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4D dose

검색결과 1,327건 처리시간 0.036초

농산물과 토양에 대한 퍼클로레이트 함량 평가 및 생물농축계수 산출 (Bioconcentration Factor(BCF) of Perchlorate from Agricultural Products and Soils)

  • 김지영;김민지;이정미;김두호;박기문;김원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4-230
    • /
    • 2013
  • 퍼클로레이트의 인체 노출경로 중 식품섭취로 인한 노출경로가 전체 노출경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식품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상태이다. 또한, 국내 오염물질에 대한 국내산 토양으로부터 농산물로의 생물농축계수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미흡한 상태이므로 데이터베이스 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도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퍼클로레이트 계수 산출을 위해 농산물이 재배된 토양을 함께 채취하여 농산물과 토양에 대한 각각의 퍼클로레이트 함량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이용해 생물농축계수 및 위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농산물 각 그룹별 퍼클로레이트의 평균함량이 곡류 2.70, 과일류 1.43, 채소류 $10.32{\mu}g/kg$으로 녹색 채소류에서 가장 높은 함량이 조사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 값은 기존의 국내 외 연구 결과 값과 비슷한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토양의 경우 곡류 8.38, 과일류 1.01, 채소류 $5.20{\mu}g/kg$의 함량이 조사되었다. 이렇게 얻어진 농산물과 토양의 결과를 이용해 토양에서 농산물로의 퍼클로레이트 생물농축계수를 산출한 결과 깻잎(37.88) > 옥수수(21.51) > 시금치(10.57) > 귤(4.39) > 부추(2.89) > 호박(1.90) 순으로 채소류에서 높은 생물농축계수를 나타냈다. 실제 토양에서는 농산물마다 흡수이행 되는 패턴이 다르기 때문에 퍼클로레이트의 전이 매커니즘 규명 등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실제 퍼클로레이트가 함유된 농산물을 섭취하였을 경우 퍼클로레이트에 대한 인체 노출량을 조사한 결과, 곡류, 채소류, 과일류 모두 2세 미만 그리고 3~6세의 영유아 그룹에서 높은 노출량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곡류, 과일류, 채소류 모두 1이하로 안전한 수준이기는 하나 곡류, 과일류, 채소류 대부분이 영유아 그룹에서 높은 노출량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취약계층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Experimental Pathogenesis of Pullorum Disease with the Local Isolate of Salmonella enterica serovar. enterica subspecies Pullorum in Pullets in Bangladesh

  • Haider, M.G.;Chowdhury, E.H.;Khan, M.A.H.N.A.;Hossain, M.T.;Rahman, M.S.;Song, H.J.;Hossain, M.M.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41-350
    • /
    • 2009
  • 이 실험은 추백리의 병원성을 연구하고자 2006년 2월부터 12월까지 Salmonella enterica serovar. enterica subspecies (S.) Pullorum 야외주를 분리한 후, 이를 건강한 닭에 실험적으로 감염시킨 다음 임상증상, 여러 기관의 육안 및 조직병리학적 검색과 아울러 공격주의 재분리와 동정을 시도하였다. S. Pullorum에 혈청학적으로 음성인 12주령의 100수의 암탉을 $A{\sim}E$까지 20수씩 5그룹으로 구분하였다. $A{\sim}DS$. Pullorum을 $10^6\;CFU$, $10^7\;CFU$, $2{\times}10^7\;CFU$, $10^8\;CFU$로 각각 경구 감염시켰고, E는 비감염 대조군으로 삼았다. 실험 방법으로는 부검, 조직병리학적 검사, Salmonella에 대한 세균 배양, 염색,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

C2C12 근관세포에서 상엽에 의한 AMPK의 불활성화와 AICAR로 유도된 근위축 억제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Ethanol Extract of Mori Folium Inhibits AICAR-induced Muscle Atrophy Through Inactivation of AMPK in C2C12 Myotubes)

