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4인병실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 Study on the Space Program of Ward applying to 4 Patient Bedroom in Provincial Medical Center (공공의료원의 4인병실 적용에 따른 병동부 스페이스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Kim, Khilchae;Lee, Hyunjin;Kwun, Joonbum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21 no.2
    • /
    • pp.67-73
    • /
    • 2015
  • Purpose: This study examines areal composition of ward applying to 4 bedroom in provincial medical center. Methods: The existing five-bed patient rooms, general type of multiple-bed rooms in Korea causes many problems for the amenity of patients. We should reconsider their inconvenience carefully and try to provide the right to keep their privacy and enjoy amenity. The number of patients of multi-bed rooms is very critical point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patient rooms. This study separate 5 bedroom group and 4 bedroom group. Net area from space program was surveyed and analyzed.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wo points. The first one is that Group-4(4 bedroom) ward has more 23% patient's area and -23% convenience area than Group-5(5 bedroom). The second one is that Group-4 has more single bedroom and Group-5 has more dayroom. Implications: Consideratio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the effective bedroom composition and allocation in ward. This Study hopefully may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the standard design of space program in ward.

A Study on the Planning of the Four-bed room Unit in Public Hospitals (공공병원 4인병실 유니트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 Chai, Choul Gyun;Choi, Kwangseok;Kwon, Soonj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19 no.3
    • /
    • pp.41-52
    • /
    • 2013
  • Purpose: This paper tries to set up the design guidelines for the 4 bedroom in Public Hospital wards as the standard multi-bed room in order to upgrade the bedroom environment, increase inpatients' and nurses' satisfaction level, and decrease cross infection possibility. Methods: Literature survey containing legal standards related to hospital bedrooms in Korea, Japan and Germany have been conducted. Questionnaires have been distributed to inpatients and nurses in 39 Public Hospital, and face to face talk with ward nurses in 9 Public Hospitals have been conducted. Thereafter 10 architectural drawings, 28 questionnaires from nurses and 544 questionnaires from inpatients have been analysed. Results: This article suggests some design guidelines and example drawings of standard 4 bedroom unit in Public Hospital. Implication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ould be useful as a reference when the architect tries to design a Four-bed room unit in Hospitals.

A Study on the Economic Feasibility of 4-bed Rooms in Public Hospitals (공공병원의 4인병실 도입에 따른 경제적 타당성에 관한 연구)

  • Kwon, Soonjung;Chai, Choul Gyun;Choi, Kwang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20 no.3
    • /
    • pp.41-48
    • /
    • 2014
  • Purpose: At the moment, a lot of Public Hospitals in Korea have adopted 5 or 6 bedrooms as a standard multi-bedroom type. However 5-6 bedrooms have many problems related to inpatient satisfaction and nosocomial diseases. Therefore 4 bedroom is under considering for standard multi-bed room in Public Hospitals in Korea. This paper tries to prove that adoption of 4 bedroom in Public Hospitals has nothing to do with economic loss which is now an obstacle in adopting 4 bedrooms. Methods: 3 Methods have been used in this paper. 1)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medical insurance fee and service cost for hospitalization has been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survey. 2) Scenario analysis has been used for the estimation of inpatient number when 4 bedrooms are adopted in Public Hospitals. 3) Relation analysis between profit and proportion of 4 bedroom in Public Hospitals. Results: Adoption of 4 bedroom as a standard multi-bedroom in Public Hospitals has been proved to have nothing to do with the economic loss of hospitals. Implication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d expand 4 bedrooms instead of 5-6 bedrooms in hospitals for the upgrade of hospital environment and easy control of cross infection in inpatient bedrooms.

AN EXPLORATORY STUDY TO DETERMINE HOW ADOLESCENT STUDENT NURSES VIEW PEDIATRIC NURSING EXPERIENCE AS STRESSFUL SITUATION (소아과 간호학 실습시에 느끼는 성년기 간호학생들의 긴장감에 대한 실험적 연구)

