Methods: Fifty-six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PTC invading the trachea were treated with surgical resection. After surgery, 21 patients received adjuvant EBRT and radioactive iodine therapy (EBRT group) and 35 patients were treated with radioactive iodine therapy (control group). Results: The age range was 26-87 years (median, 56 years).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43 months (range, 4 to 145 months). EBRT doses ranged from 50.4 to 66 Gy (median, 60 Gy). Esophagus invasion and gross residual disease was more frequent in the EBRT group. In the control group, local recurrence developed in 9 (9/35, 26%) and new distant metastasis in 2 (2/35, 6%) patients, occurring 4 to 68 months (median, 37 months) and 53 to 68 months (median, 60 months) after surgery, respectively. Two patients had simultaneous local recurrence and new distant metastasis. There was one local failure in the EBRT group at 18 months after surgery (1/21, 5%). The 5-year LFFS was 95% in the EBRT group and 63% in the control group (p = 0.103). In the EBRT group, one late grade 2 xerostomia was developed. Conclusion: Although, EBRT group had a higher incidence of esophagus invasion and gross residual disease, EBRT group showed a better 5-year LFFS. Adjuvant EBRT may have contributed to the better LFFS in these patients.
목 적: 직장암으로 근치적 수술 후 보조 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받은 환자들의 치료실패 양상 및 생존율 등의 치료 결과를 후향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직장암 환자의 치료에서 근치적 수술 후 보조 화학방사선요법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직장암으로 근치적 수술을 시행하고 수술 후 보조 치료방법으로 화학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AJCC 병기 II기와 III기 환자 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병기별 분포는 T1, T2 병기는 없었고 T3 38명(82.6%), T4 8명(17.4%)으로 대부분 T3 병기였으며, N0 12명(26.1%), N1 16명(34.8%), N2 18명(39.1%)이었다. 보조 화학요법은 40명에서 4주 간격으로 6회에 걸쳐 5-fluorouracil (5-Fu)와 leucovorin을 정맥 주사하였고 6명에서는 Uracil/Tegafur (UFT)를 $6{\sim}12$개월간 매일 경구 복용하였다. 방사선치료는 골반 내 영역 림프절을 포함하는 부위에 45 Gy를 조사한 후 원발병소가 있었던 부위를 중심으로 조사범위를 축소하여 $5.4{\sim}9\;Gy$를 추가조사 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은 $8{\sim}75$개월이었고 중앙값은 35개월이었다. 결 과: 전체 46명 중 17명(37%)에서 재발이 관찰되었다. 국소단독실패는 없었고 영역단독실패 1명(2.2%), 원격단독 실패 13명(28.3%), 국소영역 및 원격실패 3명(6.5%)으로 국소영역실패율은 8.7%, 원격실패율은 34.8%였다. 최초 치료실패 부위는 골반 내 원발병소 주변 부위와 골반 내 림프절이 각각 3명이었고 연결부위나 회음부에서 실패한 경우는 없었다. 최초 원격실패의 부위는 폐, 간, 뼈 순이었다. 전체 5년 생존율과 무재발 생존율은 각각 51.5%와 58.7%였다. N 병기에 따른 생존율은 N0, N1, N2에서 각각 100%, 53.7%, 0%였고(p=0.012), 무재발 생존율은 각각 100%, 47.6%, 41.2%였다(p=0.009). 종양의 위치에 따른 무재발 생존율은 상부, 중간부, 하부에서 각각 55.0%, 78.5%, 31.2%였다(p=0.006). 다변량 분석에서 5년 전체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후인자는 N 병기였고(p=0.012), 무재발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는 N 병기와(p=0.001) 종양의 위치였다(p=0.006). 수술을 요하는 장 관련 후유증은 3명(6.5%)에서 발생하였다. 결 론: 직장암의 치료에서 근치적 수술 후 보조 화학방사선요법은 국소영역제어 측면에서는 효과적이었으나 원격제어에 대한 효과는 부족하다고 생각된다. 향후 생존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원격실패를 감소시키려는 노력이 시도되어야 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