  • 이유성;김홍재;정진우;한민호;홍수현;최영현;박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35-443
    • /
    • 2018
  • AMPK는 세포 내 에너지 균형을 조절하는 조절자 및 에너지 센서이며, 특히 골격근에서는 muscle-specific ubiquitin ligases의 조절을 통한 근육 단백질 분해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상엽은 다양한 약리학적 효능을 가지는 전통약재 중 하나이지만 근위축과 관련된 효능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C2C12 myotubes에서 AMPK 활성제인 AICAR가 유발하는 근위축 및 관련 유전자의 발현과 함께 상엽 에탄올 추출물(ethanol extracts of Mori Folium, EEMF)이 유발하는 근위축 억제 효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먼저 C2C12 myoblasts에 AICAR를 처리하였을 경우 AMPK 활성화가 유발되었으며, 하위 단계에 있는 FoxO3a의 발현 증가와 함께 muscle-specific ubiquitin ligases인 MAFbx/atrogin-1 및 MuRF1의 발현 증가와 muscle-specific transcription factors인 MyoD 및 myogenin의 발현 감소가 유발되었다. 또한 분화가 유발된 C2C12 myotubes에 세포독성이 없는 조건의 AICAR를 처리하였을 경우 근위축이 유발되었으며, EEMF는 AMPK 불활성화 및 FoxO3a 발현 억제를 유발함으로서 AICAR 처리에 의한 근위축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서 AICAR에 의한 AMPK 활성화가 근위축을 유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EEMF는 AMPK signaling pathway를 통하여 AICAR에 의한 근위축을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햄스터 난자에서 존재하는 Chloride 통로 (Identification of Chloride Channels in Hamster Eggs)

  • 김양미;김종수;홍성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1-112
    • /
    • 2004
  • 본 연구는 포유류인 $Cl^-$통로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Cl^-$통로는 비흥분성 세포에서 용적변화와 pH 조절, 이온운반계 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활발한 세포분화가 이루어지는 난자의 생존과 기능에 필수적 $Cl^-$통로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단일통로 전류를 기록하는 patch clamp 기법을 이용하였다. 세포외(pipette) 용액을 140 mM NaCl로 하고 세포내(bath) 용액을 70 mM, 140 mM, 280 mM NaCl로 바꾸어 주었을 때, 역전압($E_{rev}$) 은 $Cl^-$평형전압을 반영하는 -9.8${\pm}$0.5mV, 0mV, 11.5${\pm}$0.2mV로 변화하였다(n=4). 이런 결과는 이론치와 약간의 편차를 보이고 있으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항 Goldman-Hodgkin-Katz(GHK) 식을 이용한 결과 $Cl^-$에 대한 $Na^+$의 투과성 ($P_{Na}$/$P_{Cl}$/)은 0.25로 추측할 수 있었다. Inside out patch mode에서 Pipette 용액과 bath 용액에 imperment인 NMDG-Cl로 구성하였을 경우 단일 통로가 기록되었다.(n=22). 막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전도도(conductance)가 같이 증가하였으며 전류-전압 관계는 outward rectification을 보였다. 이런 특성을 나타내는 단일통로로 전류는 선택적 $Cl^-$통로 차단제인 IAA-94(indanyloxyacetic acid 94)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차단되었으며 가역적으로 회복되었다. IAA의 $IC_{50}$은 32.6$\mu\textrm{M}$이었다. DIDS(4,4'-diisothiocyan ostillben-2-2'disulfonic acid)에 의해서는 전류크기가 감소 되는 빠른 억제기전을 나타내는 차단효과를 보였으며 시간경과에 따라 seblevel로 감소되는 subconductance block 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햄스터 난자에서 chloride 통로가 존재하여, 물질이동과 pH 조절기능을 나타내는 외향성 전류-전압관계를 보이는 $Cl^-$ 통로의 성상으로 미루어 볼 때 난자의 pH 조절과 용적조절과 같은 생리적 환경 조성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111}In$-표지 갈락토즈 접합 항체의 체내분포 및 간에서의 대사 : $^{111}In$-표지 항체와의 비교연구 (Biodistribution and Hepatic Metabolism of Galactosylated $^{111}In-Antibody-Chelator$ Conjugates: Comparison with $^{111}In-Antibody-Chelator$ Conjugates)