  • Oh, Kasil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4 no.3
    • /
    • pp.33-56
    • /
    • 1974
  • 간호를 장래의 전문직으로 택하려고 공부하는 간호학생들은 완전한 성인으로서의 발달 과정중 후기 성년기에 속한다. 이시기는 자아를 발견하고 인간이 무엇을 믿으며 인간의 가치가 무엇인가를 추구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다시 말해서 어른과 어린이의 과도기에 서서 자신의 이상적 가치와 기성사회의 기존 가치를 잘 융화시켜 독립된 인간으로서 성숙하려는 노력의 시기이다. 그러므로 성년기의 갈등은 인생의 어느 시기보다도 그 정도가 심하게 나타난다. 간호학생들은 이상의 일반적인 성년기 발달의 요구 외에도 간호대학이라는 특수한 배움의 여건 때문에 좀 더 심각한 문제에 대두된다. 특히 소아과 간호대학이라는 실습환경은 여러 가지 복잡한 병실 사정으로 많은 긴장감을 주는 학습경험이다. 어린이의 간호에는 그들의 발달과정에 따른 다양한 역활이 요구된다. 또한 병원이라는 낯선 환경과 어머니를 떨어져야하는 두려움으로 불안한 어린이와 그 어린이의 불안과 두려움으로 인해 우울과 죄의식에 있는 어머니의 간호는 여러 면에서 성년기 학생들에게 긴장감을 일으키게 하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의 문헌조사는 주로 미국 문헌에 나타난 간호 대학생들의 성년기 성숙을 위한 발달의 요구와, 소아병실의 복잡한 여건으로 발생되는 긴장감을 다루고 있다. 문헌을 기초로 하여 저자는 긴장감을 주는 간호활동을 크게 다섯 부군으로 묶었다. 1. 어린이 환자의 신체적 간호, 2. 어린이 환자나 부모와의 원만한 대화와 상호관계를 위한 간호활동 3. 소아병실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간호원의 역활 4. 어린이나 부모의 간호에 대한 의뢰심 5. 간호의 가치나 이상적 간호. 연구방법으로는 49개의 폐쇄식 질문 항목을 가진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 항목들은 문헌연구에서 소아과 간호학 실습시 학생들이 긴장감을 느낀다고 밝혀진 내용들이 다. 학생들은 자신의 경험을 "긴장감이 없었다. ""긴장감이 있었다. ""심한 긴장감이 있었다. ""실습 중 경험이 없었다. "의 사항 중 택일을 하게 되어 있다. 연구대상으로는 모 대학교 간호대학 학생으로 산부인과 간호학 실습을 마친 후 소아과 간호학 실습 8주를 완료한 4학년 학생 42명이었다. 자료분석의 결과는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소아과 간호학 실습은 긴장감을 주는 경험이 있다고 나타났다. 다음은 연구결과 주목할만한 몇 가지 사항들이다. 1. 어린이 환자의 신체적 간호는 성년기 학생들에게 긴장감을 주는 실습 경험이었다. 특별히 심하게 긴장감을 주었던 간호활동은 어린이환자의 상태가 중한 경우로, 장기간 앓는 아이, 선천성 기형이 있는 아이, 회복이 불가능하여 죽게될 아이나 사망하는 경우의 어린이 간호였다. 이 결과는 간호학의 기본과정 즉, 기초간호학이나 내 외과 간호학 실습만으로 소아과 간호학 실습을 위한 충분한 준비가 되지 못한다는 것을 뜻 할 수도 있다. 한편, 문헌연구에서 밝힌바와 같이 어리고 연약해 보이는 어린이들의 신체조건이 학생들의 간호활동을 어렵게 하는 경우도 될 수 있겠다. 2. 간호학생들의 어린이 환자와의 대화나 원만한 인간관계에서의 긴장감은 이 연구결과로 평가나 제언이 힘들다. 조사결과에서 학생들은 주로 어린이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 심한 긴장감을 가졌고 일반적인 간호의 경우에는 별로 긴장감이 없었다. 이것은 질병의 상태나 화제, 이야기 할 때의 상황에 따라 긴장감의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결론이 되겠다. 3. 소아병실에서의 다양한 역활을 수행하는 것은 비교적 긴장감이 많이 생기는 간호활동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재미있는 사실은 학생들이 간호원으로서의 전문가적인 입장에서, 환자나 보호자를 가르칠때는 별로 문제가 없었으나 어린이 기르는 방법이나 어린이 이해면에서 좀 더 잘 안다고 생각되는 어머니가 지켜 볼때의 어린이 간호에는 긴장감을 가진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Jewett의 연구에서 밝힌바와는 상반되는 결과다. 