  • 곽동석;정규식;하정희;안병철;이규보;백창흠;이재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02-417
    • /
    • 2003
  • 목적: 종양의 진단과 치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단클론항체를 수용체에 결합하는 수송체로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간의 asialoglycoprotein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는 갈락토즈접합 단클론항체를 $^{111}In$로 표지하여 체내에서의 분포와 간을 중심으로 한 체내대사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갈락토즈를 접합하지 않은 $^{111}In$ 표지 항체와 비교하였다. 재료 및 방법: 인체 림프 구성백혈병 세포에 대한 T101 단일클론항체를 cyclic DTPA dianhydrate(DTPA) 나 2-p-isothiocy-anatobenzyl-6-methyl-DTPA(IB4M) 로 접합하고 갈락토즈를 붙인후 $^{111}In$으로 표지하였다. 생쥐와 흰쥐에서 갈락토즈를 접합한 화합물과 접합하지 않은 화합물의 체내분포와 간대사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111}In$ 표지 T101항체와 갈락토즈 접합체는 투여량의 대부분이 10분 이내에 간에 섭취되었다. DTPA 접합자를 사용한 경우 IB4M 접합자를 사용한 경우보다 간에 오랫동안 저류되어 주사 후 44시간 간 섭취율이 각각 55%와 20% 였다. 이 기간동안의 DTPA화합물의 방사성 대사산물은 24%가 소변으로 17%가 대변으로 배설되어 유사하였으나 IB4M 화합물은 68%가 대변으로 8%가 소변으로 배설되어 배설경로에 차이가 있었다. 1B4M화합물을 주사후 3시간의 담즙과 간 현탁액을 HPLC로 분석한 결과 IgG와 저류시간(Rt)이 같은 첫 절정에 35%,유리 $^{111}In$과 유사한 절정의 Rt에 65%가 관찰되어 대사산물이 빠르게 답즙으로 배출됨을 알 수 있었고, DTPA 화합물 주사후 3시간 대사산물은 90%가 $^{111}In-DTPA$와 유사한 Rt의 절정을 보였다. 그러나 대변의 $^{111}In$ 의 축적량은 낮아 DTPA 접합화합물은 담도를 통한 빠른 배설이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단일클론항체에 갈락토즈를 접합한 경우보통의 항체에 비하여 간 섭취가 많고, 간에서의 대사가 촉진된다. 이 경우 사용되는 접합자의 선택에 따라서 대사산물의 성분이 달라지고 간에서의 제거도 차이가 있다. 이러한 대사의 차이점은 향후 종양세포나 조직의 탐색에 이용할 방사능 표지 항체의 제조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Comparison of Single and Blend Acidifiers as Alternative to Anti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Fecal Microflora, and Humoral Immunity in Weaned Piglets

  • Ahmed, S.T.;Hwang, J.A.;Hoon, J.;Mun, H.S.;Yang, C.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1호
    • /
    • pp.93-100
    • /
    • 2014
  • The banning of the use of antibiotics as feed additive has accelerated investigations of alternative feed additives in animal production. This experiment investigated the effect of pure citric acid or acidifier blend supplementation as substitute for antibiotic growth promoters on growth performance, fecal microbial count, and humoral immunity in weaned piglets challenged with Salmonella enterica serover Typhimurium and Escherichia coli KCTC 2571. A total of 60 newly weaned piglets (crossbred, 28-d-old; average 8 kg initial weight)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dietary treatment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Dietary treatments included NC (negative control; basal diet), PC (positive control; basal diet+0.002% apramycin), T1 (basal diet+0.5% pure citric acid), and T2 (basal diet+0.4% acidifier blend). All piglets were orally challenged with 5 mL of culture fluid containing $2.3{\times}10^8$ cfu/mL of E. coli KCTC 2571 and $5.9{\times}10^8$ cfu/mL of S. typhimurium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The PC group showed the highest ADG and ADFI, whereas gain:feed was improved in the PC and T1 group (p<0.05). All dietary treatment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in fecal counts of Salmonella and E. coli, compared to NC (p<0.05), with PC being better than T1 and T2. Significant elevation in fecal Lactobacillus spp. counts was shown by treatments with T1, T2, and PC, whereas Bacillus spp. counts were increased by treatment with T1 and T2 compared to NC and PC diet (p<0.05). Serum IgG concentration was increased by T1 diet (p<0.05), whereas IgM and IgA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any of the dietary treatments (p>0.05). From thes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as alternatives to antibiotics dietary acidification with pure citric acid or acidifiers blend did not fully ameliorate the negative effects of microbial challenges in respect of growth performance and microbial environment, however improved immunity suggested further research with different dose levels.

Functional Properties of Human Muscarinic Receptors Hm1, Hm2 and Hm3 Expressed in a Baculovirus/Sf9 Cell System

  • Woo, Hyun-Ae;Woo, Yae-Bong;Bae, Seung-Jin;Kim, Hwa-Ju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7권4호
    • /
    • pp.307-314
    • /
    • 1999
  • The human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mAChR) subtypes Hml, Hm2 and Hm3 have been expressed in insect cells (Spodoptera frugiperda, Sf9) using the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 Expression of relevant DNA, transcript and receptor proteins was identified by PCR, Northern blotting and [$^{3}H$]QNB binding, respectively. As assessed by [$^{3}H$]QNB binding sites, yields of muscarinic receptors in membrane preparations in this study were as about 5-20 times high as those in mammalian cells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The [$^{3}H$]QNB competition binding studies with well-known subtype-selective mAChR antagonists showed that the receptors expressed in Sf9 cells retain the pharmacological characteristics expected for the ml , m2 and m3 muscarinic receptors. The ml-selective antagonist, pirenzepine, displayed a considerably higher affinity for Hml by 110-fold and 35-fold than for Hm2 and Hm3, respectively, The m2-selective methoctramine displayed a significantly higher affinity for Hm2 than for Hml and Hm3 (10- and 26-fold, respectively). p-F-HHSiD exhibited high affinity for Hm3 that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for Hml, but 66-fold higher than its affinity for Hm2. The functional coupling of the recombinant receptors to second messenger systems was also examined. While both Hml and Hm3 stimulated phosphoinositide hydrolysis upon activation by carba-chol, Hm2 produced no response. On the other hand, activation of mAChRs induced the inhibition of forsko-lin-stimulated cyclic AMP formation in Hm2-expressing cells, whereas the significant dose-dependent increase in or poor response on cyclic AMP formation were produced in Hml or Hm3-expressing cells,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e differential coupling of recombinant Hml, Hm2 and Hm3 receptors expressed in SF9 cells to intracellular signalling system.

  • PDF

Differential Expression of Xenobiotic-Matabolizing Enzymes by Benzylisothiazole in Association with Hepatotoxicity: Effects on Rat Hepatic Epoxide Hydrolase, Glutathione S-Transferases and Cytochrome P450s

  • Cho, Min- Kyung;Kim, Sang-Geo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4권3호
    • /
    • pp.293-300
    • /
    • 1998
  •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heterocycles including thiazoles are efficacious in inducing phase phase II metabolizing enzyme as well as certain cytochrome P450s and that the inductin of these matabolizing enzymes by the heterocyclic agents is highly associated with their hepatotoxicity.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benzylisothiazole (BIT), which has a isothiazole moiety, on the expression of microsomal epoxide hydrolase (mEH), major glutathione S-transerases and cytochrome P450s were studied in the rat liver in association with its hepatotoxicity. Treatment of rats with BIT(1.17 mmol/kg, 1~3d) resulted in substantial increases in the mEH. rGSTA2, rGSTA2, rGSTM1 and rGSTM2 mRNA levels, whereas rGSTA3 and rGSTA5 mRNA levels were increased to much lesser extents. A time-course study showed that the mRNA levels of mEH and rGSTs were greater at 24hr after treatment than those after 3 days of consecutive treatment. Relative changes in mEH and rGST mRNA levels were consistent with those in the proteins, as assessed by Western immunoblot analysis. Hepatic cytochrom P450 levels were monitored after BIT treatment under the assumption that metabolic activation of BIT may affect expression of the enzymes in conjunction with hepatotoxicity. Immunoblot analysis revealed that cytochrome P450 2B1/2 were 3-to 4-fold induced in rats teatd with BIT(1.17 mmol/kg/day.3days), whereas P450 1A2, 2C11 and 3A1/2 levels were decreased to 20~30% of those in unteatd rats. P450 2E1 was only slightly decreased by BIT. Thus, the levels of several cytochrome P450s were suppressed by BIT treatment. Rats treated with BIT at the dose of 1.17mmol/kg for 3 days exhibited extensive multifocal nodular necrosis with moderate to extensive diffuse liver cell degeneration. No notable toxicity was observed in the kidney. These results showed that BIT induces mEH and rGSTs in the liver with increases in the mRNA levels, whereas the agent significantly decreased major cytochrome P450s. The changes in the detoxifying enzymes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necrotic liver after consecutive treatment.