그의 연구에서 학설들은 부모나 어머니들에 의해 전문가로서 인정받고 기대되는 경우가 제일 어려운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4. 어린이 환자나 그들 부모의 간호에 대한 의뢰심은 학생들에게 심한 긴장감을 주는 경험이 있다. 특히 신체적 간호에 대해 의뢰하는 경우에는 더 심한 긴장감을 준다고 표현한다. 일반적으로 부모가 병실에 상주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의뢰심이 심하며 이것은 학생들에게 감당하기 힘든 긴장과 어려움을 주게된다. 왜냐하면 성년기의 학생들은 그들 자신이 먼저 타인에게서 이해받기를 원하며 또 관용을 베풀어주기를 원하는데 그것을 남에게 주어야 하는 입장은 학생들을 긴장되게 하는 실습활동인 것이다. 5. 학생들은 그들이 배운 간호의 이상이나 가치가 실습지에서의 여러 경우와 맞지 않는 것을 보았을 때 극심한 긴장감을 갖는다고 밝혔다. 의사나 병원 행정의 사실이 자신의 이상과 맞지 않는다는 것보다는 간호원의 간호업무의 차이에서 더 비판적인 반응을 보였다. 대부분의 성년기 학생들은 그들의 이상적인 간호원상을 그들의 선배나 실무 간호원 중에서 찾으려는 시기에 그들의 간호활동이 이론과 다른 점이나 학생 자신의 소아과 간호의 가치와 다른 것을 보았을 때는 심한 반감과 긴장감을 갖게된다. 이 문제는 어린 사람이 윗 어른과 함께 동료의식을 갖고 일하기 어려운 한국적 사회구조 때문에 더 심하게 긴장감을 주는 경험인지도 모른다. 선배 간호원의 전문인으로서의 권위와 어린이 환자 보호자의 어른으로서의 권위 사이에서 자신의 이상과 가치의 추구는 용이하지 않으며 내적 갈등은 어쩔수 없는 일 일 것이다. 6. 대부분 높은 백분율의 긴장 반응은 죽음이나 환자의 사망에 관련된 간호활동 항목에서 나타났다. 이 연구의 대상 학생들은 2, 3학년에서 죽음에 대한 강의를 들었지만 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충분한 학습 경험이 주어진 것 같지 않다. 어떠한 경우의 죽음에라도 어린이 환자나 그 보호자들의 심리를 잘 이해하고 반응을 잘 관찰해서 적절한 간호를 해 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학습 경험이 필요하다고 보겠다. 7. 학생들의 긴장도가 어린이 간호에 더 심한가, 보호자 간호에 더 심한가를 알기 위한 비교 결과는 비교적 비슷한 정도로 나타났다. 8. 학생들의 소아과 간호학 실습시의 긴장도는 과거의 병실 실습기간의 장, 단이나 가정에서의 어린인 간호의 경험과는 별 연관성이 없었다. 연구의 대상자가 적기 때문에 단정을 하기는 힘이 들지만 소아과 간호학 실습이 다른 병실의 실습과는 분리되어서 완전히 다르게 다루어 져야만 하며 간호교육자들의 주의 깊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실습교육이 라 하겠다. 이상의 전반적인 고찰에 의하면 한국 성년기 간호학생들의 소아과 간호학 실습은 미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긴장감을 주는 경험이다. 문화배경의 다른 점은 무시하고라도 Davis와 Oleson이 결론한 바와 같이 "간호대 학생은 어디를 막론하고 다 같은 성격과 문제를 가지고 있다. "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학생들의 소아과 간호학 실습을 위한 연구를 위해 다음의 몇 가지를 본 연구의 결과를 가지고 제언한다. 1. 보다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교육 방법을 가진 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필요성. 2. 학생들이 실습 전 선입견이나 이미 들어서 생긴 긴장감의 개입 여부를 밝힐 수 있는 연구. 3. 학생 개인의 과거 경침이 긴장감 유발에 미치는 영향을 위한 연구 4. 이 연구의 결과를 입증할 수 있는 종단적 연구. 5. 이 연구에서 나타난 긴장감이 학습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한 관찰적 연구. 이 연구를 위해 많은 도움을 주셨던 보스턴대학의 Dr. Kennedy와 연세대학의 여러 선생님께 심심한 감사를 드립니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Flows inside the Various Rooms for Performance Assessment of Air Cleaning System (공기청정 시스템 성능예측을 위한 실내 유동현상에 관한 수치모사)