  • PDF

백혈병 세포주 Jurkat의 세포고사 유도 및 세포주기 억제에 미치는 합산피 추출물의 효과 (Effects of the Water Extract from Albizzia julibrissin on Apoptosis and Cell Cycle Progression in the Human Leukemic Jurkat Cells)

  • 박영준;정우철;정대영;이용운;이인;이기상;전병훈;성강경;문병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383-1392
    • /
    • 2003
  • Apoptosis is a morphologically and biochemically district form of cell death that occurs in many different cell types in a wide variety of organisms. Albizzia julibrissin belonging the family Leguminosae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contusion, sore throat, amnesia, and insomnia in oriental traditional medicine.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water extract of A. julibrissin induce apoptotic cell death in Jurkat T-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cells. Jurkat cells were increased inhibitions of cell viabil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by A. julibrissin. This herbal medicine also caused apoptosis as measured by cell morphology and DNA fragmentation. The capability of A. julibrissin to induce apoptosis was associated with proteolytic cleavage of specific target proteins such as poly (ADP-ribose)polymerase (PARP) and beta-catenin proteins suggesting the possible involvement of caspases. Our result showed that Bcl-2 and Bax protein levels were not changed in all A. julibrissin-treated groups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julibrissin-mediated apoptosis is independent with Bcl-2 related signaling pathway in this cell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also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julibrissin on cell cycle progression. Our results showed that G1 checkpoint related gene products (cyclin D1, cyclin dependent kinase 4, retinoblastoma, E2F1) were decreased in their protein levels in a dose-dependent manners after treatment of the extrac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crease of apoptotic cell death by A. julibrissin may be due to the inhibition of cell cycle progression in wild type p53-lacking Jurkat cells.

식물생장조절제(植物生長調節劑) "Chlorflurenol"을 이용(利用)한 제초제(除草劑) 살초력(殺草力) 증대(增大) 및 사용량(使用量) 절감방법(節減方法) 연구(硏究) (An Approach for Increasing Herbicidal Efficacy by Adding Plant Growth Regulator "Chlorflurenol")

  • 김동수;김순철;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2-68
    • /
    • 1984
  • 제초제(除草劑) 사용량(使用量)을 줄일수 있는 방법(方法)을 찾기위해 비교적(比較的) 최근(最近)에 개발(開發)된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인 Chlorflurenol과 논제초제(除草劑)의 주종(主從)을 이루고 있는 butactlor, thiobencard 및 bentazon의 혼합효과(混合效果)를 1981~1982, 2개년(2個年)에 걸쳐 영남작물시험장(嶺南作物試驗場)에서 실시(實施)하였다. 1. 피(E. crus-galli)., 올챙고랭이(S. hotarui) 알방동산이(C. difformis), 마디꽃(R. idnica), 물달개비(M. Vaginalis), 밭뚝외풀(L. procumbens)등 일년생제초(一年生除草)가 많이 발생(發生)되는 논에서는 chlorflurenol을 사용(使用)하므로서 butachlor와 thiobencarb 사용량(使用量)을 추천량의 50~75%까지 줄이더라도 잡초방제효과(雜草防除效果)를 90%이상(以上) 유지(維持)할 수 있었다. 2. Chlorflurenol과 bentazon의 혼합효과(混合效果)는 결항적반응(結抗的反應)을 보였으며 bentazon의 피(E. crusgalli)에 대(對)한 살초효과(殺草效果)는 거의 없었다. 3. Chlorflurenol이 벼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있어서는 마른무게에는 그다지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으나 주요동화기관(主要同化器官)인 엽면적(葉面積)을 감소(減少)시켜 엽신중(葉身重) 비율(比率)을 떨어뜨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