  • 손덕영;이두환;길재흥;최윤호;김동현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1 no.4
    • /
    • pp.306-316
    • /
    • 2002
  • ln this paper, flowfields inside the various rooms have been investigated. A storage room, a liv-ingroom with a kitchen in an apartment, and a hospital room are considered in the present calculations. In all cases,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of air change rate is. similar to that of perfect mixing assumption and the location of air purifier has little effects on the average air change rate. Detailed local air concentrations show that there are regions where air is not quite purified because of non-uniform circulation of air flow. The location of air purifier has great effects on this behavior.

Evaluation of Patients서 Satisfaction with Foodservice of Mid-size Hospitals in Busan Area (부산지역 중소병원 급식서비스에 대한 환자만족도 평가)

  • 김영선;류은순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2 no.7
    • /
    • pp.1153-116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atients'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hospital food service in Busan area. For the purpos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71 hospitalized patients in 4 hospitals (three hospitals for self-operated foodservice, one for contracted foodservice) within 130 beds. The average scores were -0.99/5.00 for quality satisfaction of meal characteristics, -0.68/5.00 for service characteristics, and -0.37/5.00 for nutrition characteristics. The items of low scores in quality satisfaction were treatment of complaints, nutrition of meals, provision of nutritional information, the seasoning of the meals, selective menu, and sanitation of the meals. At the expectation and perception grid, high expectation and high perception items were cleanliness of employees' clothes, cleanliness of dish, employees' courtesy, exactness of meal time, and sanitation of the meals. High expectation and low perception items were treatment of complaints and nutrition. The patients with little appetite showed significantly (p<0.01) lower average scores in meal, service, and nutrition characteristics than those with much appetite. The self-operated foodservice operation had significantly (p<0.01) higher average scores in meal, service, and nutrition characteristics than those of the contracted foodservice operation. The patients hoped to improve the taste of cooked rice and side dish, quantity of the side dish, variety of menu, and sanitation of the meals.

Current Status and Challenge of Hospice.Palliative Care in Korea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현황 및 과제)

  • Lee, Kun-Sei;Joo, Ji-Soo;Kim, Jung-Hoe;Kim, Keon-Yeop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11 no.4
    • /
    • pp.196-205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hospice palliative care facilities, and to identify problems and improve hospice palliative care in Korea. Method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implemented from October to December, 2007. It was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health manpower, facilities & equipments, service programs, and so on. Sixty two (79.5%) out of 78 hospice palliative care facilities returned the questionnaires. Results: They were 42 hospital-based hospice palliative care hospitals and 9 clinics, and most of them are located at central metropolitan areas (Seoul and Gyeonggi Province). more than 80% of hospitals met with the requirements (one doctor per 10 patients and one nurse per 1.5 patients), whereas 42.9% of clinics met the requirements. Approximately 22% of them met the requirement of sick room (4 patients for 1 room). Most of them provided various hospice palliative care programs. The proportion of giving regular education programs to hospice palliative care personnels were about half (41.9%). Thirty two (51.6%) facilities provided home visiting hospice palliative care service. Conclusion: There were lack of enough health manpower, rooms, and programmes and they varied among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hospice palliative care facilities with consideration of regional fair distribution and standardization of programmes.

  • PDF

The Effects of Intra-Abdominal Hypertension on the Prognosis of Critically Ill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복강 내압 항진증이 내과계 중환자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

  • Kim, Se Joong;Seo, Jeong-Su;Son, Myeung-Hee;Kim, Soo-Youn;Jung, Ki Hwan;Kang, Eun-Hae;Lee, Sung Yong;Lee, Sang Yeub;Kim, Je-Hyeong;Shin, Chol;Shim, Jae Jeong;In, Kwang Ho;Yoo, Se Hwa;Kang, Kyung Ho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61 no.1
    • /
    • pp.46-53
    • /
    • 2006
  • Background: Intra-abdominal hypertension (IAH) is defined as the presence of either an intra-abdominal pressure (IAP) ${\geq}12mmHg$ or an abdominal perfusion pressure (APP = mean arterial pressure - IAP) ${\leq}60mmHg$. Abdominal compartment syndrome (ACS) is defined as the presence of an IAP ${\geq}20mmHg$ together with organ fail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IAH and ACS on the day of admission and the effects of these maladies on the prognosis of critically ill patients in the ICU. Methods: At the day of admission to the ICU, the IAP was recorded by measuring the intravesicular pressure via a Foley catheter. The APACHE II and III scores were checked and SAPS II was also scored during the days the patients were in the ICU. The primary end point was the prevalence of IAH and ACS at the day of admiss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with the 28-days mortality rate. The measurement of IAP continued until the 7th day or the day when the patient was transferred to the general ward before 7th day, unless the patient died or a Foley catheter was removed before 7th day. Patients were observed until death or the 28th day. Results: A total of 111 patients were enrolled. At the day of admission, the prevalence of IAH and ACS were 47.7% and 15.3%, respectively and the mean IAP was $15.1{\pm}8.5mmHg$. The rates of IAH for the survivor and the non-survivor groups were 56.5% and 71.4%, respectively, and thes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593). Yet the rates of ACS between these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4/62, 6.5% vs. 13/49, 26.5%; Odds Ratio = 5.24, 95% CI = 1.58-17.30, p=0.004). Conclusion: In the present study, the prevalence of IAH was 47.7% and the prevalence of ACS was 15.3% on the day of admission. ACS was associated with a poor outcome for the critically ill patients in the ICU.